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luntary Activity

검색결과 352건 처리시간 0.031초

DonorsChoose의 기부형 크라우드펀딩에 기반한 가치공동창출 모델링 (Value Co-creation Modeling of DonorsChoose's Donation-based Crowdfunding)

  • 유한나;이수진;민동권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27-146
    • /
    • 2021
  • Donation-based crowdfunding(DBC) is conducted from voluntary participation by project operators. It requires a different operational strategy than general crowdfunding. However, there is a limited amount of research on the operational strategy of DBC. This study explores the value co-creation(VCC) strategy of DBC and analyzes the operation of DonorsChoose.org. The research questions encompass the following: First, we identify the VCC activities of DBC. Second, we uncover activities of the platform operators that facilitate the participation of project operators in VCC activities. Third, we explore how VCC activities affect project operational performance and platform performance in DBC. By adopting a single case study method on DonorsChoose.org, this study provides meaningful insight and detailed understanding into the VCC in DBC. First, VCC processes of DBC are identified(Co-ideation, Co-design, Co-funding, Co-operation, and Co-evaluation). Also, interactions between platform operators and project operators were defined at each stage. Second, this study confirmed that standardization and simplification of platform operators, support for pre- and post-activity, and high-quality information delivery activities were critical. Third, we confirm that these VCC activities improve VCC operational performance and platform performance. The theoretical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concept of VCC, previously concentrated on participants with economic drivers(consumers and investors), has been applied to the context of DBC, a form of participation by participants with non-economic drivers(supporters and donors). In addition, this study practically contributes to the practice of VCC strategy among various platform operating strategies in DBC.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교육현장의 보드게임 활용 가능성 (How to use Board Game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 Based on the 2019 Revised Nuri-curriculum)

  • 김태연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47-158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개정 누리과정의 유아중심, 놀이 중심 활동과 관련하여 어린이집과 유치원에서 보드게임 활용의 적절성에 대한 근거를 확인하고, 영역별 활동사례를 통해 유아용 보드게임 활용에 대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유아교육현장의 보드게임 활용의 이론적 근거로서 첫째, 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근거하여 구체물을 사용한 놀이활동으로써의 가치, 둘째, 게이미피케이션 요소인 경쟁과 보상을 통한 유아의 자발적 참여와 몰입, 셋째, 누리과정 전 영역에 걸친 통합적 경험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용 보드게임의 통합적 활동사례를 신체운동·건강, 의사소통, 사회관계, 예술경험, 자연탐구의 영역별로 살펴보고, 활동과정에서 나타난 장단점과 유의점을 검토하였다. 이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서 보드게임을 활용한 놀이활동의 가능성과 시행 방향에 대해 논하고, 이를 기반으로 유아교육현장의 보드게임 활동 구성 및 새로운 보드게임 콘텐츠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자폐아동을 위한 모-아애착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THE MOTHER-CHILD ATTACHMENT PROMOTION PROGRAM FOR AUTISTIC CHILDREN)

  • 이소우;홍강의;임숙빈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1권2호
    • /
    • pp.198-208
    • /
    • 2000
  • 자폐아동을 위해 개발된 모-아애착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참여군과 비참여군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대상자는 S대학교병원 애착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자폐아동과 어머니 7쌍, 참여하지 않는 자폐아동과 어머니 4쌍이었다. 6개월 간격으로 2회, 비디오 촬영법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Wilcoxon Rank(Sign) Sum Test로 모-아애착, 양육행위, 자폐적인 행동 특성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참여군의 애착행동의 변화는 같은 기간 비참여군의 애착행동의 변화보다 유의하게 컸으며 일치성을 제외한 근접성, 상호성, 정감성에서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p<.05). 접촉유지, 차별적, 애정적 행동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공감적, 일치적, 합동주시 행동의 변화는 적었고 아동간에 개별차가 컸다. 아동의 성장발달을 위한 어머니의 양육행위도 참여군에서 크게 증가하였으나 그룹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p<.05). 애착행동의 증진은 또한 자폐적 행동 특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모-아애착 증진 프로그램이 자폐아동들의 사회적 행동의 증진 뿐만 아니라 문제 행동의 개선에도 유용한 조기중재 프로그램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였다.

