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ual Image Expression

검색결과 270건 처리시간 0.022초

백혈병세포에서 종양괴사인자에 의한 PTEN 발현증가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Induces PTEN Expression in HL-60 Cells)

  • 이성호;박철홍;김병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81-188
    • /
    • 2006
  • Tumor necrosis ftctor-alpha$(TNF-{\alpha})$는 세포의 고사, 염증 및 면역 등의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에 대한 역할을 한다. PTEN 역시 세포의 성장과 증식 그리고 세포의 유주와 분화 등의 세포학적인 다양한 기능을 갖는다 그러므로 이들 두 분자들 사이의 상호관계가 있을 것으로 제안되고 있으며, $TNF-{\alpha}$는 사람의 대장세포 주인 HT-29에서 nuclear factor-kappa $B(NF-{\kappa}B)$ 경로를 통해 PTEN downregulate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저자 등은 본 연구에서 HL-60 cells에서 $TNF-{\alpha}$$NF-{\kappa}B$를 통해 PTEN를 upregulates하는 기존의 반대 현상을 확인하였다. $TNF-{\alpha}$는 HL-60 cells에서 time과 dose의존성 방법으로 PTEN 발현을 증가시켰지만 반응은 p65 anisense oligonucleotide 또는 pyrrolidine dithiocarbamate(PDTC)으로 $NF-{\kappa}B$를 분해함으로 파괴되었다. 따라서 저자 등은 $TNF-{\alpha}$$NF-{\kappa}B$경로를 활성화시킴을 확인하였고, $TNF-{\alpha}$를 처리 할 경우 핵에 대하여 p65 전위에 의해 $TNF-{\alpha}$가 활성화됨을 증명하였다. 결국 HL-60세포에서 $NF-{\kappa}B$의 활성화에 따라 PTEN 발현의 upregulation이 유도되는 것으로 결론지었다.

무대조명을 통한 무용 예술의 무대공간 시각화 방안 연구 (A Study on Methods for the Visualization of Stage Space through Stage Lighting)

  • 이장원;이진우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16-28
    • /
    • 2009
  • 무대 예술은 근본적으로 '본다'는 본질을 바탕으로 삼는 동시에, 보여주고 보는 행위의 상대성을 지니고 있다. 무대 조명을 인공적인 빛을 이용하여 무대 예술의 근본인 '본다'는 본질을 해결하고 현대에 이르러서는 전기의 발명과 함께 급속도로 발전된 조명기재들과 광학의 발달에 힘입어 무대 예술의 중요한 시각적 표현매체로 역할이 증대되었다. 그러므로 조명은 하나의 무대예술 분야에서 빛이라는 매개체를 이용하여 무대공간을 아름답게 표현할 뿐만 아니라 관객에게 지적, 정서적 감동을 주는, 시간과 공간을 미학적으로 표현하는 시각예술이라 할 수 있다. 즉 무대 조명이란 조명 공학(기술, 과학) + 미의식(감각, 예술)의 복합적인 기능이라 할 수 있다. 무용은 움직임의 예술이며 선의 예술이다. 신체의 움직임은 무용의 재료이며, 움직임을 만들어 내는 무용수의 몸은 표현의 매체이다. 무용 예술은 인간의 신체를 도구로 움직임을 선정하고, 의식적으로 형상화된 동작의 표현 또는 내면의 정서적 반영을 관객들에게 극대화된 미적체험을 전달하며 감동을 전이시키는 예술이며, 시각적인 미를 보다 확대시키고 강조하기 위하여 무대 공연에 있어 조명, 장치, 의상, 음악, 소품 등의 보조적 도구들을 활용하는 종합예술이다. 그 중에서도 무용 조명은 그 표현의 미를 극대화 시키는 시각예술로서 순수한 신체언어의 조형적 시각화 작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무대 조명의 기초와 타 분야와의 관계, 조명의 기능과 특징을 연구하여 무용 예술의 시각화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조명의 활용방안을 마련하고, 조명의 예술적 발전과 무용의 미적 표현 능력을 극대화 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조명은 다양한 기재가 갖고 있는 빛의 형태와 방향성 등을 이용하여 무대 공간을 시각화 할 수 있으며, 작품이 추구하는 이미지 극대화를 표현할 수 있다. 둘째, 무용 작품에 있어 무용이 갖고 있는 공간의 형태를 빛의 움직임을 통한 시각적 연출로서의 조명이 가능하다. 셋째, 빛으로 창출하는 시각적, 공간적 표현을 통하여 작품의 극적 카타르시스를 관객에게 지적, 정서적 감동을 일으키게 한다. 넷째, 조명이 보조자로서의 역할이 아니라 독창적인 하나의 시각 디자인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다. 끝으로 대다수 사람들이 상식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무대를 밝게 비추는" 조명의 단순한 기능에서 벗어나 예술의 한 영역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조명 디자이너는 창조성과 예술성을 가지고 안무가의 의도나 작품을 이해하여 빛과 색채를 미적인 언어로 파악하여 작품의 효과를 높여주고 작품 구성의 한 요소로 참여하여 조명이 하나의 예술로 다뤄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특히 이번 연구를 통해 빛의 움직임을 통한 공간의 구성을 미학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예술적 감각을 키우고, 생명력을 불어 넣는 빛의 예술뿐 아니라 저변에 걸쳐있는 제반예술에 대해 심미안을 키워야 할 것이다.

