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cal Removal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1초

후두결절 및 폴립의 후두미세 수술에 관한 임상연구 (Clinical Study on Laryngo - Microscopic Surgery For Vocal Nodules and Polyps)

  • 문영일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3년도 제17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1.2-11
    • /
    • 1983
  • 성대결절 및 성대폴립은 성악인, 교사, 무대예술인 등 음성직업인에게 많이 발생하고 있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후두에 경한 염증성 변화가 있을 때 목소리를 남용하면 성대결절이 호발하기 때문에 음성 직업인은 감기 등의 상기도염증이 있을 때는 특히 음성사용에 주의를 기우려야 한다. 성대결절과 폴립이 염증성산물이며 성대의 상피하층의 결체직에서 기원한다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다. 성대의 전 1/3과 중 1/3의 경제부위에 주로 발생하는 것은 그 부위가 진동의 중심부가 되기 때문이다.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부속병원 이비인후과에서 시행한 70예의 후두미세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임상적 고찰을 행하였기에 그 결과를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1) 발생초기의 성대결절은 간단한 음성치료로 치유되므로 반드시 결제수술을 시행할 필요는 없다. 2) 소아의 성대결절은 사춘기를 지남에 따라 자연히 소실되는 수가 많으므로 결제수술을 시행하지 않는 것이 좋다. 3) 진행된 성대결절이라 할지라도 음성직업인에게는 우선 3개월 동안 음성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좋다. 4) 3개월 동안의 보존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성대소견의 개선이 없고 음성장애가 지속되면 후두미세수술을 고려하여야 한다. 5) 수술시에 작은 기도내 삽입관을 사용하여 마취하는 것은 피열간격을 유지하면서 외전된 성대를 유지하는데 필요하다. 6) 성대결절을 제거시 결절을 후방으로 견인하고 그 전방에서부터 제거한다. 7) 어떤 경우에는 결절을 신장시킨 상태에서 감자로 잡고 미세가위나 메스로 절제한다. 8) 음성의 침묵은 술후 일주일동안 시행하며 그 후 일주일은 두사람이 대화할 정도의 약한 목소리를 사용하는 것은 허용해도 좋다.일이내 내원하였으며 25 일 경과후 내원한 경우도 1례가 있었다. 7)식도 및 기도이물의 전례에서 단순 흉부 방사선 촬영을 시행하였고, 이에 나타나지 않은 56례 식도이물을 대상으로 34례에서 식도조영술을 시행하였으며 이중 23례가 양성 소견을 나타냈다. 8) 식도경술에 의해 이물을 제거한 경우는 54례(96.4 %) 였으며, 기관지경술에 의해 이물을 제거한 경우는 14례 (77.8%) 였다. 9 ) 식도 이물에 의한, 또는 식도경술에 의한 합병증이 초래한 경우는 식도점막열상 1례 (1.8 %), 식도 천공 1례 (1.8 %) 였으며, 기도이물에 의한, 또는 기관지경술에 의한 합병증이 초래한 경우는 무기폐 2례 (11.1 %), 폐렴 3례 (16.7 %)로 나타났다.5예에서 소실되었다. 5 ) 청각심리검사 (Psychoacoustic evaluation)에서 폴립은 술전에 Grade 1∼2의 사성이 있었던 11예중 술후 10예에서 Grade 0로 되었으며 Grade 1∼2의 사성이 있었던 3예의 결절에서도 모두 Grade 0로 정상화되었다.>치를 측정한 결과 투여전과 차이가 없었다. 7) 이상의 결과로 볼때 Cis-platinum 사용으로 인한 이중독증은 신장기능이 정상일때는 충분한 hydration으로써 예방이 가능하며 동시에 금기로 알려져왔던 감음성난청이 있는 두경부악성종양환자에서도 세심한 주의하에 적절히 사용한다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려된다.은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1) 이관폐쇄술후 18시간에 최초로 삼출액이 확인되었으며 그 이후는 전실험군에서 삼출성중이염이 유발되다. 2) 도말표본의 세포학적 검사에서 호산구는 전혀 발견되지 않았으며