  • PDF

내측 전하방 관절낭 이동술을 이용한 다방향 견관절 불안정성의 치료 (Medial Anterior-inferior Capsular Shift in Multidirectional Shoulder Instability)

  • 정수태;박재형;김형수;유정현;김주학;지정민;조환희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0권1호
    • /
    • pp.33-41
    • /
    • 2007
  • 목적: 이 논문의 목적은 다방향견관절 불안정증의 수술적 치료에 있어서 내측 전하방 관절낭 이동술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함이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3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내측 전하방 관절낭 이동술을 시행한 1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중 15례에서는 반복적인 탈구를 경험하였으며, 양측성 견관절에서만 이완을 보인 경우가 8례(42.0%), 견관절을 포함한 전신 인대 이완은 11례(58%)였으며 수의성 아탈구가 2례(10.5%)가 있었다. 평균 추시 기간은 24개월이었다(범위: 9-32 개월) 결과: 19례중 18례에서 통증이 호전되었으며, 평균 10도 정도의 외회전 감소가 있었으나 일상생활에 제한은 없었다. 술 후 모든 예에서 재탈구나 아탈구는 없었으나 2례에서는 스포츠 활동에서 불안감을 호소하였다. Rowe점수에서 모든 환자에서 최우수 또는 우수로 나타났으며 혈종 1례 및 가벼운 국소 피부 감염이 1례에서 있었으나 추후 모두 치료되었다. 결론: 다방향 견관절 불안정증에서 내측 전하방 관절낭 이동술은 통증감소, 환자의 만족도 및 견관절 안정성에 있어 만족스러운 결과를 나타냈다. Hill-Sachs병변 및 Bankart병변이 일부 있었으나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

어깨, 팔꿈치, 손목의 자세에 따른 최대악력과 근육활동에 관한 연구 (Effects of Combinational Posture of Shoulder, Elbow and Wrist on Grip Strength and Muscle Activity)

  • 김태형;정승래;강성식;장성록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11-119
    • /
    • 2016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postures that were frequently conducted in manufacturing industry. To find grip strength and muscle activities of each posture, Maximum Voluntary Contraction (MVC) and ElectroMyoGraphy (EMG) were measur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ost appropriate posture could be suggested and used as a basic information for preventing musculoskeletal disorders. Most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have been occurred in the fields of manufacturing industry.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it was reported that the rate of musculoskeletal diseases of upper extremity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body parts. Accordingly, there were many studies about discomfort and grip strength of upper extremity. However, these studies dealt with single selection of wrist, elbow and shoulder. So, it was insufficient for comprehensive studies about upper extremity. And in order to improve the work posture, the physiological changes being generated by the combination of wrist, elbow and shoulder postures should be observed and analyzed.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thirty university students who had no records of MSDs involved were recruited. Independent variables were postures of wrist(pronation, neutral, supination), postures of elbow(flexion $45^{\circ}$, $90^{\circ}$) and postures of shoulder(flexion $0^{\circ}$, $90^{\circ}$). And dependent variables were MVC values and EMG values. Jamar dynamometer and TeleMyo 2400T G2 was used to measure MVC and EMG. MVC and EMG for 12 postures were measured for three second and for three times. Experiment was performed randomly. A 10 minutes rest period was provided after each t. To measure muscle load, the EMG signals of eight muscles (Biceps, Medial triceps, Lateral triceps, Brachioradialis, Extensor carpi ulnaris, Extensor carpi radialis, Flexor carpi ulnaris and Flexor carpi radialis) were evaluated. MVC values and EMG values were analyzed using Minitab ver. 14. The results showed that MVC value was the highest at shoulder $0^{\circ}$, elbow $45^{\circ}$ and wrist supination. In case of wrist postures, MVC of supination is the highest. In case of elbow and shoulder postures, MVC of flexion $45^{\circ}$ and $0^{\circ}$ was the highes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interaction between wrist and elbow posture under shoulder flexion and between shoulder and wrist under elbow flexion $45^{\circ}$. In case of the angle of shoulder $0^{\circ}$, elbow $45^{\circ}$ and wrist supination, the EMG values of four muscles(Medial Triceps, Extensor carpi ulnaris, Extensor carpi radialis, Flexor carpi ulnaris) were the highest. Based on this study, it is worth to note that the combination postures of upper extremity have a large impact on the MVC and EMG. The optimal condition upper extremity was shoulder flexion $0^{\circ}$, elbow flexion $45^{\circ}$ and wrist supination for preventing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ease.