웹툰의 사운드 표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ound Expression in Webtoon)

  • 목혜정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6호
    • /
    • pp.469-491
    • /
    • 2014
  • 웹툰은 출판만화에서 사운드를 시각적으로 표현했던 방법을 발전시켜왔으며, 웹 기술의 발전을 토대로 직접 소리를 들려주기까지 한다. 직접 들리는 소리는 당연히 사운드 분석의 대상이 된다. 그러나 들리지 않는 사운드도 분석 대상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들리지 않는 소리를 분석할 수 있다는 것의 이론적 토대를 인지심리학의 이중부호 개념에 둔다. 작가는 자신의 청각적 기억을 시각적으로 기호화할 수 있고, 독자는 기억과 인출의 과정을 통해 시각화된 기호를 보고 사운드를 떠올릴 수 있다. 이와 같은 웹툰의 들리지는 않지만 떠올릴 수 있는 사운드와 직접 들리는 사운드 두 경우를 본 연구는 함께 분석대상으로 한다. 구체적 분석을 위해서는 이론적 성과물이 있는 영화 사운드 분석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소리를 구성하는 세 요소인 음량, 음조, 음색은 음향학에서는 주파수 등으로 설명되고 직접 들을 때는 느낌으로 알지만, 시각적으로는 사운드를 표현한 글자나 이미지의 선의 굵기와 위치, 음원의 이미지 등으로 알 수 있다. 내화면 사운드와 외화면 사운드의 시각적 표현은 만화의 칸과 관련이 있다. 일반적으로는 칸 외부로 외화면 사운드를 표현하지만 웹툰에서는 듣는 자를 강조하는 방법으로 칸 내부에 외화면 소리를 표현하기도 한다. 그리고 영화의 호러 장르가 장르 효과를 높이기 위해 사운드를 많이 사용하는데 웹툰에서도 호러 장르가 같은 효과를 위해 사운드를 많이 사용한다. 이러한 영화 사운드 분석 방법을 활용해 사운드를 이미지로 표현한 작품들을 분석해볼 때, 초창기 출판만화에서부터 시작한 사운드의 청각적 표현들이 계속 발전해서 웹툰에서 창의적으로 표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세로 이동을 활용한 칸의 배치 및 소리표현의 방식들은 웹툰이 보여준 새로운 방법들이며, 칸 모양도 훨씬 다양해졌다. 직접 들려주는 소리로는 BGM이 가장 먼저 사용되었는데 최근에는 한 회의 분위기에 맞춰 음향효과까지 섞어 맞춤 작곡된 곡들이 사용된다. 그리고 스크롤 이동에 맞춰 소리를 들려주는 프로그램이 개발되면서 특정 순간의 음향효과나 특정 장면에 어울리는 음악들을 들을 수 있게 되었다. 특히 호러 장르에서는 특정한 이미지와 공포를 불러일으키는 사운드를 같이 사용하여 장르적 효과를 배가시킨다. 이렇게 웹툰에서는 다양한 사운드 시각화 방법이 계속 창조되고 있으며 기술과 접목된 새로운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발전은 웹툰이 하나의 문화콘텐츠로서의 융합의 장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조형변수 성향 분석에 의한 정합적 제품 형태 전개 방법 (Product Form Alignment Method Based on the Analysis of Formative Parameter Disposition)

