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 UMa형 식쌍성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18초

비대칭 광도곡선을 갖는 W UMa 형 식쌍성 (ASTMMETRIC LIGHT CURVE OF W UMa TYPE ECLIPSING BINARY SYSTEM)

  • 오규동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1권2호
    • /
    • pp.196-207
    • /
    • 1994
  • 소위 O'Connell효과라고 하는 비대칭 광도곡선을 갖는 27개의 W UMa형 식쌍성들을 수집하고 광도곡선 형태에 다라 12개의 +형과 15개의 -형으로 분류하였다. 이렇게 분류된 별들을 관측된 물리량 사이의 상대적인 상관관계와 진화상태를 조사하였다.

  • PDF

근접 식쌍성들의 극심시각 관측 I

  • 이충욱;박성수;윤요나;김천휘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2003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12권2호
    • /
    • pp.76-76
    • /
    • 2003
  • 근접 식쌍성들의 극심시각의 체계적인 측광관측을 위하여 충북대학교 41동 옥상에 반자동 소형망원경 관측시스템을 구축하였다(이충욱 등 2003). 이 연구는 그 관측시스템을 이용하여 2002년 10월부터 2003년 9월까지 관측한 결과를 소개한다. 관측한 근접 식쌍성들은 Kreiner, Kim & Nha (2001)가 제시한 1,140개의 천체들 중에서 선택하였다. 관측성들에 대한 식 부근의 광도곡선과 새롭게 구한 극심시각들을 제시한다. 또한, 관측 과정에서 부수적으로 발견된 W UMa형 쌍성의 광도곡선을 제시한다.

  • PDF

W UMa형 접촉쌍성 AH Cancri에 대한 측광학적 연구

  • 윤재혁;김호일;이재우;김승리;성언창;경재만;오갑수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2003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12권2호
    • /
    • pp.22-22
    • /
    • 2003
  • 1998년 12월부터 1999년 5월까지 총 10일간 소백산천문대의 61cm 망원경과 PM512 CCD 카메라를 이용하여 W UMa형 접촉 식쌍성 AM Cnc의 CCD 측광관측을 수행하여 BVI 광도곡선을 완성하였다. 새로운 광도곡선으로부터 주극심시각 2점, 부극심시각 3점을 얻었다. 이 관측치를 포함하여 AH Cnc의 관측된 모든 극심시각을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영년 주기 증가를 보이고, 변화 원인을 질량이 큰 별에서 질량이 작은 별로의 보존적 질량이동에 의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영년주기 증가율은 3.18$\times$$10^{-7}$ day/year이다. 새로운 BVI 광도곡선을 WD 쌍성 모델의 접촉모드(Mode 3)로 분석하여 측광해를 산출하였고, 측광해의 결과는 질량비 0.159, 궤도경사각 86$^{\circ}$, 접촉도(fill-out factor) 49%등으로 계산되었다. 측광해를 Sandquist & Shetrone(2003)의 연구결과와 비교하면 질량비와 궤도경사각은 거의 같고, 접촉도는 약간 작은 값이다. 작은 값이다.

  • PDF

식쌍성 SW Lacertae의 UBV 광도곡선 (UBV Light Curves of the Eclipsing Binary SW Lacertae)

  • 한원용;김강민;김천휘;이우백;김두환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5권1호
    • /
    • pp.73-79
    • /
    • 1988
  • W UMa형 식쌍성 SW Lac의 UBV 광전관측이 1987년 10월부터 12월까지 소백산 천문대의 61cm 반사망원경을 이용하여 4일 밤 수행되어 새로운 광도곡선을 얻었다. 이 광도 곡선응 이 쌍성계의 광도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최근에 발표된 광도곡선과 비교하여 전체적인 밝기와 극심시각 부근의 변화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이 연구의 관측으로 4개의 극심시각이 결정되었고, 이로부터 얻은 O-C값으로 주기변화를 검토하였다.

