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sico-ureteral reflux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5초

Usefulness of neutrophil-lymphocyte ratio in young children with febrile urinary tract infection

  • Han, Song Yi;Lee, I Re;Park, Se Jin;Kim, Ji Hong;Shin, Jae Il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9권3호
    • /
    • pp.139-144
    • /
    • 2016
  • Purpose: Acute pyelonephritis (APN) is a serious bacterial infection that can cause renal scarring in children. Early identification of APN is critical to improve treatment outcomes. The neutrophil-lymphocyte ratio (NLR) is a prognostic marker of many diseases, but it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in urinary tract infection (UTI).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NLR is a useful marker to predict APN or vesicoureteral reflux (VUR). Methods: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298 pediatric patients ($age{\leq}36months$) with febrile UTI from January 2010 to December 2014. Conventional infection markers (white blood cell [WBC] count,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ESR], C-reactive protein [CRP]), and NLR were measured. Results: WBC, CRP, ESR, and NLR were higher in APN than in lower UTI (P<0.001).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NLR was a predictive factor for positive dimercaptosuccinic acid (DMSA) defects (P<0.001). The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was high for NLR (P<0.001) as well as CRP (P<0.001) for prediction of DMSA defects. NLR showed the highest area under the ROC curve for diagnosis of VUR (P<0.001). Conclusion: NLR can be used as a diagnostic marker of APN with DMSA defect, showing better results than those of conventional markers for VUR prediction.

Clinical Significance of Uptake Difference on DMSA Scintigraphy in Pediatric Urinary Tract Infection

  • Kim, Byung Kwan;Choi, Won Jee;Yim, Hyung Eun;Yoo, Kee Hwan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20권2호
    • /
    • pp.63-68
    • /
    • 2016
  • Purpose: Disruption of normal renal development can lead to congenital anomalies of the kidney and urinary tract, including renal hypodysplasia. We aimed to clarify whether small kidney size affects clinical manifestations in children with urinary tract infection (UTI). Methods: One hundred fifty-four patients who had their first symptomatic UTI between January 2014 and June 2015 were enrolled in this study. Differences in kidney size were estimated based on percent uptake of $^{99m}Tc-$ dimercaptosuccinic acid (DMSA) in scintigraphy. The patients who showed more than 10% difference in kidney size on DMSA scintigraphy with none or minimal cortical defects were included in group A. (group A, n=17). Laboratory, clinical, and imaging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other patients (group B, n=137). Results: Group A had a relatively higher incidence of vesicoureteral reflux than group B (44% vs 20%, P<0.05). The levels of plasma neutrophil gelatinase-associated lipocalin (NGAL) and serum C-reactive protei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A (193 [64-337] vs 91 [59-211] ng/mL and 4.1 [0.5-11.9] vs 2.1 [0.7-5.3] ng/mL, respectively; all P <0.05).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plasma NGAL level strongly correlated with the difference in renal uptake in DMSA scintigraphy in group A ($R^2=0.505$). Conclusion: The difference in kidney size could influence the clinical course and severity of pediatric UTI.

Evaluation of new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guideline for febrile urinary tract infection

  • Choi, Da Min;Heo, Tae Hoon;Yim, Hyung Eun;Yoo, Kee Hwa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8권9호
    • /
    • pp.341-346
    • /
    • 2015
  • Purpose: To evaluate the practical applications of the diagnosis algorithms recommended by the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urinary tract infection (UTI) guideline.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febrile UTI patients aged between 2 and 24 months.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group I (patients with positive urine culture and urinalysis findings), group II (those with positive urine culture but negative urinalysis findings), and group III (those with negative urine culture but positive urinalysis findings). Clinical, laboratory, and imaging results were analyzed and compared between the groups. Results: A total of 300 children were enrolled. The serum C-reactive protein level was lower in children in group II than in those in groups I and III (P<0.05). Children in group I showed a higher frequency of hydronephrosis than those in groups II and III (P<0.05). However, the frequencies of acute pyelonephritis (APN), vesicoureteral reflux (VUR), renal scar, and UTI recurrence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In group I, recurrence of UTI and presence of APN were associated with the incidence of VUR (recurrence vs. no recurrence: 40% vs.11.4%; APN vs. no APN: 23.3% vs. 9.2%; P<0.05). The incidence of VUR and APN was not related to the presence of hydronephrosis. Conclusion: UTI in febrile children cannot be ruled out solely on the basis of positive urinalysis or urine culture findings. Recurrence of UTI and presence of APN may be reasonable indicators of the presence of VUR.

