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tamin A and C

검색결과 2,159건 처리시간 0.032초

청주지역 중학생의 패스트푸드 섭취량에 대한 영양소 밀도 평가 (Nutrient Density of Fast-Food Consumed by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Cheongju City)

  • 김기남;박은주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71-280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st-food consumption and it's nutrient density, and the correlation between subject's characteristics and consumption frequency of fast-food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50 male and 190 female students in Cheongju cit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AS and statistics used were percent of frequency, $X^2$-test,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main reasons for using fast-food restaurants were 'good taste' and 'convenience'. The major concerns when the subjects choose fast-foods were 'taste ($65.9\%$), price ($20.3\%$) and 'nutrition'($6.0\%$). The consumption pattern of fast-foods go as follows: twice a month ($42.3\%$), once a week ($31.5\%$), and less than once a week. The number of fast food items that the subjects ate for one meal was two ($46.0\%$) or three ($33.2\%$). The most frequently chosen combination of foods for number of two choices was beefburger and cola. The mean average energy intake from fast foods for one meal was 620.7 kcal for male, 504.5 kcal for female. The energy ratio of carbohydrate : protein fat from fast foods was 49 : 14 : 43, which means fat intake is much higher than recommended level ($20\%$). Fiber was appeared to be the lowest on the nutrient density which was $17.7\%$ of the recommended level for Koreans, vitamin C was next ($22.8\%$ for male, $20.1\%$ for female). In mineral, iron was the lowest ($71.8\%$ for male, $67.1\%$ for female), and protein was over $100\%$ for both males and females. Frequency of fast food intak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ating frequency of the salty, the sweets, him, caffeine containing foods, instant noodles, and cookies. In conclusion, frequent consumption of fast foods can lead unbalanced nutrient intak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ose who consumed fast foods frequently showed undesirable food habits in their daily meal. Therefore, nutrition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should be needed to encourage them to choose more nutritious food and have healthier dietary pattern.

혈액투석 환자에서 당뇨병 유무에 따른 영양상태와 영양섭취량 비교 (A Prospective Study on Nutritional Status and Nutrient Intake of Hemodialysis Patients Based on Coexistence of Diabetes)

  • 오예성;안재영;김미향;최선정;정종철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3권1호
    • /
    • pp.1-13
    • /
    • 2017
  • It is well known that malnutrition is a predictor of mortality in hemodialysis patients. The number of diabetic nephropathy patients is increasing rapidly.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nutritional status and nutrient intake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diabetes among hemodialysis patients. The nutritional intake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outpatients at Ajou University Hospital (24 with diabetes and 30 without diabetes) were investigated between July and September 2015. Patients' general data were collected, and nutritional status by Patient-Generated Subjective Global Assessment (PG-SGA) was evaluated. Nutrient intakes were assessed according to 3-day food record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ing body weight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the non-diabetic group showed a better nutritional status by Patient-Generated Subjective Global Assessment (PG-SGA) ($5.2{\pm}4.4$ vs. $8.0{\pm}4.3$ score, non-diabetics vs. diabetics, P<0.05). There was no difference in daily calorie intake ($1,473.9{\pm}370.5$ vs. $1,503.8{\pm}397.5kcal$) and protein intake ($60.3{\pm}19.7$ vs. $65.6{\pm}20.5g$) in those with diabetes. Intakes of vegetables protein, sodium, potassium, vitamin C, folic acid and fiber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iabetic group compared to those of the non-diabetic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in daily nutrient intake between the hemodialysis weekday and weekend groups. The non-diabetic group had higher calorie and sodium intakes per meal in the hemodialysis weekday group,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intervention should be performed to improve nutritional status in consideration of diabetes and dietary patterns.

금 나노입자를 처리한 홍삼의 산화스트레스 완화 및 PC-12 신경세포 보호 (Protective effects of red ginseng treated with gold nanoparticles against H2O2-induced oxidative stress in neuronal PC-12 cells)

  • 김지원;조치흥;황윤구;박우정;강 희;김대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222-22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금 나노입자 용액을 생장하는 6년근 인삼에 직접 시비해서 금 나노입자가 전이된 황금인삼을 열수 추출하여 총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산화방지능 및 신경세포 보호능을 평가하였다. $1^{\circ}Bx$의 황금홍삼 추출물은 총페놀과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각각 212.2 mg GAE와 3.5 mg CE였다. ABTS, DPPH 및 ORAC 법으로 측정시, 황금홍삼 추출물의 산화방지능은 각각 272.3, 141.2, $868.4mg\;VCE/^{\circ}Bx$였다. 황금홍삼 추출물은 과산화수소로부터 유래한 세포 내 산화스트레스를 감소시켜 PC-12 신경세포의 생존율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또한, 황금홍삼 추출물은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을 가수분해하는 AChE 및 BChE 활성을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금 나노입자를 처리한 홍삼을 이용한 산화방지 및 신경손상억제 소재로 활용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당나귀 사골과 껍질의 항산화기능 및 SK-N-SH세포 보호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and the Protective Effect of Donkey's Bone and Skin Extracts on SK-N-SH Cells)

