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rtual Textile Wearing System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6초

직물 텍스쳐 매핑을 이용한 객체 VR 기반 가상 직물 착용 시스템 (Object VR-based Virtual Textile Wearing System Using Textile Texture Mapping)

  • 곽노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8호
    • /
    • pp.239-247
    • /
    • 2012
  • 본 논문은 시점 벡터 추정과 명도 차분 맵에 기반하여 직물 텍스쳐 매핑을 수행하는 객체 VR 기반 가상 직물 착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제안된 시스템은 객체 VR 용도의 다시점 2D 의류 모델 영상들에서 의류 형상 영역을 분할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새로운 직물 패턴을 가상적으로 착용시킨 후, 이러한 가상 착용 상태를 다시점에서 입체적으로 관측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제안된 시스템은 모델 의류의 컬러나 명도에 관계없이 선택된 의류 형상 영역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직물 패턴을 가상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각기 다른 스타일 혹은 전체적인 차림새를 위한 다양한 직물 패턴 조합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시뮬레이션하고 비교 선택할 수 있다. 제안된 시스템은 다양한 디지털 환경에서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고 비교적 자연스럽고 입체적인 가상 착용 스타일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수작업을 줄인 반자동화 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높은 실용성과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오브젝트 VR 기반 2.5D 가상 직물 착의 시스템 : 시점 벡터 추정 및 직물 텍스쳐 매핑 (Object VR-based 2.5D Virtual Textile Wearing System : Viewpoint Vector Estimation and Textile Texture Mapping)

  • 이은환;곽노윤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19-26
    • /
    • 2008
  • 본 논문은 사용자로 하여금 가상 착의 객체를 360도의 시점에서 관측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기술로서, 시점 벡터 추정과 직물 텍스쳐 매핑을 이용한 오브젝트 VR 기반 2.5D 가상 직물 착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제안된 시스템은 오브젝트 VR 용도의 다시점 2D 의류 모델 영상들에서 의류 형상 영역을 분할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새로운 직물 패턴을 가상적으로 착용시킨 후, 이러한 가상 착의 상태를 360도의 시점에서 입체적으로 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제안된 시스템은 모델 의류의 컬러나 명도에 관계없이, 선택된 의류 형상 영역의 음영 및 조명 특성을 유지하면서 직물 패턴을 가상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고, 직물 패턴의 가상 착의 상태를 360도의 시점에서 입체적으로 관측할 수 있다. 또한 각기 다른 스타일 혹은 전체적인 차림새를 위한 다양한 직물 패턴 조합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시뮬레이션하고 비교 선택할 수 있다. 제안된 시스템은 다양한 디지털 환경에서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고 비교적 자연스럽고 입체적인 2.5D 가상 착의 스타일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수작업을 최소한으로 줄인 반자동화 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높은 실용성과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안된 시스템에 따르면, 실제 의복을 제작하지 않고도 직물 패턴 디자인이 의복의 외관에 미치는 영향을 360도의 시점에서 시뮬레이션할 수 있으므로 직물 디자이너의 창작활동을 도와줄 수 있고, 또한 구매자의 의사결정을 지원해 B2B 또는 B2C 전자상거래 행위를 촉진할 수 있다.

  • PDF

2D 가상 착의 시스템의 컬러 영상 분할 및 직물 텍스쳐 매핑 (Color Image Segmentation and Textile Texture Mapping of 2D Virtual Wearing System)

