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brio

검색결과 1,204건 처리시간 0.029초

단백질 분해효소를 생산하는 호염성 미생물 Vibrio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Protease-Producing Halophilic Vibrio sp.)

  • 엄기범;윤선진;이재경;이재학;이순열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08-113
    • /
    • 2007
  • In this study, a halophilic protease-producing bacterium was isolated from the west seaside mud flats of Korea. The 16S rDNA nucleotide sequences of the isolate showed 99.5% sequence homology with those of Vibrio vulnificus and Vibrio fluvialis; therefore, the isolate was named Vibrio sp. YH-127. Gram staining and the carbohydrate metabolism test results supported the isolate as one from the Vibrio family. Optimum condition for the cell growth and for the protease activity were obtained when the isolate was cultured at 25$^{\circ}C$ and pH 7.0, with the salt concentration of the medium similar to that of sea water. Finally, the addition of Mg$^{++}$ ions into medium increases protease activity suggesting that the protease produced by the isolate was a metalloprotease.

부산과 대천 해안에서 Vibrio vulnificus와 Vibrio parahaemolyticus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Vibrio vulnificus and Vibrio parahaemolyticus from Coast of Pusan and Daechon)

  • 주진우;박민정;허문수;정초록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09-316
    • /
    • 2000
  •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isolation of pathogenic Vibrio species, V. vulnificus and V. parahaemolyticus from marine environment from May to July of 1999. Isolation sites were coast near by Pusan and Daechon.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Seventy strains of V. parahaemolyticus and 19 strains of V. vulnificus were isolated from a total of 120 specimens. 2. Nineteen strains of V. vulnificus did not fermented arabinose and salicin but fermented lactose and cellobiose. All of V. parahaemolyticus isolates did not fermented lactose and cellobiose. 47 strains of V. parahaemolyticus fermented arabinose but 53 strains did not fermented salicin. 3. V. vulnificus and V. parahaemolyticus isolates showed three different API index numbers with 5046105 and 4346107 dominant. 4. V. vulnificus did not grow on 0% and 8% NaCl containing medium. V. parahaemolyticus grew on 8% NaCl containing medium. 5. V. vulnificus isolates and V. parahaemolyticus revealed different outer membrane protein profiles on SDS-PAGE.

  • PDF

Genotyping of Six Pathogenic Vibrio Species Based on RFLP of 16S rDNAs for Rapid Identification

  • Yoon, Young-Jun;Im, Kyung-Hwan;Koh, Young-Hwan;Kim, Seong-Kon;Kim, Jung-Wan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1권4호
    • /
    • pp.312-319
    • /
    • 2003
  • In an attempt to develop a method for rapid and accurate identification of six Vibrio species that are clinically important and most frequently detected in Korea, 16S rDNA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of Vibrio type strains, as well as environmental isolates obtained from the Korean coastal area, was analyzed using ten restriction endonucleases. Digestion of the 16S rDNA fragments amplifi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with the enzymes gave rise to 2~6 restriction patterns for each digestion for 47 Vibrio strains and isolates. An additional 2~3 restriction patterns were observed for five reference species, including Escherichia coli, Aeromonas hydrophila, A. salmonicida, Photobacterium phosphoreum, and Plesiomonas shigelloides. A genetic distance tree based on RFLP of the bacterial species correlated well with that based on 16S rDNA sequences. The very small 16S rDNA sequence difference (0.1%) between V. alginolyticus and V. parahaemolyticus was resolved clearly by RFLP with a genetic distance of more than 2%. RFLP variation within a species was also detected in the cases of V. parahaemolyticus, V. proteolyticus, and V. vulnificus. According to the RFLP analysis, six Vibrio and five reference species were assigned to 12 genotypes. Using three restriction endonucleases to analyze RFLP proved sufficient to identify the six pathogenic Vibrio species.

16S-23S rRNA Intergenic Spacer Region을 이용한 Vibrio fluvialis의 검출 (Use of 16S-23S rRNA Intergenic Spacer Region for Rapid Detection of Vibrio fluvialis)

