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ulnerable area analysis

검색결과 320건 처리시간 0.025초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자연재해위험지구 정비사업 효과 분석 (A Study on the Effect Analysis for the Regeneration Project for the Zones Vulnerable to Natural Disaster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 이경수;정재광;허보영;변성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6권8호
    • /
    • pp.843-855
    • /
    • 2013
  • 최근 과학기술이 고도로 발달되어 있는 현대사회에서 자연재해에 대한 지속적인 대비와 예측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인간은 자연재해를 극복하기 위하여 오랜기간 꾸준하게 노력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자연재해의 피해 또한 인간의 노력 이상으로 커지고 있으며 자연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 자연재해위험지구 정비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정비사업 결과에 대한 구체적인 효과분석이 미비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재해위험지구 정비사업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분석대상지구를 선정하고 지역주민 현장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설문도구의 타당성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고 빈도 분석 및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구조방정식모형(AMOS)을 통하여 정책의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자연재해정비사업의 정책은 합리성과 적합성이 담보되어 있고, 지역주민의 정신적 물리적 환경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비사업에 대하여 긍정적인 인식을 형성하였으며, 정부의 정치적 지지도까지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연재해정비사업의 진행은 합리성과 적합성이 담보된 사업이고 이는 지역사회를 발전시키고 건전한 민주주의 발전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노후건축물의 최적 리모델링 개선안 연구 (Analysis on Energy Demand Resulting From the Change in Window Area & Installation of Interior Exterior Blinds)

  • 김대원;정광섭;김영일;남아리새;오세민
    • 에너지공학
    • /
    • 제23권2호
    • /
    • pp.207-216
    • /
    • 2014
  • 에너지손실을 분석해 보면 열전달에 의한 손실과 공기유동에 의한 손실로 구분할수 있다. 열전달은 외벽, 지붕, 바닥의 열관류율에 의한 손실로 기존건축물의 가장 취약한 부분의 한 요소이다. 이런 손실을 방지 하려면 창을 포함한 외벽 전체의 평균 열관류율을 지역 기준값 이상으로 올리고 창의 기밀성을 확보함에 따라 방지 할수 있다. 노후건축물의 가장 취약한 부분이 외벽과 창호 이지만 출입문을 통한 침기량은 연돌효과에 의해 층계단을 타고 올라감과 동시에 각층의 공기를 흡입하여 더큰 유동을 잃으켜 층의 단열성 까지 취약하게 만드는 구조로 되어 있다. 현장 조사를 통한 진단과 에너지 개선처방이 제시될 때 반드시 건물전체에 대한 진단과 각층 부분에 대한 개선안이 함께 제출되어 단순히 창 교체만 하면 에너지절감을 이룰수 있다는 착각에서 벗어나야 할 것이다.

EOF 해석 및 다변량시계열 모형을 이용한 농업가뭄 대비능력의 평가 (Evaluation of Agricultural Drought Prevention Ability Based on EOF Analysis and Multi-variate Time Series Model)

  • 유철상;김대하;김상단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9권7호
    • /
    • pp.617-62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전국 59개 지점의 3개월 SPI 자료를 가지고 EOF를 유도하고 아울러 그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EOF 해석에 의해 나타난 Coefficient Time Series를 다변량 시계열 모형에 적용하여 SPI 시계열을 자료기간 10,000년으로 확장하였고 전국적인 가뭄심도를 판단하기 위해 전국 평균 지수를 이용하여 재현기간별 최대심도를 결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대권역의 댐 유효저수량과 농경지 면적을 이용하여 농업가뭄 대비능력을 판단하였는데 재현기간 30년 가뭄에 적절히 대비할 수 있는 이수능력을 갖춘 유역은 한강유역이 유일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영산강 유역은 큰 농경지 면적에 비해 저수용량이 크게 부족한 것으로 파악되었고 강우량의 크기에 민감한 농업가뭄에 가장 취약할 것으로 나타났다.

비산단지역 환경오염 수준 및 주민의 생체지표 모니터링 (Monitoring Study on Exposure Levels of Environmental Pollutants in Residents of a Non-Industrial Area, Korea)

