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rtical quarry wall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5초

토석채취지의 복구 실태 분석 (Analysis of the Restoration Actual Conditions on the Quarries)

  • 박재현;박종민;이준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28-142
    • /
    • 2010
  • This study examined the actual conditions of quarries. aiming to offer preliminary data to help with restoration efforts of quarries after extracting rock material. The results are as follows. As for the current state of business, a classification of all sites surveyed showed the ratio of ceased operations: ongoing operations: quarries under restoration to be 58:5:37. Classified by the permit area, the ratio of the number of quarries with areas less than $20,000m^2$ (2ha) : between $20,000m^2$ (2ha) and $50,000m^2$ (5ha) : $50,000m^2$ (5ha) or more was 15:60:25. The classification by use of the rocks showed the ratio of construction aggregate (such as civil construction material) : building material : craft material to be 60:28:12. The ratio of quarrying methods of bench cut : slope quarry : vertical quarry wall is 40:18:42. It is indicated that 85% of all quarries surveyed are difficult to reclaim while 15% seem to be easier to restore. Among all surveyed, 34 sites were considered to be extremely difficult to restore. 17 of the 34 sites (50%) were quarry walls almost vertical that have been neglected after extraction. 16 of them (47%) were underground quarries that have left quarry walls deep under the ground. For the remaining 1 site, there doesn't seem to be any need for reclamation as it became totally flat after the extraction.

토석채취지의 복구 실태 분석 II (Analysis of the Restoration Actual Conditions on the Quarries II)

  • 박재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4호
    • /
    • pp.558-566
    • /
    • 2012
  • 이 연구는 채석장의 실태조사를 통하여 토석채취 후 합리적이고도 완벽한 복구를 실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국의 18개 토석채취장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농어촌정비사업에 따른 토석 채취 후 산지복구지는 대부분 조경적 녹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복구공사 후 유지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식재한 나무가 고사하거나 비탈면녹화가 제대로 되지 않아 여름철에는 강우에 의한 표층토양의 유실 및 붕괴로 이어지고, 복구녹화공사를 실시한 비탈면은 황폐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자연친화적이고 완벽한 복구녹화공사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비탈면녹화를 실시하기 전에 현장의 토질특성, 지질특성 등에 대해서 조사하고 그곳에 적합한 복구공법에 대하여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 아울러 계획된 복구공법의 적용에 있어서도 복구비를 절감할 수 있는 공법의 적용이 필요하다. 조사 결과 토석채취지의 경우 토질이 토사질 또는 리핑암, 풍화토가 대부분으로 이러한 지역은 복구녹화가 완벽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이 되므로 여기에 적용하는 공법도 가능하면 간단하면서도 복구녹화가 충분히 될 수 있는 공법의 선정이 중요하다. 아울러 복구녹화계획 및 검토시에는 반드시 산지복구를 전공으로 하는 전문가의 의견을 청취함으로써 그 지역에 가장 적합한 복구녹화공법의 선정 및 완벽한 복구녹화가 가능하게 될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 토석사업장의 토석채취 및 복구특성 분석 (Analysis of Quarrying and Restoration Characteristics on Quarry in Korea)

  • 박재현;김기대;강민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5권2호
    • /
    • pp.223-230
    • /
    • 2016
  • 국내 토석사업장 55개소의 채취 및 복구유형과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토석사업장 인근 산림 현황으로는 혼효림, 평균 표고 300 m 이하, 평균경사도 $11{\sim}20^{\circ}$, 산복부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화강암을 기반으로한 지역과 산사태위험 1등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토석사업장의 허가기간으로는 6~10년, 허가면적 10 ha 이하, 채취량 100만 이하의 사업장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쇄골재용 석재를 채취하는 사업장, 계단식 채석을 시행하는 사업장, 잔벽 경사로는 $61^{\circ}$ 이상인 사업장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복구시 자력으로 복구한 사업장과 복구유형 중 비탈면 녹화형으로 복구한 사업장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복구지의 평탄지와 잔벽, 소단 면적이 각각 54.9:39.6:5.5의 비율로 나타났다. 토석사업장 복구면적과 각 인자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채취량(유의성 1%), 허가면적, 잔벽 폭, 잔벽 높이(유의성 5%)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