  • PDF

술후성 Anterior Glottic Web의 치험례 (Three Cases of Post-operative Anterior Glottic Web treated with a Stainless Steel Keel)

  • 서웅빈;김종민;유홍균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1년도 제15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5.2-5
    • /
    • 1981
  • 후두의 Anterior glottic web에 대한 수술적 치료방법은 1924년 Haslinger가 처음으로 Web의 성공적인 Correction예를 보고한 이래 1935년 Iglauer, 1950년 Mc Naught, 1969년 Pennington, 1970년 Montgomery등이 각기 다른 치료법을 소개하였으나 그 치료목적이 전연합부의 상피화와 동시에 Denuded Vocal Cord에 형성되는 유착을 방지하는 데에 있었다. 저자등은 최근 후두유두종 3례에서 2∼3회의 제거술후에 유발된 Anterior glottic web를 경험하여 Stainless Steel Plate를 이용한 Keel을 제작하여 사용한 결과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적 고찰을 가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후두 격막증의 치험 1례 (A Case of Anterior Glottic Web (Video))

  • 김기령;박인용;김광문;이원상;이경재;정태영;이명호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3년도 제17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8.1-8
    • /
    • 1983
  • 후두격막증은 이를 선천성 및 후천성 후두격막증으로 분류하며 선천성 후두격막증은 후두의 발생과정에서 특히 태아기 7 ∼ 8주경에 후두개와 양측 피열연골 융기가 서로 합쳐진 T형 초기성문 (primitive glottis)이 태아기 10 주경에 이루어져야 할 전후분리가 장해됨으로서 선천성 후두질환의 약 3 %에서 발생되며 그 중 약 75 %가 성문부에서 발생되고 나머지 약 25 %는 성문상부 및 성문하부에서 발생된다. 한편 후천성 후두격막증은 그의 대부분이 외상이나 수술후의 상흔 등에서 합병되며 선천성에 비해서 격막이 비교적 두껍고 섬유성인 경향을 보인다. 후두격막증의 증상은 그 격막의 상태에 따라서 일정하지 않으나 대체로 그 격막형성이 아주 작은 경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으나 격막이 큰 경우에는 사성이나 호흡곤란을 유발하게 된다. 본 증의 치료 원칙으로서는 격막을 절제한 후 특히 성문의 성대전연합 (Anterior Commissure)부위의 재유착을 예방하는 것인데 현재까지의 시술방법으로서는 1924년 Haslinger가 수술후의 성대전 연합 사이로 엷은 은편(silver plate)을 삽입시켰던 례와 1950년 McNaught가 갑상연골절개술로 탄타룸 편(tantalum keel)을 삽입시켰던 례가 있으며 이밖에도 테후론편 (teflon keel)등이 삽입되거나 점막이식술 등이 시도되어 왔다. 저자들은 최근에 23세 남자 환자로서 유·소아기에 수차의 후두유두종 수술후에 성대 전연합부에 발생한 격막증에 대하여 금편(gold keel)을 삽입하여 치험하였기에 이를 비데오로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최근 경험한 후두부분절제술 8예 (8 Cases of Partial Laryngectomy)

  • 유홍균;김명진;이상학;신홍수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3년도 제17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4.4-15
    • /
    • 1983
  • 이비인후과영역의 악성종양중 가장 많은 빈도를 보이는 후두암의 외과적료법으로는 1873년 Billroth가 처음으로 후두전적출위을, 1873년 H. B. Sands가 후두부분절제술을 시행한 이래 항생제료법, 수혈 및 보다 안전해진 마취 등의 전반적인 진보로 수술후 보다 좋은 예후를 가져왔다. 후두의 임파계는 구획되어 있는 해부학적 특성이 있기 때문에 후두부분절제술의 시행을 가능케 하였으며 이러한 후두부분절제술은 후두전적출술에 비하여 적응증이 다르긴 하나 환부를 제거함과 동시에 발성작용, 호흡작용 및 방어작용등의 기능적인 면을 보존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최근 수술적요법은 화학요법, 방사선료법 등과 병합으로 재발의 빈도를 줄이고 5연생존율을 증가시켰다. 저자들은 1980연부터 1982연까지 고대부속병원 이비인후과에 내원한 후두암환자중 후두부분절제술의 적응이 되는 8예를 경험하였다. 이들의 발병부위는 후두개 2예, 양측성대 전 1/3부위 2예, 우측성대 전 1/3부위 및 전연합부 1예, 우측후두실 1예, 좌측성대 중 1/3부위 2예로서 이들에 시행한 후두부분절제술에 대하여 문헌적 고찰과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종격동 종양 및 낭종의 임상적 고찰: 50례 보고 (Clinical Evaluation of Mediastinal Tumors and Cysts - 50 cases report -)

