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cera

검색결과 542건 처리시간 0.025초

전복죽과 오분자기죽의 재료 배합비가, 기호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fferent Mixing Ratio and Cooking on Sensory an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Jeonbok- and Obunjaki-Jooks)

  • 양미영;손정우;염초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53-360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재료배합비에 따른 전복죽과 오분자기죽의 기호도와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우선 예비실험을 통해 전복죽과 오분자기죽의 최적의 조리법과 쌀: 물: 참기름: 소금의 최적의 배합 비율을 찾아낸 후 전복과 오분자기 살 및 내장을 첨가한 전복과 오분자기죽의 일반성분 분석, 관능검사, 기계적 검사를 거쳐 다음 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전복과 오분자기의 일반성분은 수분이 가장 많았으며, 단백질이 다량 함유되었고, 내장이 살보다 지방, 회분, 총당의 함량이 많았으며, 수분은 전복살이, 단백질과 회분, 총당은 전복내장이 많았고, 지방은 오분자기 내장이 많았다. 그리고 전복죽과 오분자기죽의 영양성분은 살의 첨가량과 내장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단백질, 지질, 회분은 증가하였고, 총당은 감소하였다. 내장을 첨가하지않고, 살의 첨가량을 다르게 하여 관능평가한 결과에서는 향미, 감칠맛과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시료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으며(P<0.05), 향미와 기호도는 전복살을 40% 첨가한 전복죽이 가장 강했고, 감칠맛은 오분자기살을 40% 첨가한 오분자기죽이 가장 높았다. 내장은 쌀 중량의 4%로 일정하게 첨가하고, 살의 첨가량만을 다르게 하여 관능평가한 결과에서 점도는 오분자기살을 40% 첨가한 오분자기죽이, 색과 향미는 전복살 40% 첨가한 전복 죽이, 감칠맛은 오분자기살 30% 첨가한 오분자기죽이 가장 높은 강도를 나타냈다. 전반적인 기호도에서는 전복살 30% 첨가한 전복죽이 가장 좋았다 그리고 내장의 비율을 다르게하여 관능평가한 결과에서도 점도는 오분자기 내장 12% 첨가한 오분자기죽이, 색과 향미는 오분자기 내장 12%를 첨가하였을 때, 감칠맛은 4%를 첨가하였을 때, 그리고 전박적인 기호도는 전복내장 4%를 첨가하였을 때 가장 높았다. 또한 기계적 검사와 관능평가에 의해 전복죽과 오분자기죽이 점도가 증가하고 녹색이 옅으며, 황색에 가까울수록 기호도가 증가함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 영양면에서 단백질 함량은 오분자 기죽이 전복죽보다 우수하였으며, 기호도면에서도 전복죽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내장을 첨가하지 않은 전복죽과 오분자기죽에서는 살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기호도가 증가하였으나, 내장을 4% 를 첨가하였을 경우에는 전반적으로 전복죽과 오분자기죽에 살의 첨가량을 30%로 한 것이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 내장의 첨가가 경제적이고 영양면이나 기호도에 좋은 영향을 주었다.

  • PDF

어류의 사후 변화에 관여하는 단백질분해효소의 검색 (Activity Screening of the Proteolytic Enzymes Responsible for Post-mortem Degradation of Fish Tissues)

  • 변재형;이동수;김두상;허민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96-308
    • /
    • 1996
  • 혈합육어 (멸치와 전어)와 백색육어 (농어와 도다리)의 육과 내장에서 추출한 조효소에 대하여 천연기질 및 합성 기질에 대한 효소 활성과 disc-PAG 전기영동에서 분리된 효소 단백질의 분포를 선택적 합성기질을 써서 비교 검토하였다. 육에는 SH-proteinase인 cathepsin L, B, 및 H 유사 효소가 분포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이 밖에도 cathepsin G 및 D도 다소 분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리고 내장에는 강한 활성의 chymotrypsin 및 trypsin 유사 효소가 주로 분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육과 내장에서 추출한 조효소들은 공통적으로 멸치, 전어, 도다리 그리고 농어의 순으로 활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전체적으로 혈합육어에 분포되어 있는 효소가 백색육어류에 분포되어 있는 효소에 비하여 약 100배정도 높았다. 육과 내장의 조효소를 방어의 근원섬유단백질에 작용시킨 결과, 육 중의 조효소는 myosin heavy chain의 분해가 두드러졌으며, 특히 멸치의 효소가 근원섬유 단백질의 구성 subunit 모두에 대하여 강한 분해능을 보였다. 내장 조효소의 경우는 반응 초기에 myosin heavy chain과 actin을 현저하게 분해시켰으며, 혈합육어인 멸치와 전어 조효소의 분해능이 백색육어인 농어와 도다리의 조효소보다 강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육의 조효소는 어종에 따라 서로 다른 분해 양상을 보였으며, 내장 조효소는 혈합육어와 백색육어의 효소 활성뿐만 아니라 효소의 분포상으로도 많은 차이가 있었다.

