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tal sign

검색결과 299건 처리시간 0.024초

환자의 활력 징후를 이용한 후향적 데이터의 분석과 연구를 위한 데이터 가공 및 시각화 방법 (Data Processing and Visualization Method for Retrospective Data Analysis and Research Using Patient Vital Signs)

  • 김수민;윤지영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175-185
    • /
    • 2021
  • Purpose: Vital sign are used to help assess the general physical health of a person, give clues to possible diseases, and show progress toward recovery. Researchers are using vital sign data and AI(artificial intelligence) to manage a variety of diseases and predict mortality. In order to analyze vital sign data using AI, it is important to select and extract vital sign data suitable for research purposes. Methods: We developed a method to visualize vital sign and early warning scores by processing retrospective vital sign data collected from EMR(electronic medical records) and patient monitoring devices. The vital sign data used for development were obtained using the open EMR big data MIMIC-III and the wearable patient monitoring device(CareTaker). Data processing and visualization were developed using Python. We used the development results with machine learning to process the prediction of mortality in ICU patients. Results: We calculated NEWS(National Early Warning Score) to understand the patient's condition. Vital sign data with different measurement times and frequencies were sampled at equal time intervals, and missing data were interpolated to reconstruct data. The normal and abnormal states of vital sign were visualized as color-coded graphs. Mortality prediction result with processed data and machine learning was AUC of 0.892. Conclusion: This visualization method will help researchers to easily understand a patient's vital sign status over time and extract the necessary data.

환자감시시스템(PMS) 실시간 생체정보관리 시스템 구현 (The Implementation of Real Time Vital Sig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n Patient Monitoring Systems)

  • 강기웅;임세정;김광준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2권4호
    • /
    • pp.244-249
    • /
    • 2007
  • HL7은 병원정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정보와 관련된 표준화된 프로토콜이다. Central Monitor로부터 전송되어진 환자의 생체정보 Raw Data가 HIS의 데이터 수신 모듈을 통해 사용가능한 데이터로 재구성될 수 있도록 설계가 이루어져 있다. 환자 생체정보에 대한 실시간성과 생체정보에 대한 생체정보 데이터의 연속성을 부여함으로서 베드 사이트의 환자에게서 발생된 모든 생체정보에 의해 환자 관리가 이루어진다. 또한 보다 많은 검사장비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전산화함으로서 해당 환자의 광범위한 자료 검색이 이루어지므로 획기적인 원격진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 PDF

HL7(Healthy Level Seven) 프로토콜을 이용한 실시간 환자 모니터링 웹 뷰어시스템 개발 (The Web Viewer System Development of Real-Time Patient Monitering using HL7(Healthy Level Seven) Protocol)

  • 김광준;임세정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546-555
    • /
    • 2009
  • HL7은 병원정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정보와 관련된 표준화된 프로토콜이다. 생체 정보 웹 뷰어 시스템 또한 의료 영상 및 전송에 대해 표준화된 프로토콜이다. 본 논문에서는 ICU(Intensive Care Unit)에 설치된 Central Monitor에서 확인할 수 있는 환자의 생체 정보들을 웹상에서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 구성을 제안하기 위하여 생체정보 수신 모듈과 웹 뷰어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생체정보 수신 모듈은 Central Monitor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Raw Data 형태의 환자의 생체 정보를 생체 정보 웹 뷰어 시스템에서 사용가능 한 데이터로 분석할 수 있도록 설계가 이루어져 있다. 웹 뷰어 시스템은 환자 생체 정보에 대한 실시간성과 생체 정보에 대한 데이터의 연속성을 부여하여 베드 사이트의 환자에게서 발생된 모든 생체정보에 의해 환자 관리를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전산화함으로써 환자의 광범위한 자료 검색이 이루어지므로 획기적인 원격 진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적절한 생체 정보데이터의 교환과 정보 관리의 수정을 통해 병원정보 시스템은 모든 병원 관계자의 보다나은 업무처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스케일링 전과 후의 불안 및 Vital Sign 변화 (Changes in Anxiety and Vital Signs of Scaling Patients)

