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deo Player

검색결과 175건 처리시간 0.024초

씬클라이언트 컴퓨팅에서 스트리밍 미디어의 QoS를 보장하는 지능형 미디어 플레이어 (An Intelligent Media Player for Guaranteeing QoS Streaming Media on Thin-Client Computing)

  • 김병길;이좌형;정인범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2B권5호
    • /
    • pp.607-616
    • /
    • 2005
  • 한정된 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씬클라이언트 환경 아래에서는 많은 연산량을 요구하는 MPEG 미디어의 복호화를 사용자에게 QoS를 보장되는 수준으로 동작시키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미디어에 대한 복호화 연산은 중앙의 터미널 서버들의 자원을 이용하게 하고 씬클라이언트 쪽에서는 단지 화면 업데이트만 처리하는 방식들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제안된 기존의 방법들에서는 재생된 스트리밍 미디어의 화질이 열악한 형편이다. 더구나, 서버들에게 복호화의 전 과정을 부담시키므로 서버들이 적은 부하에도 쉽게 포화점에 도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선 및 무선 씬클라이언트 환경에서 화질의 열화가 발생되는 원인들을 규명한다. 분석된 기존 씬클라이언트 방법들의 문제점을 기반으로 미디어 화질의 질을 향상시키며 영상과 음성을 동기화를 맞추어 사용자들에게 QoS 가 보장되는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형 미디어 재생기를 제안한다.

게임의 세이브 기능이 플레이어의 스토리 생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ame Saves on Player Story Generation)

  • 조성희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1-20
    • /
    • 2009
  • 이 논문에서는 비디오게임에서의 세이브와 로드(Save and Load)의 반복이 스토리의 생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게임 세이브로 인한 게임 플레이 변화의 양상을 연구하였다. 게임 플레이어의 활동은 적극적으로 스토리를 창조해나가는 과정이며, 비디오게임의 플레이어는 세이브와 로드를 통해 스토리를 생성해나가게 된다. 이 과정에서 게임 시간의 조작이 일어나며, 기존 서사물과는 다른 시간 진행 양상을 보이게 된다.

  • PDF

다중 동영상 플레이어를 이용한 미디어아트로써의 확장성 연구 -작품 <희로애락(喜怒哀樂)>을 중심으로 (A Study of Multiple Video Players as Media Art -Focusing on )

  • 나정조;이지희;송필재;이명학;백범;김규정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115-120
    • /
    • 2008
  • 본 논문은 하나의 미디어아트 작품에 대한 분석과 구현된 기술을 제공한다 3차원 그래픽 기술을 이용하여 다중 동영상 플레이어를 구현하였으며, 모든 동영상은 상호 연동되어 동작한다 컴퓨터의 소프트웨어로 구현된 동영상 플레이어에 관객이 참여하여 관객 스스로 감성적 자극을 얻을 수 있도록 구상하였다. 각 플레이어에 인간의 희로애락을 표현하며 특정화면에 대한 경험의 공감을 표현한다. 시스템의 성능에 따라 N2개 플레이어가 증가될 수 있으며, 더욱 많은 동영상간의 복합적인 연계를 통해 예술적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

HTTP 적응적 스트리밍을 위한 TCP 인지형 세그먼트 스케줄링 기법 (TCP-aware Segment Scheduling Method for HTTP Adaptive Streaming)

  • 박지우;정광수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3권7호
    • /
    • pp.827-833
    • /
    • 2016
  • HTTP 적응적 스트리밍은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비디오의 품질을 조절하여 사용자 체감 품질을 향상시키는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이다. HTTP 적응적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비디오 콘텐츠는 여러 품질과 일정 길이를 가지는 비디오 세그먼트로 나누어지며, 클라이언트는 적절한 품질의 세그먼트를 요청한다. 그러나 기존의 세그먼트 스케줄러는 TCP에 대한 고려 없이 일정 간격으로 세그먼트를 요청하므로 TCP 연결이 초기화되어 Slow-start를 다시 수행해 비디오 전송률이 감소한다. 본 논문에서는 HTTP 적응적 스트리밍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TCP 인지형 세그먼트 스케줄링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TCP 연결이 초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디오 세그먼트의 요청 시간을 조절하며, 세그먼트를 요청하는 시점을 고려하여 안정적인 비디오 스트리밍을 수행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하는 기법이 끊김 현상 없이 HTTP 적응적 스트리밍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MP3Player의 변화에서 나타나는 재매개적 특성 I : 계보적 변화와 재매개성 (Remediation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the Change of MP3Player I : Re-mediation and Genealogical Change)

