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ulnerability Database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29초

주관적·객관적 가중치를 활용한 TOPSIS 기반 단위유역별 물이용 취약성 평가 (Assessment of water use vulnerability in the unit watersheds using TOPSIS approach with subjective and objective weights)

  • 박혜선;김정빈;엄명진;김연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9권8호
    • /
    • pp.685-692
    • /
    • 2016
  • 본 연구는 유역의 물이용 취약성을 평가하는 지표 기반 접근법을 개발하고 이를 한강유역의 단위유역에 적용하였다. 평가 지표는 기후뿐만 아니라 사회 경제 환경적 측면을 고려하여 총 16개를 선정하였으며, 취약성 정의에 따라 노출, 민감도, 적응능력으로 구성하였다. 이는 다기준 의사결정기법(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MCDM) 중 TOPSIS (Technique for Order Performance by Similarity to Ideal Solution)를 적용하여 유역에 대한 취약성을 도출하였다. 지표 자료는 2010년을 기준으로 수집하였으며, 국가 통계 자료 및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의 모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또한, 각 지표에 대한 가중치는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하여 산정된 주관적 가중치(Subjective weight)와 자료 기반 엔트로피(Entropy) 개념을 활용하여 산정된 객관적 가중치(Objective weight)로 구분하여 적용하였다. 수도를 포함하고 있는 한강 유역에 대하여 표준단위유역별 취약성을 평가하고 우선순위 비교 및 순위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취약한 유역들은 대부분 용수사용량이 많고 상수도 누수율이 높게 나타났다. 가중치 적용 방법에 따른 취약성은 일부 지역에서 차이를 보였으나, 전반적으로 북한강유역의 취약성이 가장 높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보다 신뢰도 높은 물이용 취약성 평가를 위해서는 다양한 가중치 방법론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OPSIS을 적용한 가뭄취약성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An Approach to Drought Vulnerability Assessment using TOPSIS Method)

  • 이창우;신형진;권민성;이규민;남상혁;강문성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02-11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가뭄과 연관되는 다양한 관련 요인을 포함한 가뭄취약성 평가방안을 수립하고 이를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평가기법은 평가인자와 가중치 선정, 평가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 평가자료와 가중치를 조합한 평가의 세 단계로 구성되었으며 평가인자 및 가중치 선정에는 Delphi 조사기법을 적용하고 평가기법으로는 최근 널리 적용되고 있는 MCDM(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방법인 TOPSIS(Technique for Order of Preference by Similarity to Ideal Solution) 기법을 활용하였다. 수립한 가뭄취약성 평가방안을 2016년 3월부터 2019년 9월까지 우리나라 시군구 행정구역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평가 결과, 충청북도, 경상남도, 전라남도에 가뭄 취약지역이 다수 도출 되어 이들 지역에 대한 가뭄 대응 방안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OHDSI OMOP-CDM 데이터베이스 보안 취약점 및 대응방안 (OHDSI OMOP-CDM Database Security Weakness and Countermeasures)

  • 이경환;장성용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63-74
    • /
    • 2022
  • Globally researchers at medical institutions are actively sharing COHORT data of patients to develop vaccines and treatments to overcome the COVID-19 crisis. OMOP-CDM, a common data model that efficiently shares medical data research independently operated by individual medical institutions has patient personal information (e.g. PII, PHI). Although PII and PHI are managed and shared indistinguishably through de-identification or anonymization in medical institutions they could not be guaranteed at 100% by complete de-identification and anonymization. For this reason the security of the OMOP-CDM database is important but there is no detailed and specific OMOP-CDM security inspection tool so risk mitigation measures are being taken with a general security inspection tool. This study intends to study and present a model for implementing a tool to check the security vulnerability of OMOP-CDM by analyzing the security guidelines for the US database and security controls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of the NIST. Additionally it intends to verify the implementation feasibility by real field demonstration in an actual 3 hospitals environment. As a result of checking the security status of the test server and the CDM database of the three hospitals in operation, most of the database audit and encryption functions were found to be insufficient. Based on these inspection results it was applied to the optimization study of the complex and time-consuming CDM CSF developed in the "Development of Security Framework Required for CDM-based Distributed Research" task of the Korea Health Industry Promotion Agency. According to several recent newspaper articles, Ramsomware attacks on financially large hospitals are intensifying. Organizations that are currently operating or will operate CDM databases need to install database audits(proofing) and encryption (data protection) that are not provided by the OMOP-CDM database template to prevent attackers from compromising.