  • 김해선;한지연;황지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396-407
    • /
    • 2017
  • 본 연구는 일개 대학 치위생과에 스켈링을 받으러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스켈링 전과 후의 불안 및 공포와 vital sign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2015년 8월부터 11월까지 실시되었다. 자기기입식 설문지 작성과 Vital Sign을 측정하여 진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불안 및 공포에 대한 항목 중 '마취용 주사바늘을 볼 때 두려움을 느낀다.'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스케일링 전과 후에 각각 2.84점, 2.51점으로 조사되었다. 스케일링 전 맥박은 분당 77.48회에서 스케일링 후 분당 74.36회, 혈압은 스케일링 전 수축기 혈압이 124.86mmHg에서 122.34mmHg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스케일링 전과 후의 불안 및 공포와 Vital Sign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이 가장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불안의 경우 스케일링 전에 여자는 2.40점, 남자는 1.86점, 스케일링 후에는 여자 2.16점, 남자 1.65점으로 각각 조사되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Vital Sign의 경우 스케일링 전 수축기혈압이 남자가 133.59mmHg, 여자가 118.31mmHg으로 조사되었으며, 스케일링 후에는 수축기혈압이 남자가 129.36mmHg, 여자가 117.87mmHg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령에 따른 Vital Sign은 스케일링 후의 이완기 혈압의 경우 10대 69.63mmHg, 20대 76.48mmHg, 30대 이상은 79.29mmHg으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이완기 혈압이 상승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정리해보면 스케일링 전과 후의 불안 및 공포와 Vital Sign은 변화가 있으며, 성별, 거주지, 연령 직업 등이 불안과 Vital Sign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를 바탕으로 치과에 방문하는 환자들의 불안과 공포를 줄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정확한 전자 Vital Sign 측정기 (The accuracy of electric manometer measuring vital signs)

  • 이은옥
    • 대한간호
    • /
    • 제4권3호통권17호
    • /
    • pp.46-52
    • /
    • 1965
  • 전자신체기능 측정기가 발명되어 현재 그 자동장치의 효능에 대해서 전국 각지에서 조사하고 있다. 그리하여 전자측정기에 의한 vital sign측정이 종례의 방법보다 좋은 점이 있다는 사실을 지금 바야흐로 발견하기 시작하고 있다. 간호원은 종래의 측정방법에 변화성과 오류가 있을 수 있고 두 가지 중 어느 방법을 택하더라도 정상범위 안에서의 변화나 개인차는 있다는 것을 이해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 여기에서 가장 강조하고 싶은 것은 vital sign에 어떤 변화가 생겼을 때 그 변화를 현명하게 해석해서 그의 중요성 여하를 평가할 수 있는 간호원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 PDF

분산 네트워크 환경하에서 TMO를 이용한 중환자 생체정보 원격 진료 시스템 구현 (The Implementation of Patient Vital Sign Information Telemedicine System using TMO in Distributed Network Enviroment)

  • 김광준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1128-1140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TMO 실시간 객체 모델을 이용하여 실시간 통신 메시지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중환자의 실시간 생체정보 전송 시스템을 나타내었다. 또한 분산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TMO 구조를 이용하여 ICU(intensive care unit) 응용 환경에 적용함으로서 실시간 메시지 서비스를 보장하였다. TMO를 이용한 생체정보 파싱 수신 모듈은 ICU의 Central Monitor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Raw Data 형태의 환자의 생체 정보를 생체 정보 웹 뷰어 시스템에서 사용가능한 데이터로 분석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실시간 뷰어 시스템은 환자 생체정보에 대한 실시간성과 생체 정보에 대한 데이터의 연속성을 부여하여 베드 사이트의 환자에게서 발생된 모든 생체정보에 의해 환자 관리를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전산화함으로써 환자의 광범위한 자료 검색이 이루어지므로 원격진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TMO 객체 모델을 기반으로 한 실시간 시뮬레이션에서 몇 가지의 TMO 구조의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TMO 객체 모델은 요구 명세서와 설계 사이의 강력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Comparison of vital sign stability and cost effectiveness between midazolam and dexmedetomidine during third molar extraction under intravenous sedation