  • 김대선;안승철;류정민;유승도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482-492
    • /
    • 2012
  • Objectiv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duce background data which can be compared with data on vulnerable areas such as industrial complexes in Ulsan, SihwaBanwol, Gwangyang, Yeosu, Pohang, Cheongju and Daesan in Korea. Methods: This study was performed on 1,007 local residents in Gangneung using personal questionnaires and medical check-up. Environmental pollutants including heavy metals in blood and urine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edical check-up, 705 subjects were "Normal (A and B)", 232 subjects were "Disease doubtful (R1)" and 70 subjects were "High blood pressure or Diabetes doubtful (R2)". Regarding geometric mean concentration, blood lead was 1.57 ${\mu}g/dL$, urine cadmium was 0.82 ${\mu}g/g-cr$, urine mercury was 0.98 ${\mu}g/g-cr$ and urine arsenic was 15.78 ${\mu}g/g-cr$. In the analysis of 11 kinds of VOCs in blood, vinyl chloride, 1,3-butadiene and dichloroethylene were not detected, while the detection rate of other chemicals was above 70% except chloroform(49.7%) and trichloroethylene(19.0%). In analysis of 16 kinds of PAHs in blood, 10 kinds showed more than 80% in detection rate. Also, detection rate of 4 kinds of PCBs in blood ranged 52 to 78%. Conclusions: Compared with industrial compelxes, the concentration of blood lead was lower, while urine cadmium and mercury levels were similar. Also, urine arsenic ranged at a significant level. Further study is required to find the cause of regional differences in concentrations of environmental pollutants.

공간정보 기반 산사태 발생지역 예측비율 평가 (The Evaluation on the Prediction Ratio of Landslide Hazard Area based on Geospatial Information)

  • 이근상;이호준;고신영;조기성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4권2호
    • /
    • pp.113-124
    • /
    • 2014
  • 최근 집중호우에 의한 산사태 발생이 빈번해짐에 따라 산사태 취약지역을 분석하고 산사태 발생을 예측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사태 발생지역의 토양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배수 특성별 우도비를 평가한 결과 배수가 좋은 토양에서 산사태 발생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DEM 자료에서 추출한 경사도의 우도비를 평가한 결과 $20{\sim}40^{\circ}$ 경사구간에서 산사태 발생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공간분석에 의한 사면방향도의 우도비를 평가한 결과 북향에서 산사태 발생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아울러 토양배수, 경사도 그리고 사면방향도의 우도비를 중첩하여 산사태 취약도를 평가할 수 있었으며, 산사태 발생지역에 대하여 분석과 검증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미래 산사태 발생 예측비율을 평가할 수 있었다.

재귀호출 알고리듬 기반의 홍수전파 특성 분석 (The Analysis of Flood Propagation Characteristics using Recursive Call Algorithm)

  • 이근상;장영운;최연웅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1권5호
    • /
    • pp.63-7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무주 남대천을 대상으로 재귀호출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제방 파제시 홍수위별 홍수전파 특성을 분석하였다. 먼저 벙구보와 차산보를 파제 지점으로 설정하여 재귀호출 알고리듬에 의한 홍수위별 홍수전파 차수를 분석하였으며, 홍수전파 차수별 격자수와 누계 침수면적을 계산하였다. 또한 홍수전파 차수와 DEM 격자크기를 기준으로 홍수위별로 홍수가 전파되는 시간을 계산하였다. 재귀호출 알고리듬에 의한 홍수전파 차수의 분포특성을 통해 홍수 전파 과정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홍수전파 차수별 누계 침수면적 그래프의 기울기 패턴을 통해 홍수에 취약한 지역을 선정함으로써 수재해 업무에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었다. 또한 홍수위별로 홍수전파 시간을 계산함으로써 홍수시 주민들의 대피경로 및 대피시간과 같은 계획을 수립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타입별 풍력 발전기 설치에 따른 민감 부하의 순간전압강하 저감 효과 비교 분석 연구 (A Study of the Mitigating Effect Comparison of Voltage Sags by WTG Types Based on the Concept of Area of Vulnerability)

  • 박세준;윤민한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6권12호
    • /
    • pp.1682-1688
    • /
    • 2017
  • In modern society, the number of industrial customers using equipment sensitive particularly to voltage sags is rapidly increasing. As voltage sags can cause loss of information as well as false operation of the control device, it results in the vast economic damage in industrial processes. One way to mitigate voltage sags in the sensitive loads is the installation of distributed generation (DGs) on the periphery of these loads. In addition, renewable energy sources are currently in the spot light as the potential solution for the energy crisis and environmental issues. In particular, wind power generation which is connected to a grid is rising rapidly because it is energy efficient and also economically feasible compared to other renewable energy sources. On the basis of the above information, in this paper, with Wind Turbine Generators (WTGs) installed nearby the sensitive load, the analysis of the mitigating effect comparison by types of WTGs is performed using voltage sag assessment on the IEEE-30 bus test system. That is, the areas of vulnerability according to types of WTGs are expected to be different by how much reactive power is produced or consumed as WTG reactive power capability is related to the types of WTGs. Using the concept of 'Vulnerable area' with the failure rate for buses and lines, the annual number of voltage sags at the sensitive load with the installation of WTGs per type is studied. This research will be anticipated to be useful data when determining the interconnection of wind power generation in the power system with the consideration of voltage sags.