뇌졸중 환자의 비마비측 슬관절 등척성 수축시 각도와 운동 방향이 마비측 대퇴사두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gle and Direction of Maximal Isometric Contraction of Non-Hemiparetic Knee on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Hemiparetic Quadriceps Femoris in Patients With Stroke)

  • 기경일;김선엽;오덕원;최종덕;김경환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9
    • /
    • 2010
  • To develop effective training methods for strengthening a weakened quadriceps femoris muscle in hemiplegic patients, we examined the effects of maximal isometric contraction of the nonparalyzed knee joint on the electromyographic activities of the paralytic muscle. An electromyogram (EMG) was used to record the electromyographic activities of the paralytic quadriceps femoris muscle in 27 hemiplegic patients. The maximal isometric contraction was measured for each subject to normalize the electromyographic activities. The maximal isometric extension and flexion exercises were randomly conducted when the knee joint angles of the nonparalyzed knees were $0^{\circ}$, $45^{\circ}$, and $90^{\circ}$. The patients were encouraged to maintain maximal isometric contractions in both knee joints during each measurement, and three measurements were taken. A one-minute rest interval was given between each measurement to minimize the effects of muscle fatigue. An average from the three values was taken as being the root mean square of the EMG and was recorded as being the maximal isometric contraction. The electromyographic activity obtained for each measurement was expressed as a percentage of the reference voluntary contraction, which was determined using the values obtained during the maximal isometric contr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en the knee joint angle of the nonparalyzed knee was $0^{\circ}$, the electromyographic activities of the paralytic medial aspect of rectus femoris were related to measurement by a maximal isometric flexion exercise than by an extension exercise (p<.05). Second, when the knee joint angle of the nonparalyzed knee was $90^{\circ}$, the electromyographic activities of the paralytic lateral aspect of rectus femoris were related to measurement by a maximal isometric flexion exercise than by an extension exercise (p<.05). The results show that myoelectrical activities of paralytic quardriceps were not related to measurement angles and exercise directions of the nonparalized knee joint. Studies on various indirect intervention to improve muscular strength of patients with nervous system disorders of the weakened muscle should be constantly conducted.

심부경부굴곡 운동 시 복근 수축이 표면경부굴곡근의 근활성도, 흉곽 거상, 두개경부굴곡 각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ntraction of Abdominal Muscles on Electromyographic Activities of Superficial Cervical Flexors, Rib Cage Elevation and Angle of Craniocervical Flexion During Deep Cervical Flexion Exercise)

  • 박규남;원종혁;이원휘;정성대;정도헌;오재섭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9-15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ontraction of abdominal muscles on surface electromyographic (EMG) activity of superficial cervical flexors, rib cage elevation and angle of craniocervical flexion during deep cervical flexion exercise in supine position. Fifteen healthy subjects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All subjects performed deer cervical flexion exercise with two methods. The positions of two methods were no volitional contraction of abdominal muscles in hook-lying position with 45 degree hip flexion (method 1) and 90 degrees hip and knee flexion with feet off floor for inducing abdominal muscle contraction (method 2). Surface EMG activities were recorded from five muscles (sternocleidmastoid, anterior scaleneus, recuts abdominis, external oblique, internal oblique). And distance of rib cage elevation and angle of craniocervical flexion were measured using a three dimensional motion analysis system. The EMG activity of each muscle was normalized to the value of reference voluntary contraction (%RVC). The EMG activities, distance of rib cage elevation. and angle of craniocervical were compared using a paired t-test between two method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MG activities of sternocleidmastoid and anterior scaleneus during deep cervical flexion exercise in method 2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method 1 (p<.05). Distance of rib cage elevation and angle of craniocervical flexio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method 2 (p<.05).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deep cervical flexion exercise with contraction of abdominal muscles could be an effective method to prevent substitute motion for rib cage elevation and contraction of superficial neck flexor muscles.

  • PDF

영·미·일 대학 갭이어 사례 및 시사점 분석 (The Analysis of Gap Year Cases of England, America, and Japan and their Implications)

  • 김정희;주동범;정일환;정진철;권동택;최창범;이현민
    • 비교교육연구
    • /
    • 제27권4호
    • /
    • pp.155-186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에 입학하기 전, 또는 대학생활 동안 일정 시간 동안 진로에 대해 탐색할 수 있는 주요국(영국, 미국, 일본) 대학의 갭이어(Gap Year) 운영 사례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대학의 도입 가능성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갭이어는 고등학교를 마치고 대학에 입학하기 전, 정규교육과정에서 잠시 벗어나 자기이해 등의 경험을 위해 다양한 진로 및 봉사활동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갭이어 운영 사례는 미국 대학의 4개교, 영국 대학의 2개교, 일본 대학의 1개교를 분석한 결과, 갭이어를 제도, 재정적으로 지원하는 학교로 구분할 수 있으며, 그 대상으로 입학허가자, 재학생, 졸업예정자로 구분할 수 있다. 영국, 미국, 일본 대학의 갭이어 사례분석 결과와 그 시사점을 토대로 국내 대학의 도입 가능성 차원에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학 내외 관련 제도 정비 및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그리고 갭이어 운영 정착을 위한 진로교육시스템을 제안하는 바, 대학생들에게 제공하는 진로탐색, 진로결정, 진로계획 수립, 진로 준비 등의 체계적인 단계가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편측저작이 저작근의 근활성도와 교합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referred Chewing Habit on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Masticatory Muscles and Bite Force)