  • PDF

Proximate Composition of Viscera of Major, Common and Some Chinese Carps Under the Effect of Different Fertilization Schemes and Feed Supplementation in Composite Culture System

  • Mahboob, Shahid;Sheri, A.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1권2호
    • /
    • pp.196-200
    • /
    • 1998
  •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viscera of six fish species viz., Catla catla, Labeo, rohita Cirrhina mrigala, Hypophthalmichthys molitrix, Ctenopharyngodon idella and Cyprinus carpio under the influence of artificial feed $(T_1)$, broiler manure $(T_2)$, buffalo manure $(T_3)$, N:P:K (25:25:0 $T_4$) and control pond $(T_5)$ has been studied on final harvest after the end of experimental period of one year. The overall comparison of six fish species under five different treatments showed that Cyprinus carpio remained the best for visceral total protein contents. The maximum visceral protein content was recorded in fishes under $T_2$ except Cirrhina mrigala, while the minimum under $T_5$. The comparison of five treatments showed that maximum (6.69) percentage of fat in viscera of fish was recorded under $T_2$, closely followed by $T_4$ while minimum (4.89) under the effect of $T_5$. Among the six fish species under five treatments Cyprinus carpio showed maximum accumulation/deposition of total fats in viscera.

만경강 담수어중 중금속 함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eavy Metal Contents in Freshwater Fishes of the Mankyung River)

  • 김남송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1권1호
    • /
    • pp.121-131
    • /
    • 198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heavy metal contents of freshwater fishes. The samples of 24 species were collected at 7 areas located on the Mankyung River during September in 1987. And then the contents of lead, cadmium, copper and zine were analyzed by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mean value of lead, cadmium, and copper contents of fishes collected in the downstream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upstream. 2. The mean lead content of C. auratus was the highest $1.50{\pm}0.98{\mu}g/g$ in viscera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rom muscle content. 3. The mean cadmium content of C. auratus was the highest $0.087{\pm}0.054{\mu}g/g$ in viscera an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muscle. 4. In the copper contents, the viscera of C. auratus was the highest $5.25{\pm}0.94{\mu}g/g$ an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muscle, skeleton and gill. 5. The mean value of zinc content of C. auratus was shown the order of gill, skeleton, viscera and muscle.

  • PDF

"동의보감(東醫寶鑑)" 오장육부문(五藏六府門)의 인용문(引用文)에 대한 연구(硏究) (A Study on Quotations in Five Viscera and Six Bowels Division of "Dongeuibogam")

  • 문영옥;송지청;금경수
    • 대한한의정보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8
    • /
    • 2010
  • Precious Mirror of Korean Medicine constitutes the basis of Korean orthodox medicine. In Korea it is regarded as the most influential medical work in existence and therefore been accorded first place among the medical works. Many books and reference works referred to Six Viscera and Five Bowels were quoted in Precious Mirror of Korean Medicine This dissertation is to study quoted passages and reference books related to Six Bowels and Five Viscera in Precious Mirror of Korean Medicine Based upon the medical works--Introduction to Medicine, Elementary Questions and Spiritual Pivot of Yellow Emperor's Canon of Internal Medicine, Difficult Classic, Compendium of Medicine and etc.-- all but few references the quotations are clearly traced to their origin. It is hoped that this preliminary study will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further work on the text, with more specific attention to the method of quotations and its many linguistic problems.

  • PDF

『의방유취(醫方類聚)·오장문(五臟門)』의 처방 분석 -처방 제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escriptions in the Five Viscera Section (五臟門) of Euibangyuchui (醫方類聚) - Focusing on the Form of Delivery for Medicinal Prescriptions -)

  • 정지훈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05-122
    • /
    • 2018
  • Most of the prescriptions currently used by Korean medicine institutions to treat patients are delivered in the form of decoctions. The author reviewed the five-viscera section (五臟門) of Euibangyoochui (醫方類聚), which is composed of theory, medicinals, diet, taboo, acupuncture and moxibustion, and exercises. The medicinals cover a total of 1,144 prescriptions cited from 14 medical books, and provides a wide range of prescriptions and delivery options, including decoctions, powders and pills. Of the 1,144 prescriptions, the author notes that among them, 577 prescriptions which use powders (41%) are the most popular; 444 are pills (31%) and are the second most popular; 329 decoctions (23%) are the third most popular, and 64 other prescriptions are 5 percent. Expanding treatment options and delivery of medicinal prescriptions presented in the five-viscera section (五臟門) of Euibangyoochui (醫方類聚), is beneficial to both patients and doctors. The author suggests that expansion of herbal treatment options will provide opportunities to overcome current treatment limitations in the Korean medical service industry.