  • 김현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279-288
    • /
    • 2004
  • 기업 내 디자인 작업은 과거의 전문직으로서의 폐쇄된 직능과 소극적 역할에서 현재의 성공적 제품 생산을 위한 기획, 마케팅, 기술은 물론 기업 브랜드 이미지 차별화를 위한 전략 구축 등의 적극적인 역할로 확대되었다. 그래서 디자이너가 타부서와의 의사교통은 물론 중요한 결정이나 정보 공유, 객관적 판단 등에 참여하거나 주도해야 하는 경우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이와 같이 디자인 작업은 협동 업무를 전제조건으로 하지만 디자인 프로세스의 조형작업(styling)은 디자이너의 직관이나 경험 등 주관성을 기초로 전개되는 특성을 가져 제품개발에 관계되는 구성원 사이에서 심지어는 한 디자인팀 안에서도 여러 형태의 장애로 표출된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고 보다 더 효율적인 디자인 결정 과정을 유도하고 제품의 형태를 개발, 평가 및 관리를 체계화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의 기초가 될 수 있는 제품 형태가 표현하는 형상(image) 뒤에 숨은 조형적 원인이나 질서(객관적 체계 또는 공유할 수 있는 논리)를 실험을 통해 발견할 수 있다는 가설을 세우고 증명하였다. 이 실험의 결과로서, 시각적 개성의 표현인 조형에 관계하는 요인과 이들의 성향이나 상호역할의 체계를 규명하였다. 이 요인을 조형변수로, 또 이 체계를 정합적 제품 형태 전개 방법이라 명명하고, 이 과정에서 도출된 논리를 기초로 개발과정에서 목표한 형상에 정합적으로 접근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이는 디자이너의 직관적 창의성과 추론적 논리성의 균형을 설정하는 방법으로서, 이 논리와 체계가 디자이너간에 공유할 수 있는 조형언어의 틀이 되고 타부서와의 의사교통에도 도움이 되는 하나의 지원 수단으로 제안된다. 이를 통해 디자이너는 목표한 이미지에 정합적으로 접근하여, 형태 전개 범위를 집중시키고 개발기간을 단축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하여 조형작업에 수반되는 불필요한 장애나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애니메이션 <파프리카>에서 나타나는 연상 몽타주 분석 (Analysis on Montage der Assoziation Shown in the Animation <Paprika>)

  • 임운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121-129
    • /
    • 2009
  • 이 연구는 애니메이션에서 나타나는 연상몽타주에 관한 해석을 시도하고 있다. '몽타주'는 다양한 몽타주 조각들이 결합되어 하나의 총체적인 이미지로 상징되는 연상 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몽타주 이론은 쿨레쇼프, 푸도스킨, 아른하임, 에이젠슈테인까지 러시아 형식주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사실주의, 충돌, 그리고 지적 몽타주에서 나타나는 연상 몽타주는 예술가와 관객의 문제로 대두되었다. 여기서 관객과 작품 사이에서 일어나는 소통의 문제는 필수적 요인이다. 이러한 소통은 이미지와 이미지 사이의 공백을 관객들이 유추하는 연상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연상을 몽타주에서 논리적 연상과 충돌적 연상으로 크게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애니메이션 <파프리카>에서 씬과 씬 사이에서 그리고 프레임 안에서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시각적 작용이 어떠한 관계적 작용을 통해 연상이 이루어지는 가에 대한 문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가 추구하는 바는 연상몽타주가 애니메이션 작품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관객과 소통하는지에 관하여 심층적으로 접근하는 것이다.