대장균과 비대장균에 의한 영아 요로 감염의 비교 (Comparison of Urinary Tract Infections Caused by Escherichia coli and Non-E.coli in Infants)

  • 정진교;최철순;김성준;박소현;김종현;고대균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6권2호
    • /
    • pp.162-166
    • /
    • 2009
  • 목 적: 소아에서 요로 감염은 가장 흔한 세균 질환 중 하나로 합병증으로 신손상이 초래될 수 있다. 신손상의 위험 인자로는 더 어린 나이에 발병하거나, 요로계의 선천 기형이 동반되는 경우, 치료의 시작이 늦어진 경우, 비 E. coli에 의한 경우 등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아에서 E. coli UTI의 특징적인 임상 및 검사실 소견을 non-E. coli UTI과 비교해보았다. 방 법: 1998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소아청소년과에 요로 감염으로 진단된 12개월 미만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들을 E. coli UTI군과 non-E. coli UTI 군으로 나누어 의무기록 및 검사 소견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연구군의 포함 기준에 합당한 환자는 총 324명이었으며, 이중 273명(84.3%)은 E. coli에 의한 요로 감염, 나머지 51명(15.7%)은 다른 균에 의한 감염이었다. E. coli UTI 군은 non-E. coli UTI 군에 비해 발병 연령이 더 어리고(3.59 vs 4.47개월, P =0.008), 입원 후 농뇨의 소실 기간이 더 길었고 (3.96 vs 3.06일, P =0.010), 진단 당시 말초 혈액 검사에서 백혈구 수가 더 많았으나(13.89 vs $12.13{\times}10^3/mm^3, P =0.043), III 등급 이상의 고등급 방광 요관 역류의 동반 빈도는 낮았다(P =0.005). 그러나 입원 후 해열 기간 및 항균제 치료의 반응에는 차이가 없었다. 결 론: 요로감염에서 균주에 따른 재발률 및 신 손상 등 장기 예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시행하여 영상 검사 및 치료 방침을 차별화 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Burkholderia Cepacia Causing Nosocomial Urinary Tract Infection in Children

  • Lee, Ki Wuk;Lee, Sang Taek;Cho, Heeyeon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9권2호
    • /
    • pp.143-147
    • /
    • 2015
  • Purpose: Burkholderia cepacia is an aerobic, glucose-non-fermenting, gram-negative bacillus that mainly affects immunocompromised and hospitalized patients. Burkholderia cepacia has high levels of resistance to many antimicrobial agents, and therapeutic options are limited. The authors sought to analyze the incidence, clinical manifestation, risk factors, antimicrobial sensitivity and outcomes of B. cepacia urinary tract infection (UTI) in pediatric patients. Methods: Pediatric patients with urine culture-proven B. cepacia UTI between January 2000 and December 2014 at Samsung Medical Center, a tertiary referral hospital in Seoul, Republic of Korea, were included in a retrospective analysis of medical records. Results: Over 14 years, 14 patients (male-to-female ratio of 1:1) were diagnosed with B. cepacia UTI. Of 14 patients with UTI, 11 patients were admitted to the intensive care unit, and a bladder catheter was present in 9 patients when urine culture was positive for B. cepacia. Patients had multiple predisposing factors for UTI, including double-J catheter insertion (14.2%), vesico-ureteral reflux (28.6%), congenital heart disease (28.6%), or malignancy (21.4%). Burkholderia cepacia isolates were sensitive to piperacillin-tazobactam and sulfamethoxazole-trimethoprim, and resistant to amikacin and colistin. Treatment with parenteral or oral antimicrobial agents including piperacillin-tazobactam, ceftazidime, meropenem, and sulfamethoxazole-trimethoprim resulted in complete recovery from UTI. Conclusion: Burkholderia cepacia may be a causative pathogen for nosocomial UTI in pediatric patients with predisposing factors, and appropriate selection of antimicrobial therapy is necessary because of high levels of resistance to empirical therapy, including aminoglycosides.

