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lume of water retention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32초

슬러지 농도 최적화에 따른 합리적인 활성슬러지공정 설계방안 연구 (Economic Design of Activated Sludge System at the Optimum Sludge Concentration)

  • 이병준;최윤영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7권5호
    • /
    • pp.483-490
    • /
    • 2014
  • 활성슬러지 공정의 생물학적 반응조 및 2차 침전지 설계와 관련해서 정상상태 설계식(Ekama et al., 1986; WRC, 1984) 및 1-D flux theory 설계식(Ekama et al., 1997)을 사용하여 슬러지 농도에 따라 두 가지 공정을 일괄적으로 설계하였다. 또한, 슬러지 농도에 따른 생물학적 반응조 및 2차 침전지 크기 변화를 도식화하고, 유입수 성상이나 슬러지 침강성, 환경 및 운전조건 그리고 첨두유량이 각 공정의 크기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먼저유입수의 특성과 관련하여 난분해성 용해성 물질(fs,us)은 반응조 크기 결정에 큰 영향이 없었지만, 난분해성 입자성 물질(fs,up), 무기고형물(fi) 및 유기물 강도(Sti)의 영향은 크게 나타났다. 운전인자인 Sludge Retention Time (SRT)의 경우, 슬러지 생산량과 관련되므로 반응조 크기결정에 역시 큰 영향을 미쳤다. 2차 침전지의 설계요소인 Sludge Volume Index (SVI) 및 첨두유량이 커질수록 2차 침전지에 수리학적 부하가 커지게 되어, 2차 침전지가 크게 설계되어야 했다. 본 설계과정에서는, 온도 변화가 미치는 영향은 작게 나타났다. 대규모 처리장의 경우 반응조 및 2차 침전지 전체 크기 결정과 함께 1개조 크기의 상한선을 설정하여 개수를 산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엔지니어는 여러 가지 슬러지 농도에 대하여 반응조 및 2차 침전조의 크기, 개수 및 현장조건을 고려한 건설비용을 반복적으로 계산하게 되면, 최소비용 설계와 함께 최적의 슬러지 농도를 결정하게 된다.

광양 폐 금-은 광산 지역 광산폐수의 중금속 오염과 중금속의 제거에 있어 소택지와 지류 혼합의 역할 평가 (Heavy Metal Contamination and the Roles of Retention Pond and Hydrologic Mixing for Removal of Heavy Metals in Mine Drainage, Kwangyang Au-Ag Mine Area)

  • 정헌복;윤성택;김순오;소칠섭;정명채
    • 지질공학
    • /
    • 제13권1호
    • /
    • pp.29-50
    • /
    • 2003
  • 광양 폐 금-은 광산지역의 소규모 하천(초남리천과 사곡리천)에 흐르는 산성광산폐수의 수질 특성을 환경지구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하고 비교 연구하였다. 중금속(카드뮴, 구리, 납, 아연) 오염은 초남리천에서 훨씬 심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용존 알루미늄과 철 함량은 오히려 사곡리천에서 높았는데, 두 하천간의 이러한 차이는 광산폐수의 기원물질, 즉 광석광물의 함량과 특성이 서로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두 하천에서 흐르는 산성광산폐수의 자연정화 기작에 대해 고찰하여 보았다. 주로 단일하천으로 이루어진 초남리천의 경우, 석회석을 사용하여 광산폐수를 정화시키는 소규모의 소택지가 조성되어 있어 소택지 내에서의 pH 증가에 따른 중금속의 흡착과 공침에 의해 중금속이 제거되고 있다. 초남리천에서 채취한 적황색 침전물에 대하여 XRD, SEM-EDS. EPMA 분석 및 화학적 분해법을 이용한 분석 결과, 적황색 침전물은 대부분 침철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알루미늄, 망간, 구리, 아연 등이 부화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들 금속들은 주로 적황색 침전물의 생성에 수반된 흡착이나 공침과 같은 지구화학적 반응에 의해 제거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소택지의 중금속 제거능은 계절적으로 변화하는 하천의 유량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다. 반면, 사곡리천의 경우에는 오염되지 않은 여러 지류와의 혼합에 수반된 pH 증가에 따라 철수산화물이 침전하면서 중금속의 제거가 일어나고 있다. 오염 하천과 비오염 지류와의 합류 지점에서 발생하는 중금속 제거의 기작은 '특성-특성도(property-property plot)'를 활용한 해석에 의해서도 뒷받침된다.