계층분석법(AHP)과 GIS를 이용한 고양시 일대의 지하수오염 관리우선순위 평가 (Priority Assessment for Groundwater Contamination Management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and GIS Approach)

  • 이명진;현윤정;김영주;황상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8권5호
    • /
    • pp.26-38
    • /
    • 2013
  • In this study, priority for groundwater contamination management was assessed based on regional vulnerability in Goyang-si area, Gyonggi-do, Korea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We proposed a concept for regional vulnerability to groundwater contamination with using socio-environmental vulnerability factors, which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properties including regional hydrogeological property, contamination property, and groundwater use property. This concept is applied to Goyang-si area. For AHP analysis, an expertise-targeted survey was conducted. Based on the survey, a total of 10 factors (criteria) and corresponding weights for regional vulnerability assessment were determined. The result shows that regional contamination property is the most weighted factor among the three property groups (hydrogeological property: contamination property: groundwater use property = 0.3: 0.4: 0.3). Then, database layers for those factors were constructed, and regional vulnerability to groundwater contamination was assessed by weighted superposition using GIS. Results show that estimated regional vulnerability score is ranged from 22.7 to 94.5. Central and western areas of Goyang-si which have groundwater tables at shallow depths and are mainly occupied by industrial and residential areas are estimated to be relatively highly vulnerable to groundwater contamination. Based on assessed regional vulnerability, we classified areas into 4 categories. Category 1 areas, which are ranked at the top 25% of vulnerability score, take about 2.8% area in Goyang-si and give a high priority for groundwater contamination management. The results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when the groundwater management authority decide which areas should be inspected with a high priority for efficient contamination management.

The influence of sea surface temperature for vertical extreme wind shear change and its relation to the atmospheric stability at coastal area

  • Geonhwa Ryu;Young-Gon Kim;Dongjin Kim;Sang-Man Kim;Min Je Kim;Wonbae Jeon;Chae-Joo Moon
    • Wind and Structures
    • /
    • 제36권3호
    • /
    • pp.201-213
    • /
    • 2023
  • In this study, the effect of sea surface temperature (SST) on the distribution of vertical wind speed in the atmospheric boundary layer of coastal areas was analyzed. In general, coastal areas are known to be more susceptible to various meteorological factors than inland areas due to interannual changes in sea surface temperatur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ea surface temperature (ERA5) and wind resource data based on the meteorological mast of Høvsøre, the test bed area of the onshore wind farm in the coastal area of Denmark. In addition, the possibility of coastal disasters caused by abnormal vertical wind shear due to changes in sea surface temperature was also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wind resource data at met mast and the sea surface temperature by ERA5, the wind speed from the sea and the vertical wind shear are stronger than from the inland, and are vulnerable to seasonal sea surface temperature fluctuations. In particular, the abnormal vertical wind shear, in which only the lower wind speed was strengthened and appeared in the form of a nose, mainly appeared in winter when the atmosphere was near-neutral or stable, and all occurred when the wind blows from the sea. This phenomenon usually occurred when there was a sudden change in sea surface temperature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Key Infection의 보안성 향상을 위한 개선된 키 설정 방법 (Security-Enhanced Key Establishment Scheme for Key Infection)

  • 황영식;한승완;남택용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3권7호
    • /
    • pp.24-31
    • /
    • 2006
  • 기존의 보안 메커니즘들은 센서 노드의 자원의 제약 사항들로 인해 센서 네트워크 분야에서는 적용하기 쉽지 않다. 따라서 센서 네트워크상의 보안 이슈들은 센서 네트워크의 구현에 있어서 선행적으로 해결되어야 하는 문제로 인식된다. 이런 보안 이슈들 중 키 설정은 두 노드들 간의 보안 통신을 위해 초기 단계에서 해결되어야 하는 매우 중요한 보안 요소이다. 최근 R. Anderson 등에 의해 Key Infection이라는 commodity sensor network 상의 키 설정 방법이 제안되었지만 key infection의 경우 공격자가 초기 키 설정 시간에 전송되는 키 정보를 감청할 수 있는 영역이 존재하는 본질적인 취약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key infection의 위험 영역을 효율적으로 줄이는 보안 메커니즘을 제안함으로써 key infection의 보안성 향상을 위한 키 설정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보안 메커니즘은 key infection의 위험 영역을 줄이기 위해 초기 키 설정 시에 다른 이웃 노드의 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공유키 쌍(pair-wise key)을 생성한다. 추가적인 키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새로운 위험 영역을 얻을 수 있으며 이 영역은 기존 key infection의 위험 영역보다 면적이 감소하였기 때문에 보다 보안이 향상된 키 설정을 할 수 있다. 또한 제안된 보안 메커니즘의 안전성 평가를 위해 논리적, 수학적 관점에서 비교 평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