  • 양호연;신준한;최종훈;안형준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0권1호
    • /
    • pp.45-55
    • /
    • 2005
  • 오른손잡이와 왼손잡이가 있듯이 저작도 주로 사용하는 쪽이 있는 편측저작습관자와 양쪽을 다 사용하는 비편측저작자가 있다. 본 연구는 1년 이상 지속된 편측저작습관이 저작근과 턱관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재학생 및 치과병원 교직원 중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편측저작습관자 46명, 비편측저작습관자 36명, 총 82명의 지원자를 대상으로 저작근의 근활성도와 교합력을 검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연구에 앞서 설문 및 임상검사를 통하여 연구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특기할 전신병력이나 불규칙한 치열 및 비정상적인 교합을 가진 자는 배제하였다. 1. 편측저작습관자군에서 안정위와 최대 이악물기(maximal voluntry contraction; MVC)상태에서의 저작측과 비저작측간 근활성도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p>0.05). 2. 안정위 시 전측두근과 교근에서의 근활성도 비대칭 지수는 편측저작습관자군과 비편측저작습관자군 사이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3. 최대 이악물기 시 교근의 근활성도 비대칭 지수는 편측저작습관자군에서 비편측저작습관자군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p<0.05), 전측두근의 근활성도 비대칭 지수는 편측저작습관자군과 비편측저작습관자군간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4. 편측저작습관자군에서 저작측과 비저작측간의 평균교합력과 교합접촉면적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5. 편측저작습관자군과 비편측저작습관자군간의 평균교합력의 비대칭 지수와 교합접촉면적의 비대칭 지수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이상의 연구결과 편측저작습관은 저작근의 근활성도와 평균교합력 및 교합접촉면적에 영향을 미쳐 변화를 일으키기 보다는, 정상적인 기능을 하는 생리적 비대칭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향후 연구 시 편측저작자와 비편측저작자를 구분하기위한 객관적인 기준의 제시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근린 생활권 공원에서의 자발적 공동체 활동의 활성화 요인에 관한 연구 - 세종시 '참샘을 사랑하는 모임'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Activation Factors of Voluntary Community Activities in Neighborhood Parks - Based on the People Who Love Chamsaem in Sejong City -)

  • 김우주;이차희;성종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37-51
    • /
    • 2018
  • 최근 도시 공원의 사회적 기능을 강화하고, 지속가능한 유지관리를 위해 적극적인 주민 참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 주민들이 일상생활공간을 기반으로 형성한 연대의식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참여가 가능한 근린생활권 공원에서 활동하는 자발적 공동체의 형성과정을 근거이론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공동체 활동이 활성화되는데 중요하게 작용하는 요인을 자원, 지역영역, 공동체 역량, 공동체 역할, 공공지원 5가지 측면에서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활 밀착형 자원: 공원 내 '참샘'과 같은 생활 밀착형 자원의 발굴이 중요하였다. 이는 강한 애착을 형성시켜 공원 내 매력적인 자원을 지속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공동체 활동을 유도하였다. 2) 공통의 일상공간 공유와 확장: 공동체 활동이 근린생활권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면서 주민사회 내 활동자들의 네트워크가 확장되었다. 이는 지속적인 주민의 관심과 호의적 참여를 이끌어내고, 공동체 활동의 지역적 확장도 이끌어냈다. 3) 일상의 한 부분으로서의 공원관리: 공원관리가 일상의 부분으로 결합되면서 쾌적한 공원관리가 가능하였다. 주민들의 재능을 활용하여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고, 고된 노동을 지속적으로 효율화하였다. 4) 주도적 공원관리 활동을 통해 주민과 공공부문을 연결하는 공동체의 리더십: 공동체가 공원관리기관인 공공부문과 이용자집단인 주민들을 연결하는 중간자적 리더 역할을 수행하였다. 5) 공공부문의 역할과 지원: 지속적인 주민 활동이 이루어지는데, 공공부문의 공원 계획과 운영 측면에서 관리자의 주민 주도 활동 지원 의지가 중요하였다. 그리고 공원의 공공관리 시스템 내에서 재정, 교육, 컨설팅 등의 공동체 활동지원이 요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