  • 오창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4권3호
    • /
    • pp.245-252
    • /
    • 1991
  • For the purpose of evaluation of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histopathological properties in mediastinal tumors and cysts, 50 patients with mediastinal tumors and cysts treated at the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in Chosun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1978 to Mach, 1990 were reviewed. The results of this cases analysis were as follows; 1. of all 50 mediastinal tumors and cysts, 27 patients were male and 23 patients were female. There was no sex preference. The age distribution was from 10 months to 84 years, and mean age was 37 years old, and no age preference. 2. Subjective symptoms were as follows : Dyspnea[54%], Chest pain[44%], Coughing [34%] Fever[16%] and General malaise[12%]. Objective signs were as follows: Decreased breathing sound[46%], Pleural effusion and hemothorax[32%], Palpable neck mass[24%] and SVC syndrome[14%]. But, there were no definitive symptoms in 5 cases[10%]. 3. The most frequently encountered tumors were teratodermoid tumors[26%] followed by lymphomas[22%], thymomas[12%] and benign cysts[8%] in decreasing order of frequency. 4. Based on the subdivision of the mediastinum, 44% of the tumors were in the anterior mediastinum, 24% in the middle mediastinum, 18% in the superior mediastinum and 14% in the posterior mediastinum. 5. The malignant tumors were 25 cases[50%]. 6. The successful removal was possible in all the benign mediastinal tumors and cysts. In malignant cases, the surgical removal had been 12 cases and inoperable cases were treated to radiation and chemotherapy. 7.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bleeding, wound infection, pneumothorax and vocal cord paralysis. The recurrence was 3 cases. 8. The most frequent mediastinal tumor in the west is neurogenic tumor but is teratoma in Korea.

  • PDF

양성 식도질환에서 개흉술과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수술 성적의 비교 (A Comparison on the Operative Results of Benign Esophageal Disease by Video-Assisted Thoracic Surgery and Thoracotomy)

  • 정성호;박승일;오정훈;송태승;김현조;김동관;손광현;최인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9호
    • /
    • pp.738-743
    • /
    • 2000
  • Background: Video-assisted thoracic surgery(VATS) is being used as a therapeutic modality in many diseases in which thoracotomy has been used. We studied that the VATS can substitute the thoracotomy in benign esophageal disease. Material and Method: Group I (n=18) underwent video-assisted thoracic surgery, and group II(n=19) thoracotomy. Group I includes 14 leiomyomas and 4 achalasias. Group II includes 16 leiomyomas and 3 achalasias. Operative technique is enucleation in the leiomyoma and modified Heller's myotomy in the achalasia. Analyzing factors of operation-efficacy are anesthetic time, operation time, hospital stay, chest tube drainage amount and chest tube removal day. The degree of the postoperative pain is assessed by the frequency of opioid analgesics injection. Result: There was no death in both groups. There were 5 complications in the group I and 2 in the group II. Prolonged pleural effusion and restenosis of achalasia occurred to 1 patient in each group. In the group I, there were 1 temporaty vocal cord palsy and 2 mucosal tear leading to thoracotomy.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nesthesia time, operation time, hospital stay, total chest tube drainage amount, chest tube removal day and frequency of opioid analgesics injection. The amount of the chest tube drainage at POD 1 day was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I(155.6$\pm$77.8cc) than in group II(572.8$\pm$280.1cc)(p<0.05). Conclusion: The results of our data showed that video-assisted thoracic surgery for benign esophageal disease is as effective as thoracotomy and in addition, cosmetic effect is much better. We concluded VATS may be a substitute for thoracotomy in benign esophageal disease.

