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uality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41초

5G기반 VR/AR/MR/Hologram의 공간에서 나타나는 21세기형 시각 알고리즘 구축 (Construction of 21st Century Visual Algorithm in 5G-based VR/AR/MR/Hologram)

  • 임상국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1208-1214
    • /
    • 2019
  • 4th industrial age! 5G-based video content has changed rapidly. How do you view and understand VR/AR/MR/holograms in the age of convergent technology media represented by digital convergence in the 21st century beyond the modern visual system of Descartes? It predicts extension to an interactive visual system. This study proposes a methodology to visualize the Lacanian visual acuity after applying it to the L-System and to understand the visual system of the 21st century.

20세기 회화공간에서 시지각과 신체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action between visual perception and the body in contemporary painting space)

  • 이금희
    • 조형예술학연구
    • /
    • 제11권
    • /
    • pp.109-152
    • /
    • 2007
  • 20세기 미니멀리즘으로부터 시작된 후기미술은 그린버그적인 시각의 순수성과 자율성에 대한 비판으로 시각예술에서 재현과 시각 중심주의에서 비롯된 형식논리를 문제시하게 되고, 시각을 다른 감각들이나 신체, 삶 현실, 역사 등과 분리되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부정한다. 이런 관점에서 본 연구는 시각(Vision) 혹은 시지각(Visuality)을 신체와 결부시켜 시각의 신체성의 가능성을 회화 공간 속에서 드러난 표현을 통해 구체적으로 찾아보고, 시지각과 신체의 상호작용성을 검토하여 지각과 그 회화적 표현에 있어서의 신체적 역할을 강조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신체성은 남성적 시각중심주의에 대해 페미니즘에서는 여성적 신체성, 즉 물질성, 촉각성 등의 공감각적 감각의 세계를 강조하며, 후기 미술의 파편적 특성은 통일성과 게슈탈트를 지향하는 시각중심주의에 대한 해체를 지향하고 있고, 참조와 파스티쉬 역시 시각의 순수성과 통일성을 부인하는 경호에서 나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과정을 중시하는 프로세스 아트가 성행한다든지, 무정형 (formless), 혹은 앱젝트 미술(Abject Art)이 등장한다든지 하는 것은 바로 시각중심주의를 허물고 거기에 신체성, 즉 행위와 물질성을 도입하려는 움직임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대지미술이나 설치미술 등은 적극적으로 관람자의 신체의 개입을 요구하게 되고, 실제적 공간과 환경 속에서 시시각각 변하는 지각을 경험하게 한다. 이렇듯 현대미술은 의식적 공간보다는 실제 공간으로, 순수기호적인 공간보디는 신체적 느낌의 공간으로, 눈이 만들어낸 공간보다는 손의 행위와 물질이 만들어 내는 공간으로, 통일적 공간보다는 혼연하며 애매한 공간으로, 혹은 시각적으로 거리를 두는 공간보다는 신체적으로 상호 얽히는 공간으로의 전환을 보여준다. 지각과 신체에 관한 이론적인 배경을 제공해 준 사람은 프랑스의 현상학자 메를로 퐁티(M. Merleau-Ponty)이며, 구체적인 작업으로 길을 예시한 사람들은 프랭크 스텔라(Frank Stella)와 프란시스 베이컨(Francis Bacon)이다. 메를로 퐁티는 후설과는 다르게 세계인식의 근원적 토대로써 명증한 의식보다는 혼연하며 애매한 지각과 그 배경으로서 신체를 내세웠는데, 이는 할 포스터 등이 말하듯 미니멀리즘의 현상학적 배경이 되면서 또한 모더니즘의 논리에 반기를 드는 후기미술에 적합한 이론적 배경을 제공해 준다. 메를로 퐁티의 $\ulcorner$지각의 현상학$\lrcorner$은 지각의 근원성과 그 신체적 배경에 관한 중요한 이론으로 지각에 있어서 신체의 작용과 특징에 대한 논의는 시각예술에 적용될 때 지각의 신체론의 회화적 함의를 설명해 줄 수 있는 근거가 되었다. 또한 메를로 퐁티의 존재론적 회화론은 신체적 표현성과 화가의 회화적 표현에 대한 구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주목되었으며, 그는 세잔의 회화를 살의 존재론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회화의 신체적 존재론적 측면 역시 검토될 것이다. 스텔라의 경우, 70년대 이후의 작품들이 전기 작업과는 다른 경향을 보여주는 것, 이를테면 틀의 해체, 탈중심적 공간표현, 역동적이며 혼합적인 표현, 중첩에 의한 실재 공간의 허용 등이 지각의 신체성을 용인하는 쪽으로의 전향이라고 판단되었으며, 베이컨의 경우, 회화적 구조, 즉 형상(figure), 삼변화, 아플라, 우연에 의한 제작방식 등이 메를로 퐁티의 살(la chair)적인 상호교착(chiasme)의 논리를 잘 보여준다고 이해되었다. 본 연구는 먼저 현대 미술의 흐름에서 시지각과 신체의 상호작용, 혹은 신체성의 개입에 대한 변화를 확언하기 위하여 지각과 신체의 위치를 모더니즘, 미니멀리즘, 후기미니멀리즘, 그 이후의 미술이라는 사적인 흐름의 큰 틀 속에서 살펴보았으며, 이를 지각과 신체에 관한 담론과 연결시켰다. 이에 대한 근거로 지각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먼저 살펴보았는데, 지각심리학 중에서도 지각의 신체성에 대한 과학적인 논의를 제공해주는 형태심리학적 논의들을 다루고, 이어 형태심리학을 주로 시각예술의 차원에서 예시해 보여주었던 루돌프 아른하임의 논의를 다루었다. 또한 신체와 시지각의 상호작용 분석을 위한 사례로, 신체지각적인 요소를 적극 도입하고 있는 후기 스텔라와 베이컨의 회화를 중심으로 시각의 신체성의 문제를 예시하며 해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신체성과 관련하여 봄의 문제를 규정지으려는 작업들, 신체의 축적으로서의 신체의 역할, 신체의 배경으로서의 현실적, 일상적 삶과의 결부로부터 회화적 표현 가능성을 모색하고 그 위상변화를 확언하고자 한다.

