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cia tetrasperma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35초

Red Pepper Cultivation Using a Native Legume Cover Crop in Korea

  • Cho, J.L.;Choi, H.S.;Lee, Y.;Lee, M.H.;Kim, C.S.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spc호
    • /
    • pp.247-250
    • /
    • 2011
  • Four seed vetch (Vicia tetrasperma), a biennial native leguminous plant, was used for a cover crop with different quantity of sowed seeds. Weed suppression and yield were evaluated for the red pepper cultivation in the following year of the vetch seeding. Seeding of 1.0, 2.0, 3.0, 4.5, and 6.0 kg 10 $a^{-1}$ suppressed weed occurrences until late in the growing season of the red pepper. Consequently, red pepper in the cover cropping system with seeding of 3.0, 4.5, and 6.0 kg 10 $a^{-1}$ had a similar yield to the conventional red pepper. The ideal seed rate in four seed vetch was 3.0 and 4.5 kg 10 $a^{-1}$ in terms of reducing weed occurrence as well as increasing growth and yield in red pepper.

피복식물용 얼치기완두와 새완두의 생장에 미치는 파종조건과 질소공급량 추정 (Growth of Vicia tetrasperma and V. hirsuta as Affected by Seeding Condition and Estimated N Production)

  • 조정래;최현석;이연;김창석;이인용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84-88
    • /
    • 2011
  • 나비나물속 주요 잡초인 얼치기완두와 새완두의 출현과 생장량 그리고 질소공급량에 대해서 파종깊이와 파종시기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구명하기 위해서 2007년과 2008년에 수행되었다. 두 초종 모두 2005년 6월에 충청남도 당진군에서 채종되어 2년 이상 상온에서 보관한 후 사용하였다. 얼치기완두와 새완두는 6월 하순 이후에 발생하여 유묘 상태로 월동한 후에 기온이 상승하는 4~5월에 크게 신장하여 5월에 개화하고 6월 중순 이후에 고사하였다. 새완두는 얼치기완두에 비해서 대체적으로 높은 출현율과 생육량을 나타내었다. 피복식물로 파종할때의 적기는 8월 하순~9월 상순이고 파종심도는 1~5cm이었다. 얼치기완두와 새완두의 생육성기 지상부의 질소공급량은 각각 43.8과 $55.4kg\;ha^{-1}$으로 추정되었다.

고추재배 시 피복작물에 의한 피복율 변화와 잡초발생 양상 (Rate of Ground Cover and Weed Occurrence in Pepper Cultivation as Affected by Seeding of Ground Covers)

  • 조정래;최현석;이연;이병모;안난희;박광래;이지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55-359
    • /
    • 2011
  • 나비나물속 주요 잡초인 얼치기완두와 새완두를 이용하여 고추 피복재배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 2008년과 2009년에 수행되었다. 두 초종 모두 2006년 6월에 충청남도 당진군에서 채종되어 2년 이상 상온에서 보관하였다. 피복재배 시 주요 월동 잡초는 냉이이고 주요 하절기 잡초는 돌피, 바랭이, 닭의장풀 이었다. 월동 우점잡초 냉이는 고추의 생육과 수량에 영향이 거의 없었다. 얼치기완두와 새완두 피복재배로 고추재배 후기까지 피복도가 유지되었고 잡초발생을 현저하게 억제 하였다. 이에 따라 피복재배에 의해 고추 수량은 무처리구와 비교해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높았고, 관행재배에 비해서는 비슷하게 나타났다.

Rats Lens Aldose Reductase Inhibitor Activities of Leguminous Seed Extracts

  • Kim, Byung-Su;Kim, Min-Jeong;Kim, Hye-Young;Ahn, Young-Joon;Lee, Hoi-Seo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6권1호
    • /
    • pp.38-42
    • /
    • 2001
  • The methanol extracts of 25 leguminous seeds in vitro were evaluated for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lens aldose reductase of Sprague Dawley male rats. The responses varied with both leguminous seed and concentration used. At the concentration of 0.1 mg/mL, the methanol extracts from Amphicaraea edgeworthii, Canavalia lineata, Gylcine max var. solitae, Glycine max var. yagkong, Glycine max var. hooktae, Glycine max var. bangkong, Glycine max var. geumdu, Glycine max var. chungtae, Glycine max var. mejukong, Glycine soja, Phaseolus radiatus var. geodu, Vicia tetrasperma, Vigna angulasis, and Vigna sinensis inhibited enzyme activity by greatertha 60%. In following study, at the concentration of 0.01 mg/mL, the extracts of C. lineata and V. tetraspermahad relatively strong inhibitory activity against aldose reductase. Because of their potent inhibitory activities, the activity of each solvent fraction from C. lineata and V. tetrasperma was determined, and the potent activity was showed from chloroform and hexane fractions, respectively. {TEX}$IC_{50}${/TEX} values of C. lineata and V. tetrasperma were 0.004 and 0.006 mg/mL, respectively. As a naturally occurring therapeutic agent, leguminous seeds described could be useful for developing new agents of antidiabetic complications.