대학교 본관 파사드에 나타난 연대별 디자인 표현 특성 (A Study on the Periodic Characteristics of Design Expression in the Facade of the Main Adminstration Building in University)

  • 서희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11-21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sign characteristic of the facade of the main adminstration building in university. The main administration building which is a basic of educational facilities has various administration setups, such as the register's office, the student affairs section, the planing department, the general affair's office and so on. This building performs academic, administration, facilities management, and admissions service. Also, the building has an ideological, historical, and symbolic image, having an organic relationships with the other educational facilities. This study choose one hundred seven universities, except universities that does not provide information easily and the second campus which does not have the main administration building, as the subjects of the study. The analysis is derived from the design elements applied to facade design of the main administration building and this is divided into design principles(balance symmetry, contrast, rhythm), the formal composition(geometrical, linear), and the style of architecture(classical architecture and modern architectur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design characteristic of the facade of the main adminstration building in university has chronologically changed. First of all, in the 1940's, symmetry emphasized on the center of building, superimposition, division, pediment, and arch were marked. Then, superimposition was prominent in the 1950's and symmetry emphasized on the center of building was shown in the 1960s again. Flat roof was in the 1970's, 1990s and 2000's. Finally, pediment was dominant in the 1980's. The design elements of the main administration building can be samples of chronological styles of architecture. Facade design, with proper design of the past and recent times, includes the meaning that achieve the great purpose of the university by emphasizing visual images.

개조 사례를 통한 신체장애인 주거공간 개조방안에 관한 연구 (Study on Renovating Housings for the Disabled through Case Studies)

  • 김봉순;박미영;김문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149-156
    • /
    • 2013
  • Men should be able to do whatever they want to and want to safely protected at home which is special domain for them. The disabled live mentally uncomfortable lives at home which should be a place where they should be comfortable and convenient. Renovation projects started in Incheon since 2009 by commencing renovation projects for the disabled by the government and welfare centers. Since the project is a program supported by the government or welfare centers thus priority on renovation was decided and carried out by in-depth interview to decide areas to renovate because of limited budgets. This paper is aimed to propose plans for renovating homes according to priority for renovation for dwellers when renovating homes for the disabled with limited budgets. Renovating home for the disabled can be broadly divided into physical, environmental, esthetic renovations, and physical renovation is a basic renovation for daily lives without restrictions in living and include easy movements, accesses to each rooms and adequacy of movement, easily accesses related with easily accessible distance and height, safety to prevent accidents caused by physical inabilities. Environmental renovation is general supports becoming the base of daily living and include control for controlling lighting, heating, air quality for comfortable environments in living space and pleasantness to maintain bright and pleasant interior with sufficient light. Esthetic renovation includes expression of identity by expressing image of one self and visual effects or spatial consideration for hobbies to enjoy comfortable and rich lives.

아트마케팅을 반영한 색조화장품 패키지디자인 개발 연구 (Study of the Development of Color Cosmetics Package Design Reflecting Art Marketing)

  • 김진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6472-6477
    • /
    • 2014
  • 본 연구는 최근 영역을 넓히고 있는 일러스트 작가의 아트마케팅 트랜드를 살펴보고 색조화장품의 디자인 컨셉을 제안하고자 한다. 아트마케팅은 문화마케팅의 한 종류로 전시, 공연, 기타 예술 활동을 통한 마케팅을 의미한다. 아트와 생활의 경계가 모호해 지고 아트적인 모티브가 제품 속으로 녹아들고 아트적 속성이 다시 캔버스에 반영될 수 있는 자유로운 감성 표현이 주목받고 있다. 일러스트 작가의 작품들이 캔버스가 아닌 생활속의 아이템으로 영역을 넓히고 있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아트마케팅을 반영한 색조화장품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디자인 컨셉을 제안한 주요 타켓층은 20대 초중반의 젊은층으로 그들은 트랜드 지향적이며 개성이 강하고 스스로 인정받고 싶어하는 경향이 있다. 색조화장품 패키지 디자인에 디자인 컨셉을 강조하기 위하여 현란하고 강렬한 색상조합으로 타겟 계층의 진취적인 이미지를 반영하였다. 아트적인 무드가 생활속에 파고 들면서 우리 생활에 문화적 가치와 의미를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크와 누노펠트 기법을 이용한 의상 소재의 텍스처 표현 연구 (Study on Expression of Texture of Clothing Materials Using Silk and Nuno-Felt Technique)