  • 이은환;곽노윤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5권5호
    • /
    • pp.213-222
    • /
    • 2008
  • 본 논문은 2D 가상 착의 시스템의 컬러 영상 분할 및 직물 텍스쳐 매핑에 관한 것이다. 제안된 시스템은 컬러 영상 분할에 의해 2D 의류 모델 영상으로부터 분할된 의류 형상 영역에, 명도 차분 맵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새로운 직물 패턴을 가상적으로 착용시킬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제안된 시스템은 모델 의류의 색이나 명도에 상관없이, 선택된 의류 형상 영역의 음영 및 조명 특성을 유지하면서 직물 패턴이나 직물 색을 가상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각기 다른 스타일 혹은 전체적인 차림새를 위한 다양한 직물 패턴 조합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시뮬레이션하고 비교 선택할 수 있다. 제안된 시스템은 다양한 디지털 환경에서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고 비교적 자연스럽고 사실적인 가상 착의 스타일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수작업을 최소한으로 줄인 반자동화 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높은 실용성과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안된 시스템에 따르면, 실제 의복을 제작하지 않고도 직물 패턴 디자인이 의복의 외관에 미치는 영향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으므로 직물 디자이너의 창작활동을 도와줄 수 있고, 또한 구매자의 의사결정을 지원해 B2B 또는 B2C 전자상거래 행위를 촉진할 수 있다.

산불진화용 안전복 패턴 개발을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Pattern Development for Forest Fire Safety Clothing)

  • 최미성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624-634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pattern of safety clothes used at flat or mountainous areas and to identify the pattern of safety clothes by conducting experimental evaluation of virtual wear. Three subjects were selected, based on fire fighters' physical constitution. A prototype design for safety clothing was determined after in-depth interviewing of professionals and surveying of Forest service staff and related agency. Wearing test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order of pattern making, virtual and real wearing evaluation. For data analysis, technical statistical values should be obtained by using body measurements of subject, frequency analysis and T-test. The jacket is designed to have a front extension and the entire length of clothing enough for wearer to put on it over ordinary shirts or sweater. The collar of jacket is of round type. Cyber reality enables to identify the movement and activity of virtual fitting model and to find out errors or problems in safety clothing prior to on-the-spot wear test, thus raising the precision level of patter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eal and virtual fit preference. The results show that the virtual try-on system need the development of a specific style.

3D 가상모델 및 가상착의 시스템을 이용한 남자 운동선수의 상반신 원형설계 (A Development of the Bodice Pattern for Male Sports Athletes Using by 3D Virtual Twin & Virtual Garment Simulation)

  • 임지영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47-353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ppropriate surplus of clothing for a suitable basic bodice pattern of Male Sports Athletes by using the 3D virtual twin and virtual garment simulation syst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By using 3D virtual twin and garment simulation, new bodice pattern considered male sports athletes was development. The basic numerical formula were as follows ; surplus of chest girth=9, surplus of back length=1, armhole depth=back length/4+13, half back width=chest girth/5+2.5, front chest width=chest girth/5+3. 2. Wearing test by 3D virtual garment simulation system was useful to evaluate wearing outline, surplus of clothes and garment space. Also it estimated more highly than existing pattern in silhouette and ease amount, confirming that new bodice pattern is appropriate for the male sports athletes. New bodice pattern was evaluated to allow proper space length of chest and waist. Virtual models production through 3D body scan data, pattern draft and virtual garment digital program were applied to prototypic design method so as to enhance the fitness of ready-made garments.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one of important basic data for ensuing studies that may utilize 3D Virtual Garment Simulation System with 2D patterns, and also for future 3D Pattern Production Program development.

2D 가상 착의 시스템의 직물 컬러 매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bric Color Mapping for 2D Virtual Wearing System)

  • 곽노윤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287-294
    • /
    • 2006
  • 대량 주문 생산은 의류 시장에서 고속으로 성장하는 분야이다. 의류 대량 주문 생산 분야에서 2D 가상 착의 시스템은 생산하기 전에 의류를 판매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고 제품 개발과 제조와 관련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비주얼 도구들 중 하나이다. 본 논문은 2D 실사 기반 가상 착의 시스템의 직물 컬러 매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안된 방법은 의류 모델 영상에서 영역 성장 기법을 통해 원하는 의류 형상을 분할한 후, 분할된 의류 형상 영역의 명도 차분 맵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새로운 직물 컬러를 해당 의류 형상 영역에 매핑시킨다. 2D 가상 착의 시스템에서 제안된 방법을 이용할 경우, 모델 의류의 컬러나 명도에 관계없이, 선택된 의류 형상 영역의 음영 및 조명 특성을 유지하면서 직물 컬러를 가상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각기 다른 스타일 혹은 전체 차림새를 위한 다양한 직물 컬러 조합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시뮬레이션하고 비교 선택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i-Fashion 3D Avatar's Consumer satisfaction & Comparison of 3D and Direct Masurement - Based of Domestic University Students