  • PDF

성대폴립및 결절의 치료 효과에 대한 음성의학적 고찰 (The Phoniatric Evaluation of the Effect of the Laryngomicrosurgery for the Laryngeal Polyps and the Nodules)

  • 김기령;홍원표;김광문;이경재;정태영;이명호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3년도 제17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8.2-9
    • /
    • 1983
  • 성대의 폴립 및 결절 등은 발성장애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후두질환들이며 근래에는 후두미세수술(Laryngomicrosurgery)의 보편화에 따라서 그 수술성적에 있어서도 많은 개선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오늘날 이러한 수술은 단순한 종물제거라는 개념을 넘어서서 술후에 따른 음성개선을 중요목적으로 하는 음성개선선수술 (phonosurgery)인 까닭에 수술에 따른 객관적이고도 정량적인 음성치료효과의 판정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하겠다. 현재까지 시행되고 있는 수술후 치료효과의 판정에 대한 검사에 있어서는 대체로 공기 역학적 검사(aerodynamic study), 성대의 진동검사(vocal fold vibratory study), 음향분석검사(acoustic analysis), 청각심리검사( psychoacoustic evaluation)및 근신경검사(neuromuscular study)등이 시행되어지고 있다. 저자들은 1981년 6월부터 1983년 3월까지 1년 10개월간 본원 이비인후과에서 후두미세수술을 시행한 56예 의 성대 폴립 및 결절환자 중에서 수술전 및 수술 2개월 후에 상기할 일련의 음성 검사가 가능하였던 24예(성대폴립 15 예, 성대결절 9예)를 판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최장발성지속시간 (Maximum phonation time)은 8예의 양측성 폴립에서는 술전에 비해 평균 40%가 증가되었으며 7예의 편측성 폴립에서는 평균 75.5 %가 증가되었다. 한편 7예의 양측성 결절에서는 평균 62 %, 2예의 편측성 결절에서는 18%가 각각 증가되었다. 2) 발성율(Phonation quotient) 양측성 폴립에서는 술전에 비해서 평균 25%가 편측성 폴립에서는 평균 2 6%가 각각 감소되었으며 또한 양측성 결절은 평균 55 %, 편측성 결절은 12%가 각각 감소되었다. 3 ) 평균호기유율(Mean air flow rate) 양측성 폴립에서는 평균 27%가 편측성 폴립에서는 평균 25 %가 각각 감소되었으며 양측성 결절에서는 평균 65 %가 편측성 결절에서는 25%가 각각 감소되었다. 4) 후두스트로보스코피 (Laryngo - stroboscopy )상으로 본 성대의 진동상 관찰에서 15예의 폴립에서는 술전 성문폐쇄 부전(Glottic chink)이 있었던 11예중 10예에서 성문폐쇄의 정상화, 대칭성의 회복 및 비진동성부위의 소실등이 관찰되었으며 9예의 결절에서도 술전 성문폐쇄부전이 있었던 7예 중 5예에서 소실되었다. 5 ) 청각심리검사 (Psychoacoustic evaluation)에서 폴립은 술전에 Grade 1∼2의 사성이 있었던 11예중 술후 10예에서 Grade 0로 되었으며 Grade 1∼2의 사성이 있었던 3예의 결절에서도 모두 Grade 0로 정상화되었다.