  • 김동욱;채현석;김남영;장애라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8호
    • /
    • pp.1019-1024
    • /
    • 2013
  • 본 실험에서는 당나귀 사골과 껍질을 추출하여 항산화 활성 및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유도되는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구명하였다. DBSE의 항산화 활성은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나타내었는데(p<0.05), 40 mg/ml 일 때, 95.43%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고, 20 mg/ml일 때, 88.73%의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10 mg/ml일 때, $132.53{\mu}M$ TE의 ORAC을 나타내었다(p<0.05). 신경모세포종 SK-N-SH 세포에 DBSE을 처리한 결과 세포 독성은 나타내지 않았으며, 신경세포에 활성산소종인 $H_2O_2$를 처리하여 DBSE의 산화적 스트레스 보호효과를 확인 한 결과, 처리농도 의존적으로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당나귀 사골과 껍질 추출물은 산화를 억제하고 SK-N-SH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보여 생리활성 기능소재로서 이용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추후 동물실험을 통한 안전성 및 생체대사조절기능과 효과증진기술에 대한 연구가 추가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장뇌삼 및 장뇌삼엽차의 생리활성평가 (Physiological Evaluation of Korean Mountain Ginseng and Korean Mountain Ginseng Leaf Tea)

  • 예은주;김수정;남학식;박은미;배만종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50-356
    • /
    • 2010
  •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 결과 발효장뇌삼엽차의 추출물이 장뇌삼엽차의 추출물보다 활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뇌삼과 발효장뇌삼이 장뇌삼엽차와 발효장 뇌삼엽차보다 항산화 활성이 높은 결과를 얻었다. 장뇌삼과 발효장뇌삼의 항산화 활성은 비슷하였다. SOD 유사활성도 측정에서는 대조군인 vitamin C와 비교할 때 모든 군이 SOD 유사활성도가 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 3.0의 조건에서 1 mg/mL의 농도로 처리 하였을 때 아질산염 소거능이 장뇌삼엽차, 발효장뇌삼, 장뇌삼, 발효장뇌삼의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pH 6.0의 조건에서는 모든 군이 아질산염 소거능이 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HeLa cell에서 시료 중 장뇌삼과 발효장뇌삼엽차의 추출물이 1 mg/mL의 농도에서 30% 이상의 암세포 증식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발효장뇌삼과 장뇌삼엽차는 각각 약 24%, 22%로 분석되었다. MCF-7 cell 발효장뇌삼과 장뇌삼엽차의 추출물이 1 mg/mL의 농도에서 27% 이상의 암세포 증식 억제율을 나타내어 비슷하였고, 장뇌삼 추출액이 21%로 가장 낮았으며, 발효장뇌삼엽차 추출액이 70% 이상으로 나타나 암세포 증식 억제율이 각 시료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Resveratrol과 Methoxylated Resveratrol이 닭 다리육의 저장 품질에 미치는 영향 (Dietary Supplementation of Resveratrol and Methoxylated Resveratrol Affects on Chicken Thigh Meat Quality)

  • 장애라;함준상;김동욱;설국환;오미화;채현석;김상호;김동훈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15-322
    • /
    • 2011
  • 본 연구는 뽕나무 가지에서 추출한 resveratrol과 methoxylated resveratrol의 급여가 닭고기 다리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1일령 Ross 320마리 육계 병아리를 8처리구로 나누어 대조구(BD), 항생제 처리구(AB), 비타민 E 20 ppm 처리구(VE 20), 비타민 E 200 ppm 처리구(VE 200), resveratrol 20 ppm(RV 20), resveratrol 200 ppm (RV 200), methoxylated resveratrol 20ppm(MR 20), methoxylated resveratrol 200 ppm(MR 200) 처리구로 나누어 35일간 급여하였다. 급여 후 36일째 도계하여 다리육만 분리하였고, 1, 3 및 5일 냉장 저장 기간 동안의 pH, 보수력, 육색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pH는 저장 1일에 AB, VE 및 MR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p<0.05). 저장3일과 5일에 각 RV와 MR의 20과 200 처리는 닭다리 육의 pH 수준을 대조군보다 높게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p<0.05). 명도($L^*$)는 저장 1일과 5일에 모든 처리구에서 BD 처리구와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VE 200 처리구와 MR 20 처리구는 저장 기간 동안 적색도의 수준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p<0.05), 육색의 안정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보수력은 저장 3일의 경우는 VE 20, RV 200, MR 20, MR 200 처리구에서 BD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관능적 특성 중 연도는 저장 1일과 5일에는 VE 20을 제외하고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저장 3일에 항생제 처리구, VE 20, RV 20과 MR 200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여 관능요원들의 선호도 증진에 영향함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resveratrol과 methoxylated resveratrol은 육계 다리육의 품질을 증진시키기 위한 육계 사료 첨가제로서 이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일부 초등학생의 식이조사 및 섭취 식품의 아연 함량 분석에 의한 식이 아연 섭취량 평가 - 충남 벽지와 도시간의 비교 - (Dietary Zinc Intake Assessed by Dietary Survey and Zinc Analysis of Foods Consumed by Elementary Schoolchildren in Chungnam Province in Korea - Comparison between Remote Rural and Urban Areas -)

