• 제목/요약/키워드: WASP6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32초

WASP 모형을 이용한 횡성호 수질해석 (Water-Quality Analysis of Hoengsung Lake using WASP Model)

  • 김상호;조영제;김광수;오현욱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037-2041
    • /
    • 2008
  • 댐의 상류에서 유입되는 하천수는 상수원수의 수질농도와 직결되기 때문에 보다 심도 있는 수질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댐 상류에 위치한 저수지와 하천에서의 수질해석을 위해 WASP 모형을 사용하여 수질해석을 실시하였다. 대상구간은 강원도 횡성군의 남한강 제1지류인섬강에 위치한 횡성댐 상류 계천의 매일수위국에서부터 횡성호 구간인 13.9km에 대해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2005년 1월부터 2006년 6월까지 매일수위국을 비롯한 주요 지점에서 측정된 수질자료를 이용하여 WASP 모형에 대한 부정정 수질모의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실측자료와 비교하여 모형에 대한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하천 수질해석에 널리 사용되는 QUAL2E 모형을 대상구간에 적용하여 WASP 모형의 모의결과와 비교하여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 PDF

SWMM과 WASP5모형을 이용한 간척지 담수호의 수질거동 특성 조사 (Behavior of Water Quality in Freshwater Lake of Tide Reclaimed Area Using SWMM and WASP5 Models)

  • 김선주;김성준;이석호;이준우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48-160
    • /
    • 2002
  • Lake water quality assessment information is useful to anyone involved in lake management, from lakeshore owners to lake associations. 11 provides lake water quality, which can improve how to manage lake resources and how to measure current conditions. It also provides a knowledge base that can be used to protect and restore lakes. SWMM was applied to simulate the discharge and pollutant loads from Boryeong watershed, and WASP5 was applied to analyze the changes of water quality in Boryeong freshwater lake. In each model, the most suitable parameters were calculated through sensitive analysis and some parameters used default data. Simulated in SWMM and measured discharge showed the accuracy of 88.6%. T-N and T-P exceeds the criteria in the simulation of water quality in Boryeong freshwater lake, and control of pollutant loads in the main stream showed the most effective way. Integrated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was developed to give convenience in the operation of SWMM and WASP5 and data acquisition.

HSPF, EFDC 및 WASP에 의한 영주다목적댐 저수지의 수질예측 (Water Quality Modeling of Youngju Dam Reservoir by HSPF, EFDC and WASP)

  • 박재충;최재훈;송영일;송상진;서동일
    • 환경영향평가
    • /
    • 제19권5호
    • /
    • pp.465-473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FDC hydrodynamic result on the WASP7.3 water quality modeling result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number of grid for the dam reservoir to be constructed. The simulated flow and BOD, T-N and T-P loads by the HSPF watershed model was used for boundary conditions and the hydrodynamic modeling results was linked with WASP model to predict future water quality after dam construction. The scenarios for EFDC modeling were composed of Scenario 1(141 grid cells) and Scenario 2(568 grid cells). The results of Scenario 2 showed that BOD, T-N, T-P and Chl-a concentrations were decreased 0.073mg/L(8.5%), 0.032mg/L(2.6%), 0.003mg/L(6.8%), 0.644mg/L(4.2%) compared with those of Scenario 1, respectively. As number of grid cell increased, water quality concentrations were decreased and also it caused the longer running tim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onsideration of the geometry of water body is more important than the number of grid cells for the prediction of water quality of a dam reservoir in EIA.

WASP6모형을 이용한 성층화 호소의 수질모의 (Water Quality Modeling of Stratification Lake Using WASP6 Model)