  • PDF

Changes of Soil Microbe communities in Plastic Film House by Green Manure Crops Cultivation

  • Won, J.G.;Jang, K.S.;Hwang, J.E.;Kwon, O.H.;Jeon, S.G.;Park, S.G.;Park, K.C.;Suh, Y.J.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spc호
    • /
    • pp.149-152
    • /
    • 2011
  • To improve the soil condition for no-tillage organic pepper cultivation, four different green manure crops were cultivated. Fertilizer supply was depended on the biomass of the cultivated green manure crops, nitrogen supplies were 314kg in Vicia villosa and 341kg $ha^{-1}$ in Vicia angustifolia. In the microbial community analyzed by phospholipid fatty acid (PLFA) method, soil microbe populations were different among the green manure crops and fungi group was increased at Vicia angustifloia and Vicia villosa. The biological ratio indexes of fatty acids in the soils, the ratio of Gram-negative to Gram-positive bacterial PLFA and Ratio of aerobes to anaerobes were high at Vicia hirsute and Vicia tetrasperma suggesting the enrich of the aerobic conditions. The ratio of saturated to unsaturated fatty acids increased at Vicia angustifloia and Vicia villosa suggesting anaerobic conditions. Abundant biomass and uncomposted organic matter, the ratio of fungi to bacteria was increased at Vicia angustifloia and Vicia villosa.

얼치기완두 피복재배가 고추 주요 해충 및 천적 발생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over-crop (Vicia tetrasperma) Cultivation on the Occurrence of Major Insect Pests and their Natural Enemies in Pepper, Capsicum annum)

  • 한은정;홍성준;박종호;조정래;최재필;김용기;심창기;김민정;지형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5-41
    • /
    • 2013
  • 얼치기완두 피복재배가 고추 주요 해충 및 천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황색점착트랩을 이용하여 절지동물군의 발생을 조사하였으며, 고추에서 발생한 진딧물과 총채벌레의 밀도, 그리고 총채벌레와 담배나방에 의한 피해를 조사하였다. 황색점착트랩을 이용한 조사 결과, 고추 정식 전과 재배 초기에 얼치기완두에서 고치벌, 진딧물 유시충, 총채벌레가 밀도가 높았다. 하지만 얼치기완두 피복재배구의 고추에서는 진딧물류가 유의하게 낮게 발생하였으며, 총채벌레류와 담배나방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피복식물용 자생잡초 얼치기완두와 새완두 종자의 저장방법이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orage Period and Germination Condition on Germination Rate of Vicia tetrasperma and V. hirsuta)

  • 조정래;최현석;이연;김창석;이인용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8-83
    • /
    • 2011
  • 자생잡초인 얼치기완두와 새완두를 피복식물로 이용하기 위해 이들 종자의 저장기간 및 방법, 온도 및 광조건이 발아율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한 시험을 수행하였다. 2004년과 2005년 6월에 충청남도 당진에서 채종하여 일정기간 상온에서 저장한 종자를 $15/5^{\circ}C$, $20/10^{\circ}C$, $25/15^{\circ}C$, $30/20^{\circ}C$(주/야) 조건에서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2004년과 2005년에 얼치기 완두와 새완두 모두 채종후 3개월 동안 상온에서 저장한 후의 발아율은 30% 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2005년에 채종되어 12개월 상온저장 후 $25/15^{\circ}C$로 처리한 얼치기완두는 82%의 높은 발아율을 보였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발아율이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새완두는 채종 6, 9, 12개월 후에 33%에서 53%의 발아율을 보여 저장기간이 발아율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얼치기완두와 새완두 종자는 저온보다는 상온에서 저장하는 것이 효과적이었으며, 광이나 고온처리가 발아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한국산 나비나물속(콩과)의 세포분류학적 연구 (A cytotaxonomic study of Vicia L. (Fabaceae) in Korea)