  • 이은미;김선효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00-107
    • /
    • 201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dietary intake and food sources of zinc (Zn), using a database of Zn composition developed in this study, between elementary schoolchildren in a remote rural area (RA, n=58, $9.9{\pm}1.7\;yrs$) and those in an urban area (UA, n=60, $9.4{\pm}1.8\;yrs$) in Chungnam province in Korea. A dietary survey for three days by food record method was performed. All kinds of foods (n=273) consumed by subjects were collected by aliquot sampling method, and the Zn content of these foods were analyzed by wet techniqu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aily mean intakes of energy, calcium, iron, and vitamin C from diet in the RA were in the range of 49-88% of the Korean DRI (KDRI), while those in the UA were similar to or greater than the KDRI, except for calcium and iron. The daily mean intake of Zn from the RA diet was $7.0{\pm}0.5\;mg/d$ ($114.1{\pm}8.4%$ of the KDRI), and $16.0{\pm}1.0\;mg/d$ ($258.3{\pm}16.3%$ of the KDRI) in that of the UA (p<0.001). The percentage of dietary intake of Zn less than 2/3 of the KDRI was 19.0% in the RA, in comparison to 1.7% in the UA. Those in the RA consumed Zn from plant foods more often than did those in the UA (p<0.001). Beef rib stew was the food source with highest Zn amount for the total subjects, followed by beef rib meat, roasted; and beef soup w/seasoned red pepper sauce. These results showed that some children in the RA had poor Zn nutrition based upon low intakes and poor food sources of Zn, while overall, children in the UA had good Zn nutrition. Therefore, those in RAs should have their Zn nutrition improved through government policy and nutrition education.

Scopolamine으로 유도된 기억 손상 마우스에서 청국장 식이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 of Chungkukjang Supplementation against Memory Impairment induced by Scopolamine in Mice)

  • 공현주;이경은;양경미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37-24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기억 손상을 유발하는 scopolamine을 투여한 마우스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하여 12주간 공급시킨 대두 청국장 분말, 약콩 청국장 분말 및 흑미, 흑임자, 다시마를 첨가한 약콩 청국장 분말 식이의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scopolamine을 투여한 마우스의 뇌 중량은 감소되었으나 세 종류의 청국장 분말의 섭취로 유의하게 호전시킬 수 있었다. Scopolamine의 투여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해 혈청에서 증가된 NO와 MDA 함량은 세 종류의 청국장 분말의 섭취로 감소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대두, 약콩 및 블랙푸드가 함유된 약콩 청국장 식이는 항산화 작용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항산화 효소로 혈청에서의 SOD와 GST 활성은 모든 실험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뇌 조직의 SOD 활성은 정상군에 비해 scopolamine을 투여한 모든 실험군에서 p<0.05 수준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활성을 보였으나, GST 활성은 증가되었다. 증가된 GST 활성은 대두, 약콩 및 블랙푸드가 함유된 약콩 청국장 식이 섭취로 조절되었으나, 정상군의 활성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Scopolamine의 투여로 낮아진 혈청의 retinol 함량은 약콩 및 블랙푸드가 함유된 약콩 청국장이, 그리고 뇌 조직에서는 대두 및 약콩 청국장 섭취로 높일 수 있었다. 또한 scopolamine의 투여로 낮아진 혈청의 ${\alpha}-tocopherol$${\alpha}-tocopherol$ acetate 함량은 블랙푸드가 함유된 약콩 청국장 섭취로 증가를 보임에 따라 블랙푸드가 함유된 청국장이 체내 비타민 E 상태에 대한 보호효과가 기대된다. 뇌 조직의 TAC는 정상군에 비해 scopolamine으로 투여군에서 현저히 낮았으나, 약콩 및 블랙푸드가 함유된 약콩 청국장 섭취로 정상수준으로 TAC를 증가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scopolamine의 투여로 증가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하여 대두, 약콩 및 블랙푸드가 함유된 약콩 청국장 분말이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그러므로 향후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예방과 관리를 위하여 청국장 이외에 블랙푸드 섭취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는 근거 자료로 충분한 가치고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누에생실샘 미세분말을 이용한 베이비파우더 소재 개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Baby Powder Using Silk gland Powder of Silkworm)