  • PDF

접촉성 육아종으로 오인된 후두 이물 육아종 1예 (A Case of Foreign Body Laryngeal Granuloma Mimicking Contact Granuloma)

  • 김혜수;김선우;이진;이상혁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7-30
    • /
    • 2020
  • Among lesions in the larynx, laryngeal contact granuloma due to persistent tissue irritation can typically be attributed to endotracheal intubation, vocal abuse, or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Treatment typically includes voice therapy, lifestyle changes and use of anti-reflux medication. Microsurgical removal is only indicated in cases of severe dyspnea due to mass size. Foreign body granuloma is a response of to any foreign material in the tissue. Foreign body granulomas are sometimes misdiagnosed as soft tissue tumors when the causative foreign body is not initially found. Delayed treatment of these foreign bodies may cause complications. We present a case of larynx granuloma due to impacted foreign body, probably fish bone, in the larynx that mimicked contact granuloma. We initially used anti-reflux medication, but to no avail. The laryngeal mass, observed through laryngoscopy, showed no improvement and therefore necessitated a proper pathologic diagnosis. We were able to successfully treat it via trans-oral laser CO2 microsurgery before any complications developed.

피부이식과 흉쇄유돌근 피판을 이용한 기관 결손의 재건 1례 (Reconstruction of Tracheal Defect by Sternocleidomastoid Muscle Flap Covered with Skin Graft: A Case Report)

  • 장수경;서강현;최선;박석현;김진환;이동진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63-66
    • /
    • 2021
  • Supracricoid partial laryngectomy (SCPL) with cricohyoidoepiglottopexy (CHEP) or cricohyoidopexy (CHP) involves the removal of the whole thyroid cartilage, both true and false vocal cords, the ventricles, and the paraglottic spaces, sparing the cricoid cartilage, hyoid bone, and at least one functional and mobile cricoarytenoid unit. Reconstruction is performed by suturing of the cricoid cartilage up tightly to the hyoid bone, so trachea-releasing procedures are needed to prevent leakage at anastomosis site. In case of advanced tranglottic cancer invading tracheal tracheal wall, we need to perform additional circumferentrial circumferential tracheal wall resection. However, when we perform SCPL, circumferential resection of tracheal wall is limited because SCPL procedure itself needs releasing of tracheal length. We report a case of advanced transglottic cancer involving tracheal wall treated with induction chemotherapy and SCPL including tracheal wall resection with reconstruction of tracheal defect by sternocleidomastoid muscle flap covered with skin graft.

후두개와 유표피낭종 : 10례 분석 (Epidermoid Tumor of Posterior Fossa : Analysis of 10 Cases)

  • 임효주;안재성;권양;이정교;권병덕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6호
    • /
    • pp.744-747
    • /
    • 2000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features of the epidermoid tumor of posterior fossa and to assess the surgical outcome. Methods : We reviewed the clinicoradiological records of 10 epidermoid tumor of posterior fossa, treated surgically at our hospital between 1991 and 1996. Results : The mean age of onset was 36 years old and mean duration of symptom was 5.2 years. Six were men and four were women. The location of tumors were cerebellopontine angle(CPA) 5 cases, cerebellum(Cbll)& 4th ventricle 3 cases, foramen magnum 1 case, and pineal region extended to Cbll and 4th ventricle 1 case. Common clinical features were trigeminal neuralgia in 3 cases, cerebellar signs 2 case, headache 2 cases, hemifacial spasm with deafness 1 case, cbll signs and multiple cranial nerve dysfunctions 1 case. One CPA epidermoid had no clinical symptom and sign associated with the tumor. The surgical approaches were suboccipital approach in 9 cases and one transcallosal approach to the tumor of pineal region. The extent of surgical removal was gross total resection in 5 cases and near total or subtotal resection in 5. Two patients with CPA tumor were complicated with facial paresis. One patient with tumor located in cerebellum extended into cisterna magna had postoperative vocal cord paresis. All complicated cases had severe adhesion of tumor capsule with brainstem or cranial nerve. The mean duration of follow up was 26 months. The overall outcome was improvement of symptoms and signs in 6 cases and stationary 4 cases. During follow up, imaging study was done in 7 patients and none of them had finding of tumor recurrence. Conclusion : We conclude that recurrence of tumor is rare in both total and subtotal resected cases, but long-term follow-up is required. Aggressive removal of tumor capsule that adhesed to brianstem or cranial nerve is avoided for preventing severe postoperative complic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