"황제내경(黃帝內經).위론(痿論)"의 위증(痿證)에 대한 고찰(考察) (A Study on Wi Syndrome(痿證) in "Hwangjenaegyeong(黃帝內經).Wiron(痿論)")

  • 백유상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0
    • /
    • 2010
  • Wi Syndrome(痿證) mainly occurs from fluid damages[津液損傷] caused by heat in Gi(氣) phase of the Five viscera, while it sometimes come from the outside. Although the symptoms are presented in the limbs, the disorder roots in the Five viscera, most deeply located in the human body, Therefore, to approach the disorder, we must apply differentiation of the Five viscera in diagnosis. The Lungs, as the head of the Five viscera control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bodily fluids in the body. Functional disorder of the Lungs bring about Wi Syndrome regardless of it being in the Gi phase. Also, psychological depression leads to Wi Syndrome, In other words, depression and uneasiness easily results in the state of Gi blocking and fluid exhaustion in this modern society where there is less manual labor and excessive use of the brain. Besides Gi blockage, the top muscle[宗筋] theory is another important mechanism in the occurrence of Wi Syndrome. Moreover, the disorder is related to Yangmyeong(陽明), which is the sea of food, Chungmaek(衝脈) which is the sea of meridian, in addition to Immaek(任脈), Dokmeak (督脈) and Deameak(帶脈) which are all involved in Wi Syndrome. In conclusion, the Wi Syndrome happens when various factors involved lose balance and harmony with each other.

"동의보감(東醫寶鑑)" 오장육부(五藏六府) 관련문(關聯門)의 인용문(引用文)에 대한 연구(硏究) (A Study on Quotations in Division Related to Five Viscera and Six Bowels of "Dongeuibogam")

  • 문영옥;김재중;김장생;금경수
    • 대한한의정보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6-72
    • /
    • 2011
  • Precious Mirror of Korean Medicine constitutes the basis of Korean orthodox medicine. In Korea it is regarded as the most influential medical work in existence and therefore been accorded first place among the medical works. Many books and reference works referred to Six Viscera and Five Bowels were quoted in Precious Mirror of Korean Medicine. This dissertation is to study quoted passages and reference books related to Six Bowels and Five Viscera in Precious Mirror of Korean Medicine. Based upon the medical works-Introduction to Medicine, Elementary Questions and Spiritual Pivot of Yellow Emperor's Canon of Internal Medicine, Difficult Classic, Compendium of Medicine, A-B Classic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Pulse Classic, Synopsis of Golden Chamber, Key to Therapeutics of Children's Diseases, A Complete Work of Ancient and Modern Medicine, and etc.-- all but few references the quotations are clearly traced to their origin. It is hoped that this preliminary study will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further work on the text, with more specific attention to the method of quotations and its many linguistic problems.

  • PDF

오징어 내장유를 이용한 어육버거의 품질개선 (Quality Improvement in Fish Burger by Addition of Squid Viscera Oil)

  • 김진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4호
    • /
    • pp.318-322
    • /
    • 1997
  • 오징어 내장유를 식용자원으로 이용하기 위한 일련의 연구로서 젤라틴, 물 및 정제 오징어 내장유로 형성된 유화물의 첨가에 의한 어육버거의 품질개선을 시도하였다. 과산화물값, 갈변도, 헌터색조, 젤리강도 및 관능검사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고등어버거의 기능성 개선을 위한 유화물의 적절한 첨가량은 마쇄한 고등어육에 대하여 6%로 판단되었다. 채육한 고등어육에 대하여 6%에 해당하는 유화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고등어버거는 휘발성 염기질소, 총균수 및 히스타민함량이 각각 19.0 mg/100g, $6.2{\times}10^4CFU/g$ 및 50.7 mg/100g으로 그 함량이 낮아 식품위생적으로 안전하다고 판단되었다. 유화물 첨가 고등어버거의 포화산에 대한 고도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1.13이었다. 색조, 젤리강도, 지방산조성 및 관능검사를 측정한 결과 유화물 첨가에 의해 고등어버거의 색조, 조직감 및 지질의 기능성을 일부 개선할 수 있었다.

  • PDF

오징어 내장유의 정제 (Refining of Squid Viscera Oil)

  • 하진환;이응호;김진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4호
    • /
    • pp.294-300
    • /
    • 1997
  • 수산가공 부산물을 식용자원으로 이용하기 위한 일련의 연구로서 오징어 내장유의 정제조건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오징어 내장유 100ml에 대하여 인산 3ml를 첨가하고 $60^{\circ}C$에서 30분간 교반하여 탈검한 다음 이것에 20% 수산화나트륨을 0.6% 과잉첨가한 후 탈산처리 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탈산유에 대하여 10%에 해당하는 활성백토를 가한 후 감압하에 $100^{\circ}C$에서 20분간 탈색처리한 후 압력을 4torr 이하의 감압하에서 수증기증류법으로 $180^{\circ}C$에서 60분간 처리한 오징어 내장유가 물리, 화학적 성상이 가장 우수하였다. 정제유의 산값, 과산화물값 및 색도는 각각 0.20, 0.8 meq/kg 및 0.019이었다. 정제유의 포화지방산에 대한 고도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1.28이었고, 주요 구성 지방산은 16 : 0, 18 : 1n-9, 20 : 5n-3 및 22 : 6n-3 등으로 기능성이 우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