  • 전정우;권해용;조유영;류강선;이광길;여주홍;강필돈;남성희;박광영;김미자;박명기;손용호;김성현;김상규;임성빈;최병훈;하수연;이희삼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20-26
    • /
    • 2012
  • In this study, silk gland powder of silkworm were investigated to see the possibility for baby powder cosmetics materials. To test possibility as a baby powder cosmetics, total content rate of amino acids,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ssay, MTT assay, and clinical trial were don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amino acids of silk gland powder, serin (26.77%) content was the highest and asparatic acid (15.47%), and glycine (9.62%) were followe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silk gland powder was lower than vitamin C by 82.3% and 97%, respectively, which is relatively good. Moisture effect were increased in silk gland powder compared to control cosmetics by 50%. Also, silk gland powder was classified as a practically non-irritating material based on the score 0.05 of primary irritation index. Th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ilk gland powder of silkworm may have beneficial properties as a material for baby powder cosmetics.

미생물에 의한 살어성물질의 생성 및 그 작용 (Production and Action of Microbial Piscicidal Substance)

  • 도재호;서정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1-46
    • /
    • 1978
  • 진균류인 Aspergilus flavus의 대사생성물인 aflatoxin이 발암성물질이카는 것이 알려진 이래 비병원성 미생물이라고 ale어왔던 여러가지 미생물의 독성물질 생성여부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우리 식생활에 미생물독 즉 mycotoxin에 대한 문제는 더욱 중요하게 되였다. 본 실험에서는 토양에서 분리한 방선균속 균주가 생성하는 살어성물질의 기본적인 성질은 pH 3~7사이는 안정하였으나 PH 8이상에서는 매우 불안정하였으며 열에 대해서도 비교적 불안정한 물질이었으며 어종과 어체중에 따른 독성의 비교는 체중이 증가함에 따라 생존시간이 길었지만 버들붕어와 미꾸라지가 타어종에 비해서 본 독성물질에 대한 저항성이 매우 켰다. 일반적으로 미생물독의 생물에 대한 작용$^{(24~26)}$은 hemolytic necrotizing, proteolytic, neurotoxic, cardiotoxic, hepatotoxic, nephrotoxic 등을 들 수 있으나 대부분의 독성물질은 상기 독작용 가운데 한 두 가지로서 그 주인이 된다. 본 물질의 잉어에 대한 각 조직의 succinic dehydrogenase 활성에 대한 조해작용을 조사한 결과 근육, 심장, 뇌 조직에 강한 조해현상을 나타내었다. 본 독성물질생성에 대한 금속 ion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Cu^{2+}$, $Pb^{2+}$의 첨가가 크게 관계한다는 것을 알았으며 기타 본물질성장에 carbohydrate, amino acid, vitamin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 보고자 하며 어류이외의 타 온혈동물의 조직에 본독성물질을 작용시켜 그 결과를 알고자 한다. 한편 본 물질이 잉어의 각 조직에 대한 succinic dehydrogenase 활성에 미치는 정도 및 본 물질생성에 미치는 금속염의 영향을 볼 때 송$^{19~22}$ 등이 분이한 물질과는 차이가 있음을 알았다.소되었다. Alkaline protease는 배양 24시간에서 48시간까지는 0.1%구와 0.5%구가 대조구보다 효소력이 높았고 그 이상의 인삼엑기스가 첨가된 처리구보다 효소력이 낮았다. 그러나 48시간 이후부터는 효소력은 인삼엑기스 첨가량 순으로 감소를 나타내었다. period of May 13th-June 4th 1976. The study data was collected by the direct interview method based on the questionnaire which the investigator made out. The study result was analyzed by percentage, t - test.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nurses doing duty on puerperal ward: a. Nurses′average age was 24.8 years old. b. 84.6% had educational background of 4 years of college. c. 69.2% had a religion. d. 53.8% were married. e. 53.8% had clinical experience of 1 year -3 years. f, 61.5% did duty on puerperal ward during 1 year -3 years. g. 46.2% desired to do duty on obstetric ? gynecologic ward. 2.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women who were studied during their puerperal period: a. Women′s average age was 26.4 years old. b. 79.5% had educational background above high schoo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