소아 요로감염에서 발열과 신반흔의 관계 (Fever Duration and Renal Scar in Pediatric Urinary Tract Infection)

  • 정지인;임동희;임형은;박만식;유기환;홍영숙;이주원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2권1호
    • /
    • pp.70-77
    • /
    • 2008
  • 목적 : 요로감염은 소아 발열의 흔한 원인이며 합병증으로 초래되는 신 반흔은 고혈압이나 만성신부전으로 진행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요로감염에 의한 발열지속기간이 신 반흔이나 방광요관역류 등 위험요소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고자 하였다. 방법 : 2002년 3월부터 2007년 3월까지 소아 청소년과에 입원한 15세 미만 초진환자 중 1) 발열을 주소로 하고 2) 입원 전 발열 기간 및 항생제 사용의 정확한 병력을 알 수 있으며 3) 요로감염으로 처음 진단된 환아 143명을 대상으로 항생제 사용 전, 후 발열 지속기간에 따라 초기 신 결손 및 6개월 후 신 반흔 여부, CRP, 말초 혈액 백혈구, 방광요관역류 유무 등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결과 : 1) 항생제 사용 후 발열 지속기간이 길수록(P=0.014) 초기 신 결손은 증가하였다. 그러나 항생제 사용 전 발열기간은 상관이 없었다. 2) 항생제 사용 전(P=0.006)과 후(P=0.015)의 발열 지속기간이 길수록 신 반흔 발생은 증가하였다. 3) 항생제 사용 후 발열 지속기간이 길수록 CRP도 높았다(r=0.287, P=0.003). 4) 말초 혈액 백혈구 수 및 방광요관역류 및 등급은 항생제 사용 전, 후 발열 지속기간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소아 요로 감염에서 항생제 사용 전과 후의 발열 기간이 길어질수록 신 반흔의 위험이 증가한다. 그러므로 지속적인 열을 동반한 요로 감염 환아는 보다 적극적인 치료와 관찰이 요구된다.

  • PDF

소아에서의 요로감염과 방광요관역류에 관한 고찰 (Urinary Tract Infection and Vesicoureteral Reflux in Children)