  • 남보미;박명순;오병운;정규영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07-315
    • /
    • 2012
  • 한국산 나비나물속(Vicia)에 속하는 10분류군의 체세포 염색체수와 그 중 6분류군에 대한 핵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나비나물속의 체세포 염색체수는 2n = 12, 14 또는 24로서, 기본 염색체수 x = 6 또는 7의 이배체와 사배체로 밝혀졌다. 한국특산식물인 나래완두(V. hirticalycina, 2n = 2x = 12)의 염색체수는 본 연구에서 처음으로 밝혀졌다. 가는살갈퀴(V. angustifolia, 2n = 2x = 12), 등갈퀴나물(V. cracca, 2n = 4x = 24), 새완두(V. hirsuta, 2n = 2x = 14), 얼치기완두(V. tetrasperma, 2n = 2x = 14 + 2B), 벌완두(V. amurensis, 2n = 2x = 12), 노랑갈퀴(V. chosenensis, 2n = 2x = 12, 12 + 2B), 나비나물(V. unijuga, 2n = 4x = 24), 애기나비나물(V. unijuga f. minor, 2n = 4x = 24), 광릉갈퀴(V. venosa var. cuspidata, 2n = 4x = 24)의 체세포 염색체수는 기존의 보고들과 일치하였다. 핵형분석 결과, 등갈퀴나물은 2 m + 8 sm+ 2 st, 벌완두는 2 m + 2 sm + 2st, 나래완두는 3 m + 1 sm+ 2 st, 나비나물과 애기나비나물은 4 m + 6 sm + 2 st, 광릉갈퀴는 4 m + 8 sm로 각각 조사되었다.

The study of seed morphological trait and testa characteristic for Korean Vicia species

  • 한세희;왕샤오한;김성훈;현도윤;이경준;이정로;조규택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4-64
    • /
    • 2019
  • In order to evaluate the taxonomical relevance of seed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 macroand micro-morphological study was conducted on seeds of Korean Vicia (Fabacea). We collected 19 taxa of genus Vicia distributed in Korea and introduced one taxa from USDA.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 and testa texture of seeds were investigated using a Stereo-microscope (SM)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Most of Vicia seeds were found spherical or oblong and some seeds were oval and subglose. The largest seed was V. chosenensis ($4.3{\times}3.6{\times}2.6mm$), and the smallest was V. teterasperma ($1.7{\times}1.7{\times}1.5mm$). V. chosenensis and V. hirsuta were separated from other Vicia species by having a shiny in seed finish. In hilum shape, 14 species have linear and V. sepium was distinguished by having a circumlinear. In testa texture, they developed papilae, only V. hirsuta has lophate in level type. Deposition of the sheet-like debris between the papilae was observed in V. chosenensis, V. cracca, and V. unijuga. Polymorphism information content (PIC) values of the 13 qualitative morphological characters (QMC) were in the range of 0.0950 to 8863 with an average of 0.4611. PIC value of seed shape, seed colour, hilum colour were 0.7403, 0.8177, 0.883 respectively. Cluster analysis based on QMC detected three main clades. V. cracca, V. amurensis, V. amoena were involved in Group 1 and V. unijuga f. minor, V. unijuga, V. unijuga f. angustifolia, V. sepium, V. hirticalycina, V. hirsuta, V. linearfolia, V. chosenensis, V. pseudorobus, V. venosa var. cuspidata were involved in Group 2. V. nipponica, V. japonica, V. villosa, V. dasicarpa, V. bungei, V. angustifolia, V. tetrasperma were clustered in Group 3. Our research suggests that morphological characteristic and testa texture of seeds could be used as definers for the identification of genus Vicia.

  • PDF

시가화지역 식물군집 특성에 기초한 비오톱 유형분류 (Biotope Type Classification based on the Vegetation Community in Built-up Area)

  • 김지석;정태준;홍석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54-46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시가화지역의 서로 다른 토지이용을 대상으로 식물군집에 기초한 비오톱 유형분류를 실시하고 비오톱 지도를 작성하였다. 군집분류법에 의한 비오톱 유형화는 생물군집의 서식지인 비오톱의 특성을 잘 반영한다고 할 수 있었다. 연구대상지의 비오톱유형 분류 지표는 이용강도, 토지이용형태, 토지피복유형과 같은 인간행태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유형분류는 4단계 위계로 상위의 Biotope Class를 시작으로 Biotope Group, Biotope Type, Biotope Sub-Type으로 위계를 두어 구분하였다. Biotope Class는 인간간섭여부에 따른 가장 상위 분류로 인간간섭지역과 미간섭지역으로 구분되었다. 인간의 간섭지역은 투수여부에 따라 Biotope Group으로 분류되었고 틈새투수지역은 넓은 틈새와 좁은 틈새의 Biotope Type으로, 투수식생지역은 평지식생지와 사면식생지의 Biotope Type으로 분류되었다. 각 비오톱 유형의 식별종은 감태나무(Lindera glauca), 망초(Conyza canadensis), 주름잎(Mazus pumilus), 얼치기완두(Vicia tetrasperma), 뽀리뱅이(Crepidiastrum sonchifolium), 잔디(Zoysia japonica), 개소시랑개비(Potentilla supina), 큰김의털(Festuca arundinacea)이었다. 본 연구의 검증결과는 기존의 토지이용 현황에 기반하며 연구자의 주관적인 측면이 개입되는 비오톱 유형분류 기준에 대해서 식물사회학적 접근을 통한 유형 분류의 방법론이 유용함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향후 제작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자연환경 지도 유형분류에 있어 보다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의 적용가능성을 제시한 것에 의의를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