Influence of hydraulic retention time on biogas production during leachate treatment

  • Baati, Souaad;Benyoucef, Fatima;Makan, Abdelhadi;El Bouadili, Abdelaziz;El Ghmari, Abderrahmene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3권3호
    • /
    • pp.288-293
    • /
    • 2018
  •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hydraulic retention time (HRT) on biogas production during leachate treatment using an anaerobic reactor type Upflow Anaerobic Sludge Blanket. For this purpose, four HRTs ranging from 12 to 48 h were experienced. The obtained results showed that higher amount of biogas could be produced during longer HRTs. However, HRTs longer than 48 h could not affect clearly the biogas generation and considered as unnecessary given the small additional amount of biogas produced during the degradation process. A volume of $0.434L/L_{leachate}/d$ was achieved during the treatment with a HRT of 48 h. The higher biogas production, the smaller chemical oxygen demand (COD) values achieved. Besides, COD removal and biogas production positively correlate, showing that the active biomass has degraded effectively the organic load to produce biogas. Moreover, all the analyzed physicochemical parameters have experienced a decrease after 48 h except for the pH, which increased to approximately neutral value. More precisely, a decrease of 93.8%, 89.7%, 95%, 70%, 77%, and 84.4% was recorded for COD, electrical conductivity, total suspended solid, turbidity, $NH_4{^+}-N$, and $NO_3{^-}-N$, respectively.

Single Bubble Dynamic Behavior in AL2O3/H2O Nanofluid on Downward-Facing Heating Surface

  • Wang, Yun;Wu, Junmei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8권4호
    • /
    • pp.915-924
    • /
    • 2016
  • After a severe accident to the nuclear reactor, the in-vessel retention strategy is a key way to prevent the leakage of radioactive material. Nanofluid is a steady suspension used to improve heat-transfer characteristics of working fluids, formed by adding solid particles with diameters below 100nm to the base fluids, and its thermal physical properties and heat-transfer characteristics are much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working fluids. Thus, nanofluids with appropriate nanoparticle type and volume concentration can enhance the heat-transfer process. In this study, the moving particle semi-implicit method-meshless advection using flow-directional local grid method is used to simulate the bubble growth, departure, and sliding on the downward-facing heating surface in pure water and nanofluid (1.0 vol.% $Al_2O_3/H_2O$) flow boiling processes; additionally, the bubble critical departure angle and sliding characteristics and their influence are also investigate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bubble in nanofluid departs from the heating surface more easily and the critical departure inclined angle of nanofluid is greater than that of pure water.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nanofluid on bubble sliding is not significant compared with pure water.

하천(河川)을 고려한 호소(湖沼)의 물 순환 정책방안 -충남·대전지역 농업용 호소의 체류시간을 중심으로- (Policy for Water Cycle of Agricultural Reservoirs Considering Downstream - Focused on HRT of Agricultural Reservoir in Chungcheongnam-do and Daejeon Metropolitan City -)

  • 이상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246-253
    • /
    • 2011
  • 농업용수를 확보하기 위하여 조성한 호소에 장기간 물을 담수함에 따라 수질오염으로 이용가치 저하와 하류 하천이 건천화 되어 하천의 기능을 상실하는 등 유역내 잘못된 물 관리체계로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충남 대전지역을 중심으로 농업용 호소의 운영현황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 호소수의 체류시간은 8개월 이상을 유지하여 그 기간 동안 하류하천의 건천화가 나타났고, 호소수의 수질은 생활계 및 축산계 오염물질의 유입과 강수량에 따른 물 순환특성과 상당히 밀접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호소 유역내수질오염물질 저감과 함께 하류하천이 건천화가 되지 않도록 담수량과 담수시기를 조절하고, 호소수 체류 시간은 가급적 짧게 유지하는 등 유역내 물 순환체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복부동계를 동반한 동기능부전 증후군에 영계출감탕 투여 1례 (One Case of Sick Sinus Syndrome Accompanied by 'Abdominal Pulsation' Treated with Yeonggyechulgam-tang (ling-gui-shu-gan-tang))

  • 김태경;류순현;김정열;고창남;김영석;김은주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74-279
    • /
    • 2002
  • The sick sinus syndrome refers to a combination of symptoms (dizziness, confusion, fatigue, syncope, and congestive heart failure) caused by sinus node dysfunction and marked sinus bradycardia, sinoarterial block, or sinus arrest. 'Abdominal pulsation' means a disagreeable symptom that is defined as sensation of beating at the abdomen. We experienced a 84 year-old female patient who had dizziness, fatigue, abdominal pulsation and frequent voiding. These symptoms were related to previous episodes and presumed sick sinus syndrome by symptoms, ECGs and 24 hrs of holter monitoring. In the point of Differentiation of Syndrome (辨證), this patient was diagnosed as 'Water retention(水氣)' and was administered with Yeonggyechulgam-tang(岺桂朮甘湯). After the treatment, abdominal pulsation (frequency) and dizziness (VAS) were improved. Futhermore, the interval of voiding was longer and each volume of urination increased.

  • PDF

조 분말의 첨가가 sponge cake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Millet Flour)

  • 장학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952-958
    • /
    • 2004
  • 식이섬유원으로서 메조와 차조 분말을 sponge cake 제조에 이용하고자 10-50%의 비율로 첨가하여 cake 제조적성 및 이들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총 식이섬유는 박력밀가루가 2.23%인데 비하여 메조 5.04%, 차조 5.72%로서 2배 이상 높았으며, alkaline water retention capacity는 메조, 차조 모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증가하였다. Rapid Visco Analyser에 의한 호화특성에서 maximum, minimum 및 final viscosity는 메조와 차조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하였다. Mixograph에 의한 반죽의 리올로지특성에서 peak time 및 peak height는 메조와 차조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하였다. Sponge cake의 crust color의 L 값은 메조의 경우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증가하였으나, 차조첨가군은 대조군보다는 L 값이 높았지만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Crumb color의 L 값은 메조, 차조첨가군 모두 대조군보다 낮았으며,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하였다. Sponge cake의 부피는 메조 및 차조를 첨가함으로써 감소하였고, 10% 첨가수준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20% 첨가수준부터는 대조군에 비해 품질이 떨어졌다.