  • PDF

W UMa형 식쌍성 GSC2576-0319와 GSC2584-1731의 측광해 (PHOTOMETRIC SOLUTIONS OF W UMA TYPE STARS: GSC2576-0319 AND GSC2584-1731)

  • 이충욱;이재우;진호;김천휘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3권4호
    • /
    • pp.311-318
    • /
    • 2006
  • ROTSE(Robotic Optical Transient Search Experiment) 후속관측을 통하여 W UMa형 식쌍성으로 재분류했던 변광성 중 광도곡선의 형태가 특이한 2개의 변광성에 대하여 2004년 5월 1일부터 5일간에 걸쳐 레몬산천문대 1m 망원경을 이용하여 고정밀 측광관측을 BVI 영역에서 수행하였다. W UMa형 식쌍성의 체계적인 분석을 위하여 2005년 개정한 Wilson-Devinney 쌍성코드를 사용하는 광도곡선분석 스크립트를 작성하였다. GSC2576-0319와 GSC2584-1731의 광도곡선을 분석하여 얻은 궤도경사각 (i)은 $43.^{\circ}5$$57.^{\circ}6$로써 비교적 낮은 값을 가지고 있으며, GSC2S84-1731의 광도곡선상 비대칭 효과를 설명하기 위하여 흑점모델을 적용하고, 이때의 흑점인자를 결정하였다.

측광학적 방법을 이용한 TU UMi의 변광성 분류 (Photometric Classification of the Variable Star TU UMi)

  • 이호;김승리;조미선;이재우;박홍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95-700
    • /
    • 2006
  • 변광성 TU UMi의 변광 유형의 분류를 위하여 소백산 천문대 0.6m광학 망원경과 2K CCD 카메라를 이용하여 B, V, I 필터를 이용한 시계열 측광 관측을 수행하였다. 변광성의 분류를 위하여 V 필터와 I 필터로부터 얻은 광도 곡선의 진폭의 비$({\Delta}i/{\Delta}v)$, 색의 변화$({\Delta}(b-v),\;{\Delta}(v-i))$로 부터 TU UMi가 W UMa형 식쌍성임을 확인하였으며, 우리의 관측 자료에서 2개의 극심 시각(UJD 2453848.04456, HJD 2453848.23088)을 구하였고, 새로운 광도 요소(Min I=HJD 2452500.1344+0.37708907${\times}$E)를 결정하였다.

W UMa형 식쌍성 AK Herculis의 측광학적 연구 (PHOTOMETRIC STUDY OF THE W UMA TYPE ECLIPSING BINARY AK HERCULIS)

  • 박성홍;이용삼;정장해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6권1호
    • /
    • pp.21-30
    • /
    • 1999
  • 소백산 천문대에서 1997년 2월부터 1998년 3월까지 총 3일 밤 동안 VRI 필터를 가지고 AK Her에 대한 CCD 측광관측을 수행하여 얻은 관측점의 수는 V는 236점, R은 198점, I는 197점이다. 관측 기간 동안 주극심과 부극심 시각을 각각 1개씩 관측하였으며, 우리의 관측자료를 가지고 VRI 광도곡선과 (O-C)도를 만들었다. Wilson-Devinney 방법으로 우리의 광도곡선을 분석한 결과 AK Her는 접촉형 (모드 3)의 경우는 해를 구할 수 없었고, 나머지(모드2, 4, 5)에 대해서는 접촉형에 가까운 분리형 또는 반분리형이라고 할 수 있었다. 우리의 최근자료를 가지고 만든 (O-C)도에서 AK Her 공전주기는 Borkovits & Hegedus의 예상과는 다르게 1990년도 이후 증가하는 변화가 나타났다.

  • PDF

W UMa형 식쌍성 VW Cep의 측광관측과 분석 (PHOTOMETRIC OBSERVATIONS AND ANALYSIS OF THE W UMa TYPE ECLOPSING BINARY VW Cep)

  • 강봉석;이용삼;정장해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7권1호
    • /
    • pp.19-32
    • /
    • 2000
  • 접촉쌍성 VW Cep의 BV 측광관측을 1999년 4-5월 중 7일간 소백산천문대에서 수행하여 총 1,018개의 관측점을 얻었다. 이 관측 자료를 사용하여 광도곡선을 만들었고 이로부터 극심시각 HJD2454327.2282을 결정하였다. 우리의 광도곡선을 Wilson-Devinney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때 모드 3을 적용하였고, $i,T_2,\Omega_1,q,L_1$을 수정인자로, 나머지 요소는 모두 고정인자로 사용하였다. WD 프로그램 초기 입력값으로 $T_1,a,V_r$은 Kaszas et al. (1998)의 값을, A는 Hendry et al. (1992)의 값을, X1는 van Hamme (1993)의 값을 사용하였다. 우리의 광도곡선해와 Kaszas et al. (1998)의 분광학적 해를 결합하여 VW Cep의 절대량$M_1=0.95M_\odot,M_2=0.33M_\odot,R_1=1.02R_\odot,R_2=0.66R_\odot$을 산출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