  • Jun-Yeop, Kim;Su-Yun, Park;Yoon-Sic, Han;Ho, L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8권6호
    • /
    • pp.348-355
    • /
    • 2022
  • Objectives: To compare the vital sign stability and cost of two commonly used sedatives, midazolam (MDZ) and dexmedetomidine (DEX). Patients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targeted patients who underwent mandibular third molar extractions under intravenous sedation using MDZ or DEX. The predictor variable was the type of sedative used. The primary outcome variables were vital signs (heart rate and blood pressure), vital sign outliers, and cost of the sedatives. A vital sign outlier was defined as a 30% or more change in vital signs during sedation; the fewer changes, the higher the vital sign stability. The secondary outcome variables included the observer's assessment of alertness/sedation scale, level of amnesia, patient satisfaction, and bispectral index score. Covariates were sex, age, body mass index, sleeping time, dental anxiety score, and Pederson scale.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omputed includ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The P-value was set at 0.05. Results: The study enrolled 185 patients, 103 in the MDZ group and 82 in the DEX group. Based on the data after PSM, the two samples had similar baseline covariates. The sedative effect of both agents was satisfactory. Heart rate outliers were more common with MDZ than with DEX (49.3% vs 22.7%, P=0.001). Heart rate was higher with MDZ (P=0.000). The cost was higher for DEX than for MDZ (29.27±0.00 USD vs 0.37±0.04 USD, P=0.000). Conclusion: DEX showed more vital sign stability, while MDZ was more economical. These results could be used as a reference to guide clinicians during sedative selection.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의 실시간 생체정보 서비스 메시지 보장 (The Gaurantee of Real-Time Vital Sign Information Service Message of Patient Monitoring System in Distributed Network Systems)

  • 임세정;김광준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162-167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TMO 실시간 객체 모델을 이용하여 실시간 통신 메시지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중환자의 실시간 생체정보 전송 시스템을 나타내었다. 또한 분산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TMO 구조를 이용하여 PMS(Patient Monitoring System) 응용 환경에 적용함으로서 실시간 메시지 서비스를 보장하였다. TMO를 이용한 생체정보 파싱 수신 모듈은 PMS의 Central Monitor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Raw Data 형태의 환자의 생체 정보를 HL7(Healthy Level Seven) 프로토콜과 TCP/IP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원격적으로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생체 정보 웹 뷰어 시스템을 개발하였고, 사용자가 사용가능한 데이터로 분석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TMO 객체 모델을 기반으로 한 실시간 시뮬레이션에서 몇 가지의 TMO 구조의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TMO 객체 모델은 요구 명세서와 설계 사이의 강력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 PDF

Wireless RF Sensor Structure for Non-Contact Vital Sign Monitoring

  • Kim, Sang-Gyu;Yun, Gi-Ho;Yook, Jong-Gwan
    • Journal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제12권1호
    • /
    • pp.37-44
    • /
    • 2012
  • This paper describes a compact and novel wireless vital sign sensor at 2.4 GHz that can detect heartbeat and respiration signals. The oscillator circuit incorporates a planar resonator, which functions as a series feedback element as well as a near-field radiator. The periodic movement of a human body during aerobic exercise could cause an input impedance variation of the radiator within near-field range. This variation results in a corresponding change in the oscillation frequency and this change has been utilized for the sensing of human vital signs. In addition, a surface acoustic wave (SAW) filter and power detector have been used to increase the system sensitivity and to transform the frequency variation into a voltage waveform.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ensor placed 20 mm away from a human body can detect the vital signs very accurately.

인터넷을 통한 원격환자 모니터링 (Remote Patient Monitoring through the Internet)

  • 박승훈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77-383
    • /
    • 2001
  • In this paper, we present an intensive patient monitoring service through the Internet, which enables medical doctors to watch their patients in a remote site, to monitor their vital signs and to give them some advices for first-aid treatment. The service consists of three service objects: Monitoring Information Service(MIS), Vital Sign Monitoring Service(VSMS) and Multimedia Consulting (MCS). Through the MIS, medical doctors can get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s currently under monitoring, including their names, ages, genders, symptoms, current main complaints and current locations. The VSMS enables medical doctors to monitor in real-time patients' vital signs such as electrocardiogram (ECG), respiration, temperature, blood oxygen saturation (SpO$_{2}$), invasive blood pressure (IBP), and non-invasive blood pressure (NIBP). It also generates alarms when the patients are likely to be in a critical situation. The MCS provides a real-time multimedia desktop conferencing facility for watching patients and instructing attendants to administer some first-aid treatment. We carried out some experiments according to two different scenarios. The intensive patient monitoring service was functioning well in a 100Base-T Ethernet LAN environ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