  • 이원호;한양수;김진극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7권6호
    • /
    • pp.57-65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호소 및 저수지의 수질을 예측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WASP6 모델을 이용하여 저수지 수질을 예측함으로써 수질관리자의 수질관리 정책 및 의사결정에 효과적으로 반영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오염부하량중 관광객에 의한 오염 배출부하량이 전체의 T-N, T-P 중 91.66%, 92.75%로 축산과 토지이용에 의한 배출부하량 보다 월등히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대상유역의 주 오염원이 관광객과 인구에 의한 것을 알 수 있다. 년도별 오염 배출부하량 예측결과 BOD는 2012년 현재 보다 약 1.6배, T-N은 2012년 1.5배 정도 T-P는 1.5배 정도 증가 할 것으로 예측되어, 오염부하량 저감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수옥정 저수지의 BOD의 경우 현재 비교적 양호한 수질을 나타내고 있으나, 년도가 지날수록 수질오염이 증가할 것으로 판단되므로 시급한 오염저감시설 확충 및 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T-N과 T-P는 호소 부영양화 조절을 위한 제한 영양소임을 고려할 때 오염원 통제에 대한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유전알고리즘을 이용한 WASP7 모형의 보정과 상수원 저수지에 대한 적용 (Calibration of WASP7 Model using a Genetic Algorithm and Application to a Drinking Water Resource Reservoir)

  • 배상목;조재현
    • 환경영향평가
    • /
    • 제23권6호
    • /
    • pp.432-444
    • /
    • 2014
  • 수동보정으로 수질모델링을 수행할 때는 연구자의 주관이 개입되어 해당 연구의 객관성에 영향을 줄 소지가 있기 때문에 자동보정에 관심을 갖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WASP7 모형의 수질 매개변수 보정을 위해서 유전알고리즘과 영향계수법을 적용하였다. 이 방법에서는 대상 호수의 BOD, DO, 인, 질소, 식물성플랑크톤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를 대상으로 최적 수질 매개변수를 산정한다. 성층현상이 일어나는 대상 호수의 수온과 수리적 특성을 정확하게 계산하기 위해 3차원 수리모형인 EFDC를 적용하였고, 이 모형의 결과는 본 연구에서 이용한 호수수질모형인 WASP7 모형과 연동해서 적용되었다. EFDC와 WASP7의 적용을 위해 동일한 격자망을 구성하였다. WASP7의 보정결과 5개 보정 대상 수질변수 중에서 DO, TN, CBOD에 대한 실측치와 계산치의 상대오차제곱합은 비교적 적었다. 따라서 이 세가지 수질에 대한 보정은 적절히 수행되었으나, TP와 Chl-a에 대한 보정결과는 비교적 정확도가 낮았다.

밤나무 혹벌의 생태와 피해조사 (Ecological studies on the Chestnut gall wasp, Dryocosmus kuriphilus $Y^{ASUMATSU}$ and Observations on the Chestnut trees by its insect)

  • 조도현;이상옥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권
    • /
    • pp.47-54
    • /
    • 1963
  • 본 조사는 밤나무혹벌의 생태, 특히 생활사, 발생소장 및 피해에 대하여 1961-1963년에 걸쳐 경기도, 강원도 및 충청북도에서 조사한 것이다. 1. 본 충은 년 1회 발생하며 단성생식을 한다. 2. 성충의 출현은 6월 하순부터 7월 하순이며 최성기는 7월중하순이며 일중 오전중에 많이 탈출한다. 3. 성충은 출현후 곧 아에 산란하는데 1아당 4.89개를 산란하며 1개체의 포란수는 평균 198.5개이었다. 4. 란기는 30일간이며 란은 8월말까지 부화하였다. 5. 유충기간은 8월중순부터 익년 6월 중순 까지며 용기는 6월 초순부터 7월 중순까지였다. 6. 본 충은 아에 산란 기생하며 5월 하순부터 충영을 형성하여 생장을 정지시키고 율의 결실을 없게 할 뿐만 아니라 율목을 고사시킨다. 8. 본 충은 1958년 충청북도 제천에서 처음 발생된 이래 현재에는 강원도, 경기도, 충청북도의 북반부 및 경상북도북부 일부에 분포하여 가해하고 있다.

  • PDF

Application of EFDC and WASP7 in Series for Water Quality Modeling of the Yongdam Lake, Korea