  • 강현실;허문수;이제희
    • 환경생물
    • /
    • 제21권1호
    • /
    • pp.77-85
    • /
    • 2003
  • 본 연구는 위장관염을 일으키는 Vibrio fluvialis의 16S-23S rRNA intergenic spacer region을 분석하였다. ISR을 PCR 증폭 후 plasmid vector에 클로닝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ISR의 염기서열은 tRNA gene 조성과 크기에 따라 총 6개의 type으로 분류되었다. 각 type은 tRNA gene 조성과 수에 따라 ISR-A, ISR-E, ISR-El, ISR-lA, ISR-EKV, ISR-EKAV로 명명하였으며, ISR-A는 tRN $A^{Ala}$; ISR-lA, tRN $A^{Ile}$-tRN $A^{Ala}$; ISR-EKV, tRN $A^{Glu}$-tRN $A^{Lys}$-tRN $A^{Val}$; ISR-EKAV, tRN $A^{Glu}$-tRN $A^{Lys}$-tRN $A^{Ala}$-tRN $A^{Val}$; ISR-E와 El은 tRN $A^{Glu}$를 갖고 있었다. 이 중 ISR-EKV type은 minor type으로 존재하고 있으며, 여러 Vibrio종의 ISR-EKV type과 비교시 변이성이 높은 부위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 ISR-EKV의 염기서열을 여러 Vibrio종에서 V. fluuialis를 검출하기 위한 species-specific primer 제작에 이용하였다. 제작된 primer의 특이성은 여러 Vibrio 의 genomic DNA를 분리하여 PCR 반응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제작된 primer는 V. fluvialis에 종 특이성이 있으며 여러 Vibrio종으로부터 빠른 검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로부터 빠른 검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해양 생물에서 분리된 Phaeobacter inhibens KJ-2의 항균 활성 (Examin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by Phaeobacter inhibens KJ-2 Isolated from a Marine Organism)

  • 김윤범;김동휘;허문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0호
    • /
    • pp.1161-1167
    • /
    • 2017
  • 본 연구는 양식업에 막대한 경제적인 손실을 야기시키는 세균성 어류질병인 Vibrio anguillarum을 예방하고 억제하기 위한 목적을 두고, 제주 연안에 서식하는 군소 알로부터 특징적인 균주를 분리 하였다. 이를 16S rRNA 염기서열 분석, 형태학적 특성을 통해 균을 동정하여 Phaeobacter inhibens KJ-2로 명명하였다. Phaeobacter inhibens KJ-2 균주는 Vibrio sp.에 대해 강한 항균 활성을 갖고 있으며, 항균물질의 생산특성을 배양조건에 따라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 진탕 배양의 경우 $20^{\circ}C$에서 24시간 배양 후, 정치 배양의 경우 96시간 배양 후 항균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진탕 배양 및 정치 배양 모두 4시간 후부터 생육도는 낮았으나 항균 물질 생산을 시작하였다. 생육도가 거의 없는데도 불구하고 항균물질이 생산이 이루어졌는데, 이는 QS (Quorum Sensing)의 신호 물질인 AHLs과 관련이 있다고 사료되며, AHLs의 생성능은 항균 활성과 거의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런 배양특성을 바탕으로 항균 활성을 검토한 결과 V. anguillarum외 다른 Vibrio sp.에 대해서도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Vibrio vulnificus, Vibrio campbellii, Vibrio mimicus에 대해 높은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양식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에서 분리된 Edwardsiella tarda, Vibrio spp., Streptococcus spp.의 항균제 내성 경향 (Antimicrobial resistance of Edwardsiella tarda, Vibrio spp., and Streptococcus spp. isolated from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김명석;서정수;박명애;조지영;황지연;권문경;정승희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7-45
    • /
    • 2010
  • 넙치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제 내성율과 다제내성을 조사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우리나라의 양식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에서 161균주가 분리되었고 분리균주에는 Edwardsiella tarda (n=32), Vibrio ichthyoenteri (n=37), Vibrio spp. (n=54), Streptococcus parauberis (n=28) 그리고 Streptococcus spp. (n=10)가 포함되었다. E. tarda 분리균주는 tetracycline (84.4%)과 oxolinic acid (71.9%)에 높은 내성율을 나타내었고 V. ichthyoenteri와 Vibrio spp.는 ampicillin (94.6%, 81.5%)과 tetracycline (56.8%, 42.6%) 순서로 높은 내성율을 나타내었다. S. parauberis 분리균주는 ampicillin (57.1%), tetracycline (57.1%), erythromycin (35.7%) 순서로 높은 내성율을 보였다. E. tarda의 84.4%, V. ichthyoenteri의 73.0%, Vibrio spp.의 57.4%, S. parauberis의 42.8% 그리고 Streptococcus spp.의 70.0%가 2종류 이상의 항균제에 다제내성을 나타내었다.

감마선 조사가 vibrio vulnificus의 Metalloprotease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mma Irradiation on the Expression of Gene Endoding Metalloprotease in Vibrio vulnificus)