  • Choi, Eunhee;Do, Wolhee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421-428
    • /
    • 2015
  •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customer satisfaction with virtual fitting based on a 3D body scanner and avatars as well as differences between avatars and the 'real me'. To this end, this research examined Korean college students to facilitate 3D body scanning, avatar generation and surveys. The author used 3D body scan data with direct measurements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the 3D body scan data-based 'my avatar' and 'real me' in the virtual dress fitting system. The survey results on 'the level of customer awareness on 3D body scanner' found that the majority of both genders did not know about it and indicated a lower usability to incorporate IT technology into the fashion industry. The question in the 3D body scanning and avatar found an affirmative attitude. Satisfaction levels on the 3D avatars' similarity with 'own body' and garment fitting were positive and indicated a need for further technological improvements to express the avatars identical to customers' own body. More research is necessary for the accuracy of sizes for 3D body scanning that measure body sizes while wearing clothes. Avatars based on such datamay be less similar to 'own body' and cause customer dissatisfaction. Thus, further technology development is required to narrow gaps using data to make avatars that provide more accurate virtual fitting simulation services to customers.

A study on the Analysis of 3D Scanning of Knit Stitches and Modeling System - Jersey, Rib, and Cable Stitches -

  • Choi, Kyoung-Me;Kim, Jong-Jun;Song, Na-Gun
    • 패션비즈니스
    • /
    • 제16권3호
    • /
    • pp.125-135
    • /
    • 2012
  • Since knitted textile products mostly do not require long span of time from the conception to the final products, they have lead the fashion trends during the recent decades. Developments in the textile engineering industries, and computer software and hardware industries have made the 3D virtual clothing software system easily accessible by the fashion/textile industry personnel. The simulated models of apparel products using the state-of-the-art virtual clothing systems are, however, not the replica of real-world garments. Moreover, the garments do not maintain fixed shapes during wearing. Deformations at low external stress lead to difficulties in predicting the behavior of the knitted garment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appearances, textures, or other related properties between simulated fabrics and actual fabrics. Three knit stitches including jersey, rib, and cable stitches are examined in this study. The differences between fluffy thick yarns and thin yarns are also compared using 3D scanning and surface reconstruction. Obtained three-dimensional data regarding the reconstructed knit specimens would help to build a data base for estimating the behavior of the 3D models of the knitted garments.

3D 어패럴 캐드 시스템으로 제작된 가상의복의 소재물성별 실물 재현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xpressivity of Virtual Clothing made of 3D Apparel CAD System according to the Physical Properties of Fabric)

  • 오송윤;유은주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613-625
    • /
    • 2015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expressivity required for virtual clothing to replace actual clothing. For the experiment, 6 materials were selected and 12(2 kinds of length) actual flared skirts were made. At the same time, simulations were carried out on OptiTex Runway 12.0 for 36(12 kinds of skirts $\times$ KES, FTU, KES weight/10) kinds of virtual flared skirts, which were applied with the measured property values (thickness, weight, bending, shear, friction, and stretch). Also, the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wearing images, silhouette overlapping images, and skirt length measurements of the actual and virtual skirts put on a dummy. As a result, the actual skirts showed clear distinction for each material. In contrast, virtual 1 and 2 expressed fabric 3 in the most similar way, but could not recreate the uniform, soft, and natural flare shape of the actual skirts in general. Virtual 3 formed natural flares as those of the actual skirts, and expressed fabric 1, 5, and 6 in a similar way. However, virtual 3 had too much volume and barely showed any distinction for each material. All of virtual 1, 2, and 3 expressed different flare shapes on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skirt similarly to the actual skirts, and had a good visual expression for the color and texture of the materials. However, they could not effectively express the elasticity and fabric sagging in the bias di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