방재관점의 도로 데이터베이스 구축 : 대피위험도를 중심으로 (Construction of Road Information Database for Urban Disaster Management : Focused on Evacuation Vulnerability)

  • 김지영;김정옥;김용일;유기윤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7년도 GIS 공동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2-216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 지역에서 지진 발생시 중요한 대피로 역할을 하는 도로의 위험평가요소를 분석하고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를 구축하는데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도로의 체계적인 유지관리를 위해 도로관리통합시스템이 개발되어 있으나, 이는 도로대장전산화, 포장관리시스템, 교랑관리시스템, 도로절개면유지관리시스템 등에 한정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재난 시 사람들이 신변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대피나 구급을 위한 통로로써의 도로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분석을 토대로 방재관점의 도로관리를 위한 항목들을 자연환경, 시회환경, 도로 및 시설물, 유발요인 등으로 제안하고, 서울대학교 부근을 대상지역으로 하여 이들 요인을 DB화하였다. 이는 도로와 주변 환경 등을 동시에 고려하여 재난 발생 시 대피와 구조 활동을 위한 방재계획은 물론, 지역별 위험도평가 및 재해위험도작성에 기초 자료로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기구축된 GIS 자료가 아닌 현장 조사를 바탕으로 구축된 DB로, 방재관점의 통합된 DB의 필요성을 제시하는데 그 의미가 있을 것이다.

  • PDF

Concept Design for Measurement against Large Fire Spreading based on BuildingDatabaseofaFolkCultureVillage

  • Umegane, Takuji;Uchida, Daisuke;Mishima, Nobuo;Wakuya, Hiroshi;Okazaki, Yasuhisa;Hayashida, Yukuo;Kitagawa, Keiko;Park, Sun-gyu;Oh, Yong-sun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5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22
    • /
    • 2015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current building condition database of an important folk culture village of South Korea considering their fire spread risk. We have selected a folk cultral village, and conducted field survey to reveal structure of buildings, materials of building wall, and roof style which make us understand current vulnerability of the village to fire spread. As a result, we made a current building condition database with map, which showed that the village had mixture of reinforced concrete and wood. Besides, we proposed a conceptual idea to prevent from large fire accident in the village.

  • PDF

영상 기반 항법을 위한 가우시안 혼합 모델 기반 파티클 필터 (Particle Filters using Gaussian Mixture Models for Vision-Based Navigation)

  • 홍경우;김성중;방효충;김진원;서일원;박장호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74-282
    • /
    • 2019
  • 무인항공기의 영상 기반 항법은 널리 사용되는 GPS/INS 통합 항법 시스템의 취약점을 보강할 수 있는 중요한 기술로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영상 대조 기법은 실제 항공기 비행 상황들을 적절하게 고려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영상기반 항법을 위한 가우시안 혼합 모델 기반의 파티클 필터를 제안한다. 제안한 파티클 필터는 영상과 데이터베이스를 가우시안 혼합 모델로 가정하여 둘 간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항체의 위치를 추정한다. 또한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위치 추정 성능을 확인한다.

델파이 XE2 DataSnap 서버의 보안성 개선을 위한 시큐어 코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cure Coding for Security Improvement of Delphi XE2 DataSnap Server)

  • 정명규;박만곤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706-715
    • /
    • 2014
  • It is used to lead to serious structural vulnerability of the system security of security-critical system when we have quickly developed software system according to urgent release schedule without appropriate security planning, management, and assurance processes. The Data Set and Provider of DataSnap, which is a middleware of Delphi XE2 of the Embarcadero Technologies Co., certainly help to develop an easy and fast-paced procedure, but it is difficult to apply security program and vulnerable to control software system security when the connection structure Database-DataSnap server-SQL Connection-SQL Data set-Provider is applied. This is due to that all kinds of information of Provider are exposed on the moment when DataSnap Server Port is sure to malicious attackers. This exposure becomes a window capable of running SQL Command. Thus, it should not be used Data Set and Provider in the DataSnap Server in consideration of all aspects of security management. In this paper, we study on the verification of the security vulnerabilities for Client and Server DataSnap in Dlephi XE2, and we propose a secure coding method to improve security vulnerability in the DataSnap server system.