  • 임현석;박창로;고철우;구자훈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권1호
    • /
    • pp.46-52
    • /
    • 1997
  • 목적 : 소아기의 요로감염은 신손상을 유발하여 신반흔, 고혈압, 말기신부전증 등을 일으키며 요로감염에 흔히 동반되는 방광요관역류는 이와같은 신손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본 조사는 한국소아에서의 요로감염과 방광요관역류와의 관계를 밝히고 또한 신반흔 발생과의 관련을 규명하고자 시행되었다. 방법 : 대상 환아는 1990년 1월부터 1996년 6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소아과에 입원하여 요로감염으로 진단된 291례로 하였고, 신 초음파 검사, 경정맥 신우 조영술, 배뇨성 방광요로 조영술, DMSA 주사 등을 시행하여 방광요관역류 및 신반흔을 확인하였다. 역류의정도는 국제 소아 역류 조사팀에 의한 분류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대상환아는 남아 177례, 여아 114례로서 총 291례였으며, 1세이하에서는 남아 대 여아비가 134:42로 남아가 훨씬 많았고, 5세이상에서는 11:35로 여아에서 그 빈도가 높았다. 방광요관역류는 64례(22%)에서 관찰되었으며 1등급 4.0%, 2등급 3.0%, 3등급 2.7%, 4등급 5.8% 및 5등급 6.2%였으며 남녀의 차이는 없었다. 원인 균주로는 E.coli가 167례로서 가장 많았으며 방광요관역류의 유무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합병증으로서는 신결석이 4례에서 관찰되었고 5등급 방광요관역 류 환아 4례에서는 내원당시 말기신부전증의 증세를 보였다. 방광요관역류의 경 중에 따른 신반흔의 빈도는 역류가 없었던 경우 1.2%, 1등급 6.7%, 2등급 27.3%, 3등급 29.4%, 4등급 57.1% 및 5등급 100%로서 총 582개의 신장중49개(8.4%)에서 반흔이 관찰되었으며 역류가 심할수록 이의 빈도가 증가하였다. 연령에 따른 신반흔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 본 연구를 요약하면 역류의 정도가 심할수록 신반흔의 빈도가 높으며 그러므로 소아에서의 요로감염과 방광요관역류의 조기발견 및 적절한 치료는 신손상을 예방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이라 하겠다.

  • PDF

Clinical Features of and Antibiotic Resistance in Recurrent Urinary Tract Infection in Children with Vesicoureteral Reflux

  • Eun, So Hyun;Kang, Ji-Man;Kim, Ji Hong;Kim, Sang Woon;Lee, Yong Seung;Han, Sang Won;Ahn, Jong Gyun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7권1호
    • /
    • pp.35-44
    • /
    • 2020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방광 요관 역류(vesicoureteral reflux) 환아에서 재발성 요로감염의 임상양상을 조사하고, 첫 번째 및 재발성 요로감염 간의 원인균과 항생제 감수성 결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방법: 방관 요관 역류로 진단된 소아 환자 중에서 요로감염이 발생한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첫 번째와 두 번째 요로감염 건에서 같은 균종이 동정된 경우를 1군으로, 다른 균종이 동정된 경우를 2군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2005년 4월부터 2018년 2월까지 총 13년 간의 연구 기간 동안, 총 77명의 방관 요관 역류 환아가 적어도 한 번 이상의 요로감염을 경험하였다. 이중 47명의 환자(61.0%)가 재발성 요로감염소견을 보였다. 재발성 요로감염 환자중에서 1군은 19명(40.4%)이었고, 2군은 28명(59.6%)이었다. Escherichia coli (n=37, 39.4%)는 재발성 요로감염환자의 첫번째 및 두번째 요로감염 건에서 가장 흔하게 분리된 원인균이었고, 그 다음으로는 Klebsiella pneumoniae (n=18, 19.1%), Enterococcus faecalis (n=14, 14.9%), Enterobacter aerogenes (n=7, 7.4%), 및 Pseudomonas aeruginosa (n=4, 4.3%) 순이었다. 비록 통계적 차이는 없었지만, E. coli에 의한 재발 시, 같은 균에 의한 재발 임에도 ceftazidime, piperacillin/tazobactam과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에 대한 항생제 내성의 비율이 첫 번째보다 두 번째 감염에서 증가하였고, E. aerogenes에의한재발에서도 cefotaxime, ceftazidime, piperacillin/tazobactam 및 meropenem에 대한 항생제 내성의 비율이 첫 번째보다 두 번째 감염에서 증가하였다. 결론: 방관 요관 역류 환아의 재발성 요로감염에서 경험적 항생제를 선택할 때, 이전 감염의 병원균 및 항균제 감수성 결과가 재발 시에 항상 동일하지는 않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급성 신부전 환아에서 유치 도뇨관 제거 후 발생한 신 주위 요낭종 1례 (Spontaneous Perinephric Urinoma after the Removal of a Foley Catheter in a Girl with Acute Kidney Injury)