  • 정진우;임상용;조민호;윤혜정;허정무;김동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6-11
    • /
    • 2008
  • 방사선 조사 후에 생존한 병원성 미생물의 안정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패혈증을 일으키는 Vibrio vulnificus ATCC 29307의 병원성 인자인 metalloprotease (vvp) 유전자의 발현과 효소 활성의 변화를 감마선 조사 후에 시간대별로 확인하였다. V. vulnificus는 다른 병원성 미생물들에 비하여 비교적 높은 방사선 감수성을 보였으며 방사선 조사 직후 유도기를 거친 후에 성장이 다시 시작되었다. 감마선을 조사하였을 경우 vvp 유전자의 발현은 비조사구에 비하여 $3{\sim}6$시간 정도 빨리 유도되었으나 총 metalloprotease의 활성은 감소하였다. 또한, vvp 유전자의 발현이 최대로 증가한 시점에서 metalloprotease의 활성을 비교한 결과 감마선이 조사된 균의 경우 감마선이 조사되지 않은 균에 비하여 약 $70{\sim}80%$ 수준으로 생산량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감마선 조사 후 생존한 Vibrio vulnificus에서 병원성 인자 (vvp)의 발현 및 활성은 증가하지 않았으며 본 연구결과는 감마선 조사 식품의 미생물학적 안정성을 보여주는 기초 자료중의 하나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Vibrio vulnificus CYK 279H에서 Collagenolytic Protease 생산을 위한 최적배양조건 (The Optimal Culture Condition for the Collagenolytic Protease Production from Vibrio vulnificus CYK279H)

  • 강성일;김영문;장영부;임동중;공재열
    • KSBB Journal
    • /
    • 제19권4호
    • /
    • pp.295-300
    • /
    • 2004
  • 해양유래미생물에서 gelatin 분해능이 우수한 균주 Vibrio vulnificus CYK 279H를 이용하여 최적 효소활성조건을 검토하였다. 온도와 초기 pH는 $25^{\circ}C$, 7.5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당, 이당, 다당류를 첨가하여 탄소원의 영향에서는, 0.3% (w/v) galactose 에서, 유$.$무기 질소원으로는 0.6% (w/v) yeast extract와 4.0% (w/v) gelatin, 0.2% (w/v) (NH$_4$)$_2$SO$_4$에서 효소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염 농도로는 2.0% (w/v) NaCl, 금속이온은 Fe$^{2+}$를 첨가하였을 때 효소활성이 증가되었다. 선정된 최적배양조건에서 Vibrio vulnificus CYK 279H를 배양한 결과, 18 h 배양시 73 Unit/1로 기본배지 20 Unit/1보다 활성이 3.7배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Maroon clownfish, Premnas biaculeatus 자어로부터 분리한 Vibrio ponticus KJS1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Vibrio ponticus KJS1 Isolated from Larvae of Maroon clownfish, Premnas biaculeatus)

  • 김종수;노섬;강봉조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5-31
    • /
    • 2007
  • 비브리오증은 해수어의 중요한 질병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 maroon clownfish (Premnas biaculeatus)를 대상으로 해수 관상어 종묘 생산 기술 개발 과정 중 부화 3~7일령 사이에 섭이를 하지 않고 힘없이 유영하면서 폐사하는 개체들로부터 Vibrio 균주를 분리하였다.분리균주의 16S rRNA gene 염기서열 분석결과 Vibrio ponticus CECT5869 와 99.8%의 상동성을 보여 Vibrio ponticus KJS1으로 동정하였다.GN2 microplate (BioLog, USA)를 이용한 생화학 시험결과에서 dextrin 및 sucrose를 포함한 35가지 기질 이용능이 확인되었고, α-cyclodextrin을 비롯한 52가지 기질은 분해하지 못하였으며, glycogen을 비롯한 7가지 기질은 약한 이용능을 나타내었다.분리 균주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 실험 결과에서는 oxolinic acid, flumequine, ciprofloxacin, ofloxacin, norfloxacin, nalidixic acid, pefloxacin, oxycycline hydrochloride에 높은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배추김치즙의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enteritidis, Vibrio parahaemolyticus 및 Enterobacter cloacae에 대한 항균작용 (The Antibacterial Action of Chinese Cabbage Kimchi Juice on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enteritidis, Vibrio parahaemolyticus and Enterobacter cloacae)

  • 서화중;서유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351-1356
    • /
    • 2003
  • 배추김치의 항균작용을 실험한 본 연구에서 1개월간 발효된 배추김치즙 시료(염분 2.8%, 산도 1.34%, PH 4.1)를 2% 함유한 보통 한천 배지에서 실험군의 집락수 억제율은Salmonella enteritidis ATCC 13076이 가장 낮은 63%이었고 Enterobacter cloacae ATCC 13047과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p은 각각 72%, 76%이었고 Vibrio parahaemolyticus ATCC 17802은 가장 높은 90%를 보였다. Vibrio parahaemolyticus ATCC 17802는 배추김치즙 함량이 6%에서 100%발육 억제효과를 보여 실험균 중 배추김치즙에 대한 저항력이 가장 약했으나 동일한 배추김치즙 시료농도(6%)에서 Salmonella enteritidis ATCC 13076, Enterobacter cloacae ATCC 13047,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p는 각각 89%, 90%, 91% 의 집락수 억제 효과를 보였다. 배추김치즙 함량 10%에서 모든 실험군의 집락가100% 억제되는 효과를 보였다. 실험결과 1개월간 충분히 발효된 배추김치에는 어떤 식중독균도 생존할 수 없을 것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