Bayesian demand model based seismic vulnerability assessment of a concrete girder bridge

  • Bayat, M.;Kia, M.;Soltangharaei, V.;Ahmadi, H.R.;Ziehl, P.
    • Advances in concrete construction
    • /
    • 제9권4호
    • /
    • pp.337-343
    • /
    • 2020
  • In the present study, by employing fragility analysis, the seismic vulnerability of a concrete girder bridge, one of the most common existing structural bridge systems, has been performed. To this end, drift demand model as a fundamental ingredient of any probabilistic decision-making analyses is initially developed in terms of the two most common intensity measures, i.e., PGA and Sa (T1). Developing a probabilistic demand model requires a reliable database that is established in this paper by performing incremental dynamic analysis (IDA) under a set of 20 ground motion records. Next, by employing Bayesian statistical inference drift demand models are developed based on pre-collapse data obtained from IDA. Then, the accuracy and reasonability of the developed models are investigated by plotting diagnosis graphs. This graphical analysis demonstrates probabilistic demand model developed in terms of PGA is more reliable. Afterward, fragility curves according to PGA based-demand model are developed.

Simplified analytical Moment-Curvature relationship for hollow circular RC cross-sections

  • Gentile, Roberto;Raffaele, Domenico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15권4호
    • /
    • pp.419-429
    • /
    • 2018
  • The seismic vulnerability analysis of multi-span bridges can be based on the response of the piers, provided that deck, bearings and foundations remain elastic. The lateral response of an RC bridge pier can be affected by different mechanisms (i.e., flexure, shear, lap-splice or buckling of the longitudinal reinforcement bars, second order effects). In the literature, simplified formulations are available for mechanisms different from the flexure. On the other hand, the flexural response is usually calculated with a numerically-based Moment-Curvature diagram of the base section and equivalent plastic hinge length.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simplified analytical solution to obtain the Moment-Curvature relationship for hollow circular RC sections. This based on calibrated polynomials, fitted against a database comprising 720 numerical Moment-Curvature analyses. The section capacity curve is defined through the position of 6 characteristic points and they are based on four input parameters: void ratio of the hollow section, axial force ratio, longitudinal reinforcement ratio, transversal reinforcement ratio. A case study RC bridge pier is assessed with the proposed solution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to a refined numerical FEM analysis, showing good match.

열취약성 평가를 통한 열환경 개선 정책 제시 - 대구광역시를 사례로 - (Policies for Improving Thermal Environment Using Vulnerability Assessment - A Case Study of Daegu, Korea -)

  • 김권;엄정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열환경 개선 정책을 효율적으로 수립하기 위해 정책과 연계한 열 취약성 평가 방법을 제시하였다. 평가지표 선정을 위해 국내 17개 도시의 열환경 개선 정책과 국내 외 35개 선행연구의 열환경 평가지표를 고찰하였고, 최종적으로 열환경 개선정책과 연계된 15개 열취약성 평가지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지표는 열지수, PM10 농도, 지표면 온도, 건물 표면적, 5세 미만 인구, 심혈관 질환자 수 등이 있다. 또한, 선정된 평가지표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확보하였다. 평가지표의 적용을 위해 사례지역인 대구광역시의 열환경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는 $30m{\times}30m$ 해상도를 기준으로 수집하였다. 이후 Z-Score와 매트릭스 방법을 활용하여 4개 등급으로 구분된 대구광역시의 열환경 취약성 평가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대구광역시에서 열에 가장 취약한 1등급의 면적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동구였으며, 그 다음으로 달서구, 북구 순으로 높았다. 또한, 대구광역시의 139개 동 중에서 열취약성 1등급의 면적비율이 가장 높은 동은 동구의 안심1동이었는데, 15개 지표의 표준화 지수를 살펴본 결과 열취약성과 가장 높은 관계성을 가지는 요인이 되는 것은 기초생활수급자의 수, 심혈관 계통 사망자의 수, 열지수, 지표면온도 순 이었다. 이에 따라, 안심1동의 열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시행해야하는 정책은 무더위 쉼터의 확충과 관리, 온열환자 감시체계 및 DB 구축, 도심내 그늘 확대 등의 정책이 우선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열환경 개선 정책과 평가지표를 연계시켜 활용함으로써 도시 군관리계획, 지구단위계획 등에서 전략적이며 효율적인 열환경 개선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