  • 양태환;임형은;유기환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7권2호
    • /
    • pp.127-131
    • /
    • 2013
  • 요낭종이란 신장 및 비뇨기계로부터 누출된 소변이 신장 및 신우 주위에 캡슐상의 낭종을 형성하는 드문 질환으로 자연발생적인 신우의 파열로 인한 누출은 매우 드물며, 대부분 요로와 신우 내강의 압력 증가에 의해 발생한다. 본 증례에서 18세 여자 환아는 내원 7일 전부터 시작된 고열과 핍뇨 및 호흡곤란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아는 출생시 다운 증후군을 진단받았으며 평소 배뇨는 원활하였다. 입원 후 환아는 패혈증 쇼크 및 급성 신손상,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 진단 하에 항생제 및 스테로이드 충격 요법 시행 후 핍뇨, 호흡곤란 및 혈액검사 호전 소견 보였으나 7일 동안 유치된 도뇨관 제거 후 환아는 요 폐색 소견이 관찰되었다. 복부 전산화 단층 촬영상 좌측 신장 주위에 요낭종이 확인되어 좌측 요관에 Double-J catheter가 삽입 되었으며 신우의 파열 부위에 조영제 누출이 확인되었다. 시술 후 요 폐색 소견은 호전되었고, 배뇨성 방광 요도 조영술 상 좌측 신장의 4단계 방광 요관 역류가 관찰되었다. Double-J catheter 제거 3개월 후 좌측 신장 주변의 요낭종은 대부분 소실되었고, 좌측 신장의 방광 요관 역류는 보이지 않았다. 저자들은 급성 신부전 환아에서 유치 도뇨관 제거 후 배뇨곤란 및 요 폐색 소견을 보인 신 주위 요낭종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산전 초음파로 발견된 선천성 신 요로 기형의 발생률과 임상 결과: 단일 기관 연구 (Incidence and outcome of congenital anomalies of the kidney and urinary tract detected by prenatal ultrasonography: a single center study)

  • 임진아;이주훈;박영서;김건석;원혜성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4호
    • /
    • pp.464-470
    • /
    • 2009
  • 목 적 : 산전 초음파로 발견된 선천성 신 요로 기형의 빈도와 임상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89년 10월부터 2007년 10월까지 18년간 산전 초음파에서 발견되어 출생 후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과에서 선천성 신 요로 기형이 진단된 906예를 대상으로 의무 기록과 검사 결과를 조사하였다. 결 과 : 발생 빈도는 수신증, 다낭성 이형성 신, 중복 신장, 방광 요관 역류, 단일 신, 수뇨관 신증, 이소성 신장, 다낭성 신, 요관류, 후부 요도 판막의 순이었다. 수신증은 520예로 57.4%를 차지하였으며 이 중 20%가 수술이 필요하였다. 다낭성 이형성 신은 25.4%에서 다른 동반된 신 요로 기형이 있었다. 중복 신장은 57.9%에서 수술이 필요하였다. 방광 요관 역류는 남아에서 10배 많았다. 상염색체 열성형 다낭성 신의 7예 중 2예가 만성 신부전으로 진행하였다. 후부 요도 판막은 9예(1%)로 빈도가 낮았으며, 그 중 1예가 만성 신부전으로 진행하였다. 결 론 : 산전 초음파로 발견되는 선천성 신 요로 기형은 그 종류가 다양하며 임상 결과는 많은 예에서 양호하여 특별한 처치가 필요 없는 경우도 많으나, 일부에서는 신장 기능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되거나, 반복적인 요로 감염의 원인이 되어 수술이 필요한 경우가 있으며 특히 양쪽 신장에 발생하는 기형은 적절한 처치를 하지 않으면 만성 신부전으로 진행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각각의 기형에 대한 정확한 분포와 임상 결과를 알기 위해서는 장기적으로 다기관 뿐 아니라 전국적인 조사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