  • PDF

모바일 OLED 디스플레이를 위한 인간 시각 만족의 최적 전력 절감 색 변환 (Human Visual System-Aware Optimal Power-Saving Color Transformation for Mobile OLED Devices)

  • 이재혁;김은실;김영진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3권1호
    • /
    • pp.126-134
    • /
    • 2016
  • OLED 디스플레이는 빠른 응답속도, 전력 효율성 등 여러 장점 때문에 점차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뛰어난 전력 효율성에도 불구하고 메신저, 게임 등의 사용자와의 상호작용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사용의 증가로 OLED에 의한 전력 소모 비중이 여전히 크게 나타나고 있다. OLED에서는 출력하는 영상에 따라 소모 전력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저전력 색 변환 기법이 대표적인 전력 절감 기법이다. 기존의 저전력 색 변환 기법들은 색 변환 시 인간 시각 시스템의 만족에 대한 엄밀한 연구가 없으며, 시각 만족도와 소모 전력을 동시에 최적으로 고려하는 연구가 부재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기법들의 문제점을 보완한 새로운 저전력 색변환 기법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를 통해서 제안 기법이 기존 기법보다 시각 만족도 측면에서 더 인간 시각 시스템을 만족하며 또 전력절감 측면에서도 색 변환거리에 따라 기존 기법보다 평균 13.4% 및 22.4% 향상된 전력 절감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애니메이션의 매혹성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Fascination of Animation)

  • 이윤희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15호
    • /
    • pp.13-27
    • /
    • 2009
  • 애니메이션은 움직임의 환영을 통해 환상을 추구하는 독특하고 강력한 매체이다. 특별한 이해관계가 없으면서도 고도로 주의가 이끌려 몰입된 상태를 매혹이라고 정의할 때, 애니메이션은 확실히 매혹적이다. 애니메이션이 가지는 매혹의 힘은 그 환영이 마치 현실처럼 설득력이 있다는 데에서 시작된다. 애니메이션은 신기한 움직임과 아름다운 이미지 등 시각적 센세이션을 통해 일단 관객의 시선을 사로잡고, 이렇게 집중시킨 관객의 관심을 애니메이션을 통해서만 표현이 가능한 환상적 내러티브를 통해 유지시킨다. 이성적으로 명백히 불가능한 이야기가 시각적으로 완벽한 신빙성을 가지고 제시될 때, 관객은 그 환상에 매혹된다. 우리의 애니메이션에 대한 매혹은 지각과 이성이 단기적으로나마 불일치될 만큼 설득력 있는 환상이 존재한다는 데에 대한 감탄이자 찬사다. 환상과 애니메이션은 서로 불가분의 관계로 엮여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선에서 매혹을 만들어내고 있는 것이다.

  • PDF

하악정중부에서 자가골 채취시 절치관의 해부학적인 변이에 대한 평가 (ASSESSMENT OF THE ANATOMIC VARIATION OF MANDIBULAR INCISIVE CANAL IN CHIN BONE HARVESTING)

  • 김지혁;김세호;권광준;김성민;박영욱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2권3호
    • /
    • pp.226-229
    • /
    • 2006
  • The interforaminal region is usually considered as a safe region in the chin bone graft without important vital anatomical structures to be damaged. But the accurate anatomy of the interforaminal region, with its potential clinical relationships, is controversial. Moreover some complications suggesting damage of incisive terminal branches after chin bone harvesting are reported such as sensory discomfort and pain etc. In order to verify incisive innervation of symphyseal area, we examined the cross-sectional CT scan images taken for preoperative planning of implant placement with chin bone graft and some parameters were measured; (1) visuality rating of incisive canal (2) vertical and horizontal diameter of canal (3) distance from lower border of the incisive canal to the lower border of the mandible (4) shortest distance from anterior border of the incisive canal to the anterior border of the mandible. We report the positive outcome that decrease the complications related with the damages of incisive branch during bone harvesting from the chin.