  • 오연옥;정명희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11
    • /
    • 2007
  • This study suggests the new technique to express the texture that copes with the demands of the times by trying to apply the new Nuno-felt technique, to the silk, the representative material for emotion, in order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highly value added and competitive materials in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markets as well as to meet the demand of consumers in the high emotion age pursuing the idiosyncrasy and qualify enhancement. Nuno-felt is the felting technique that places the wool of desired thickness on the thin fabric using wools and various kinds of fabric materials and rubs them. The samples are 3 kinds of silk including plain Chiffon with different touch, Pongee and Organza and Merino Wool, the best quality wool of wools. As a result, beyond the simple surface effect from the silk showing the superior drape feature with one color and soft wool, the Nuno-felt technique created the feminine as well as masculine, classic and modem image. Furthermore, the harmony of opacity and transparency produced the new dynamic and dimensional texture with the combination of different emotions through the visual emotion of different grey colors and rough, crude and soft touch. This study suggested the possibility that the Nuno-felt technique could create the new emotional materials for the modem sense by combining the materials with different features from the wools unlike the traditional simple felt technique.

  • PDF

유행의상과 예술의상의 조형적 특성 비교-미래주의 예술의상을 중심으로- (The Comparison of formative Characteristics Clothing in Fashion and Art to Wear.-focused on Art to Wear of Futurism in 1910~1930)

  • 양취경
    • 복식
    • /
    • 제38권
    • /
    • pp.51-72
    • /
    • 1998
  • Futurists objected the existent style, that is the conventional fashion, and took part in these disciplines of fashion to make clothes the instruments being able to represent the individuality. Giacomo Balla and fortunato Depero, pain-ters who in 1915 were to work with Diaghilev's company, were the first to see clothing as a dynamic interfaced between th body and the atmosphere, between physical gestures and the urban context, which could be translated into encounters between forms and colours, volumes and architecture. For them, clothing began to exist as an object and an event, something to be removed from a mainly static conception and made mobile, active. The interaction between movement and clothing was based on the relativity of perception : the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f the body produced points without dimension or duration which served, as Balla wrote in the Futurist Mnaifesto of Men's Clothing to“renew incessantly the enjoyment and impetuous movement of the body”. The historical achievement in the effort for the reformation of Futurist, Art to Wear. First, for Futurist, clothing is removed from a static conception and focused on dynamics. Second, Balla used asymmetry in men's clothing. Moreover he supposed dynamic men's clothes by using optical intersection. Third, the after image of Chronophotograph represented rapidity. This rhythmic expression is the fore-runner in Optical and Kinetic Art of Visual Art. Fourth, Futurist emphasized flexibility in fashion. They aimed to create‘Clothing Machines’whose parts would interact to aceelerate the real and virtual, inner and outer movement of the human being. Fifth, the variety and short life of cutting skills and colors are focused and‘Fast Substance’in fashion is admitted by Futurists. Futurist concern with clothing was not lim-ited its appearance in terms of cut and colour. What important was also the way it appeared and disappeared according to fashion. It was a“fast substance”, able to reflect rapid, sudden changes of social and aesthetic taste. To reach to the aim of internationalization, Gesamtkunstwerk in our Art to Wear, it is extremely meaningful to examine art fashion which is created under the conception of Gesamtkunstwerk production of avang garde artist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look at formative conscious of truth, goodess and beauty synthetically which they faced on their works of ar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