  • 이진혁;이영천;구윤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9-68
    • /
    • 2013
  • iPod Touch는 초기의 음악 재생기능을 무색하게 할 만큼 다양한 응용소프트웨어가 제공되고, UI를 UX의 차원으로 한층 높임으로써 혁신적이라는 평을 받기도 하였다. 또한 인터넷을 통한 다양한 영상의 제공이 이루어 졌음에도 불구하고 일부에서는 여전히 MP3Player의 상품분류가 음향기기로 인식되고 있다. 어떻게 음향기기가 하루아침에 영상 장치가 되었는지, 그러기까지 어떠한 요인들이 작용했는지는 매체의 본질적 변화 외에도 사회적, 문화적, 그리고 기술적 변화의 요일들이 존재할 것이다. 이 연구는 MP3Player의 매체적 특성에 관한 연구이다. 즉 MP3Player의 계보적 변화를 4개의 지점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그리고 분류에 따른 각 지점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MP3Player의 계보적 변화에는 기술적 변화와 사회적 맥락성이 함께 관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나의 장치가 변화하는 데에는 다양한 요소들이 존재하지만, MP3Player의 계보적 변화의 요인에는 사회적 요구와 맥락, 그리고 기술적 변화의 총체성을 보이고 있다고 하겠다.

상용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 전력소모 패턴 분석 (Analysis of Power Consumption Patterns for Commercial Portable Multimedia Players)

  • 남영진;양은주;이종열;김성률;서대화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95-103
    • /
    • 2007
  • 데이터,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디지털 컨버전스 추세와 함께, 최근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PMP)가 점차 대중화되고 있다. PMP는 DSP, 보다 큰 LCD 스크린, 하드디스크 등이 장착되는 이유로 다른 휴대형 장치들에 비해서 효과적인 전력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수집 장치를 기반으로 한 하드웨어/소프트웨어기반 전력 측정 시스템 구축에 대해서 설명하고, PMP에서 발생하는 부팅, 동영상 재생, 다양한 비디오 코딩 방식 적용과 같은 다양한 사건 실행시의 전력소모 패턴을 측정하고 분석한다. 분석 결과는 저전력 PMP 장치를 설계하기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 PDF

이동식 미디어 플레이어를 이용한 도킹 스테이션 설계 (Docking Station Implementation using Portable Media Player)

  • 정은숙;류광렬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38-941
    • /
    • 2011
  • 본 연구에서 디지털 방송 수신 및 저장을 위하여 이동식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를 이용하여 도킹스테이션을 설계하였다. 디지털 방송 콘텐츠 수신 및 저장은 셋탑박스를 이용하며 이동식 미디어 플레이어와 탈부착 기능을 부가하였고, 이동식 미디어플레이어의 OS는 안드로이드를 사용하였다. 구현결과 이 시스템은 디지털방송, 지상파, 위성방송, DMB 등의 수신이 가능하며 비디오 영상은 실시간으로 저장된다.

  • PDF

Low-Complexity MPEG-4 Shape Encoding towards Realtime Object-Based Applications

  • Jang, Euee-Seon
    • ETRI Journal
    • /
    • 제26권2호
    • /
    • pp.122-135
    • /
    • 2004
  • Although frame-based MPEG-4 video services have been successfully deployed since 2000, MPEG-4 video coding is now facing great competition in becoming a dominant player in the market. Object-based coding is one of the key functionalities of MPEG-4 video coding. Real-time object-based video encoding is also important for multimedia broadcasting for the near future. Object-based video services using MPEG-4 have not yet made a successful debut due to several reasons. One of the critical problems is the coding complexity of object-based video coding over frame-based video coding. Since a video object is described with an arbitrary shape, the bitstream contains not only motion and texture data but also shape data. This has introduced additional complexity to the decoder side as well as to the encoder side. In this paper, we have analyzed the current MPEG-4 video encoding tools and proposed efficient coding technologies that reduce the complexity of the encoder. Using the proposed coding schemes, we have obtained a 56 percent reduction in shape-coding complexity over the MPEG-4 video reference software (Microsoft version, 2000 edition).

  • PDF

Direct Show를 사용한 동영상 플레이어 개발 연구 (A Study of Media Player Program Development using Direct-Show)

  • 김민기;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91-294
    • /
    • 2010
  • 여러 가지 형태의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특정 디코더 및 Demux가 필요하다. 필요에 따라, 많은 개발자들이 필터 개발을 하고 있지만, 기존의 GOM플레이어나 KMP플레이어는 API가 Open되어있지 않아, 작성된 필터 사용의 어려움이 있고, 동영상 재생에 사용되는 Codec의 선택에 대한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작성된 필터를 이용하여, 손쉽게 플레이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를 개발하며, 화면을 찾기 위한 Seek기능을 설계하고, 화면캡처, 전체화면, 재생화면, 확대, 축소 등 사용자 편의성을 위한 DLL파일로 구축하여 개발한다. 본 연구는 멀티미디어 제작 S/W기술과 정보통신 발전에 기여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