  • Seo, Dong-Il;Kim, Min-Ae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4권6호
    • /
    • pp.439-447
    • /
    • 2011
  • This study aims to test the feasibility of combined use of EFDC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hydrodynamic model and WASP7.3 (Water Quality Analysis Program) model to improve accuracy of water quality predictions of the Yongdam Lake, Korea. The orthogonal curvilinear grid system was used for EFDC model to represent riverine shape of the study area. Relationship between volume, surface and elevation results were checked to verify if the grid system represents morphology of the lake properly. Monthly average boundary water quality conditions were estimated using the monthly monitored water quality data from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DB system. Monthly tributary flow rates were back-routed using dam discharge data and allocated in proportion to each basin area as direct measurements were not available. The optimum number of grid system was determined to be 372 horizontal cells and 10 vertical layers of the site for 1 year simulation of hydrodynamics and water quality out of iterative trials. Monthly observed BOD, TN, TP and Chl-a concentrations inside the lake were used for calibration of WASP7.3 model. This study shows that EFDC and WASP can be used in series successfully to improve accuracy in water quality modeling. However, it was observed that the amount of data to develop inflow water quality and flow rate boundary conditions and water quality data inside lake for calibration were not enough for accurate modeling. It is suggested that object-oriented data collection systems would be necessary to ensure accuracy of EFDC-WASP model application and thus for efficient lake water quality management strategy development.

Human Sting of Cephalonomia gallicola (Hymenoptera: Bethylidae) in Korea

  • Lee, In-Yong;Shin, Chang-Seob;Sim, Seobo;Park, Jung-Won;Yong, Tai-Soo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2권6호
    • /
    • pp.681-684
    • /
    • 2014
  • Hymenoptera stings can cause serious injury to humans. We report the clinical findings of 6 cases of Hymenoptera stings. All patients developed painful erythematous papules at the sting sites and had a past history of parasitoid wasp sting. This is the first clinical report of the parasitoid wasp, Cephalonomia gallicola, causing human stings in Korea.

EFDC-WASP 연계 모형을 이용한 충주댐유역 수질분석 (Analysis of Water quality in ChungJo dam using EFDC-WASP)

  • 김석현;황순호;김계웅;신샛별;강문성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8년도 학술발표회
    • /
    • pp.439-439
    • /
    • 2018
  • 충주호는 충청권의 생 공 농업용수로 이용되는 광역상수원이며, 2016년 기준 연간 약 3만6천톤이 방류되어 남한강 전체 수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현재 충주호는 상류 유역의 오염원이 적게 분포하여 1급수의 수질기준을 만족하고 있으나, 상류 유역의 개발로 오염원 유입이 증가할 경우 호소 내 수질 및 남한강 전체 수질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충주댐 상류 유역의 오염부 하량 변화에 따른 수질변화를 예측하고, 현재수질 유지를 위한 허용 오염부하량을 산정할 필요가 있다. 한편, EFDC-WASP 연계모델은 수리학적 계산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이를 수질모델에 사용할 수 있어 다수의 연구자들에 의해 호소의 수질 모델링이 이루어졌으며 적용성이 많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EFDC-WASP 연계 모형을 이용하여 충주댐 상류유역의 배출부하 변화에 따른 호내 수질특성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모의구간은 충주댐의 유입지점부터 방류지점까지로, 수치해석을 위한 격자망은 총 800여개의 격자로 구성하였다. 수위자료는 한강홍수통제소에서 제공하는 충주댐 수위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수질자료는 환경부 호소 측정지점인 충주호1,2,3 의 자료와 하천 측정지점인 제천A과 한강B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모의기간은 2013-2015년으로 2013년은 모델의 안정기로, 2014년은 보정, 2015년은 검정에 각각 활용하였다. 보검정된 모델을 활용하여 유입부하량 변화에 따른 수질변화를 모의하였고, 1급수 수질을 만족하는 허용부하량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향후 호소 상류유역의 개발에 따른 수질변화 예측과 허용부하량 산정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WASP 모형에 의한 충주댐 조정지호의 수질예측 (Water Quality Prediction of Chungju Reguration Reservoir by WASP Model)

  • 장인수;박기범;이원호;김지학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683-690
    • /
    • 2009
  • The water quality of reservoir can be controled by water quality prediction model because it can not only grasping the present water state but also predicting the water quality in future. In this study, WASP model is used to predict the water quality of Chungju reguration reservoir. This model has some special option which predicts the pollutant outflow phenomenon caused by the contamination sources. So this model is widely used because that can present the scientific basis in this field. This model can help the managers make the right choice of water quality policy. Environmental grade of Chungju reguration reservoir is in III,IV grade which is in bad condition comparatively. The water contamination will be in poor as the year passes. When considering T-N, T-P which are the nutrient to control eutrophication, the concentrated administration about contamination sources is in urg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