영화적 특성을 통한 애니메이션의 운동성 (Movement of Animation through Characteristics of Cinema)

  • 송시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48-55
    • /
    • 2014
  • 서구의 근대화를 통해서 기술적 변화와 예술 사이의 새로운 관계가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그전까지 특정 개인과 소수의 사람들에 의해서 향유되던 과거의 예술이 기술에 의해 대량으로 생산됨으로써 대중적인 수용이 가능해졌다. 한 프레임씩 정지된 프레임들을 카메라로 촬영해서 재현한다는 점에서 애니메이션은 영화적 특성을 보이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런 애니메이션의 영화적 운동성에 대해서 논의하면서 애니메이션에서 재현되는 운동성이 아무리 충실하게 만들어진 것일지라도 현실 세계의 운동성은 물론이고 라이브액션 영화에서 재현되는 운동성과도 동일할 수 없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결국 애니메이션은 영화적 요소들과 애니메이션만의 디테일한 연속성으로 운동성을 창조한다. 이런 운동성으로 애니메이션만의 리얼리티가 살아나고 애니메이션이라는 예술형식의 위력을 점점 발휘시킬 수 있다.

삼각사와 원형사로 제직된 직물의 태, 열적성질 및 광학적 성질의 비교 (Comparison of hand, thermal and optical properties of woven fabrics made of triangular and circular shaped filaments)

  • 심현주;홍경아
    • 감성과학
    • /
    • 제5권3호
    • /
    • pp.47-52
    • /
    • 2002
  • 직물의 태는 손으로 만져 보았을 때 느껴지는 감촉, 육안으로 느껴지는 감각, 그리고 직물의 물리적 역학적 성질 등이 함께 어울어져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폴리에스테르 원형사와 삼각사로 제직된 직물의 태와 온/냉감 및 광택도를 측정하였다. 삼각단면사로 제직된 직물이 원형단면사로 제직된 직물보다 더 좋은 태를 보였으며 열전달계수가 크게 나타나 냉감을 느낄 수 있었으며 높은 반사율을 보였다.

  • PDF

Workflow 기반의 생명정보 분석 자동화 환경 구축에 관한 연구 (Bioworks - A scientific workflow platform for problem solving in biological domain)

  • 한영만;이상주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7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550-552
    • /
    • 2007
  • Workflow 형태로 수행되는 BT 분야에서의 생명정보 분석과정을 효과적으로 모델링하고 자동화하기 위한 통합 Bio-Workflow 시스템(Biowoks)을 개발하였다. 사용자는 Bioworks 시스템을 통하여 복잡한 생명정보 분석과정에 대한 Workflow 모델을 손쉽게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실행하여 단계별 중간 결과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중간 결과물에 대한 가시화 및 검증 모듈을 플러그 인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보다 손쉽게 분석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작성된 생명정보 분석 Workflow를 XML 형태로 생성하여 웹 서비스를 통해 공유함으로써 연구자 간의 협업 연구를 통한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 PDF

DGPS를 이용한 선박 접안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simulation system using DGPS when the ship coming alongside the pier)

  • 최재석;모수종;정성훈;윤희철;임재홍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3-127
    • /
    • 2004
  • 선박의 접안 시 현재 중ㆍ대형 선박은 체계화된 접안 시스템 없이 주선박의 선수와 선미 및 예인선에서 무전기를 이용한 통신에 의존하여 선박을 접안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보완하고자 DGPS를 이용한 선반접안 시뮬레이tus 시스템을 설계하고자 한다. 주선박의 서버는 경ㆍ위도 좌표 값, 헤딩, 속도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선박과 부두와의 거리, 진행방향등을 구하고, 예인선과의 실시간 위치정보의 공유를 통한 정밀측정으로 안전하게 접안을 유도한다. 주 선박 및 예인선의 조타수는 PDA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 실시간 전송되는 선박의 상태 및 각종 정보를 통해 진행상황을 알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으로 계산된 선박의 유도경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최적의 접안 경로를 제시함으로써, 기존의 접안환경보다 정밀한 상황 판단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압축공기를 이용한 용접흄 제어용 용접면(JASM)의 개발 (Development of a jet air supplying welding mask for controlling welding fumes)

  • 송세욱;김종길;하현철;김태형;김종철;정유진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98-108
    • /
    • 2000
  • Controlling the over-exposure of welding fumes is not an easy problem because neither general nor local exhaust ventilation systems could be successfully applied. A jet air supplying welding mask was development to reduce the exposure level of welding fumes. The jet airs tream pushes the welding fumes away from the breathing zone by using the frictional characteristic of jet. Laboratory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optimize the efficiency of controlling welding fumes. Thereafter, its performance was tested in a laboratory and an industrial field. The efficiencies of reducing the welding fume exposure were about 90% and 80% in a laboratory and an industrial field, respectively. Additionally, it resulted in elimination of heat inside the mask and enhancement of clear visual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