과수방제기 살포입자의 직경 분포특성 (Size Distribution of Droplets Sprayed by an Orchard Sprayer)

  • 구영모;신범수;김상헌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6권5호
    • /
    • pp.431-440
    • /
    • 2001
  • Generated agri-chemical droplets by orchard sprayers are evaporated regenerated and transported along wind streams. The droplets are deposited to targets after changing their sizes, affecting the retention of droplets. An orchard sprayer, designed for spraying grapevines was studied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droplet size. The experimental variables were spray direction (0, 22.5, 45, 67.5 and 90˚), distance(2.5, 3.0 and 3.5 m) and fan speed (2,075 and 3,031 rpm). Droplet sizes were converted and analyzed from spray stains, sampled using water sensitive papers. The number median diameter (NMD) increased with an increase of the distance due to disappeared fine droplets (<50 ㎛): however, the volume median diameter (VMD) decreased due to shrunken large droplets (>100 ㎛). Fast fan speed delivered large droplets to 3.5 m, but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NMD and VMD were not uniform. Slower fan speed decreased the possibility of evaporation and drift; therefore, plenty of droplets were maintained up to 3.0 m. The upward blasting distance was limited within 3 m, but the limit to the ground level was extended to 3.5 m. Concentrated wind and droplets to the ground level should be redistributed to upper canopy direction, leading more uniform deposits. High speed wind and system pressure should be avoided because of generating fine droplets, which would be disappeared and drifted away.

  • PDF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을 위한 LID평가모델(LIDMOD)개발과 수질오염총량제에 대한 적용성 평가 (LIDMOD Development for Evaluating Low Impact Development and Its Applicability to Total Maximum Daily Loads)

  • 전지홍;최동혁;김태동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8-68
    • /
    • 2009
  • Low impact development (LID) technique is relatively new concept to reduce surface runoff and pollutant loading from land cover by attempting to match predevelopment condition with various integrated management practices (IMPs). In this study, computational model for designing and evaluating LID, named LIDMOD, was developed based on SCS-CN method and applied at Andong bus terminal to evaluate LID applicapability and design retention/detention area for volume or peak flow control. LIDMOD simulated with 21 years simulation period that yearly surface runoff by post-development without LI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with LID showing about 2.8 times and LID could reduce efficiently yearly surface runoff with 75% reduction of increased runoff by conventional post development. LIDMOD designed detention area for volume/peak flow control with 20.2% of total area by hybrid design. LID can also efficiently reduce pollutant load from land cover. Pollutant loads from post-development without LID was much higher than those from pre-development with showing 37 times for BOD, 2 times for TN, and 9 times for TP. Pollutant loads from post-development with LID represented about 57% of those without LID. Increasing groundwater recharge reducing cooling and heating fee, creating green refuge at building area can be considered as additional benefits of LID. At the point of reducing runoff and pollutant load, LID might be important technique for Korean TMDL and LIDMOD can be useful tool to calculate unit load for the case of LID application.

활성글루텐 첨가 쌀 식빵 프리믹스의 저장 중 품질 특성 (Effect of Storage on Physicochemical and Bread-making Properties of Bread Premix Prepared from Rice Flour Containing Vital Gluten)

  • 이영택
    • 산업식품공학
    • /
    • 제15권4호
    • /
    • pp.311-317
    • /
    • 2011
  • 활성글루텐이 첨가된 쌀 식빵 프리믹스를 5, 25, $35^{\circ}C$의 저장온도에서 4개월 동안 저장하면서 이화학적, 반죽특성, 호화특성 및 제빵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쌀 식빵 제조 시 활성글루텐의 적정 첨가량은 14-17%로 판단되었다. 쌀 식빵 프리믹스의 pH, 침전가 및 Pelshenke값은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Pelshenke 값은 35$^{\circ}C$ 저장시에 그 수치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쌀 식빵 프리믹스의 수분 함량은 변화가 적었으나, 보수력과 알칼리수 흡수율은 저장온도가 상승함에 따라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Mixograph의 peak time과 width at 8.00 min은 저장온도가 상승함에 따라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Rapid Visco Analyser에 의한 호화 특성 중 peak viscosity와 setback은 저장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서 다소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으며, 저장기간이 길어짐으로써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프리믹스로 제조한 쌀 식빵의 비용적은 저장전에 비해 저장 중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그 감소 폭이 컸으며, 쌀 식빵의 경도는 증가하여 쌀가루 전분의 노화가 밀가루에 비해 보다 빠른 속도로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