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rbal cue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17초

테이핑 적용 후 구두지시 복부 드로우-인 교각운동이 몸통과 다리의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apping on the Trunk and Lower Limb Muscle Activities during Abdominal Drawing-in Bridging Exercises with Verbal Command)

  • 이정현;김성열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65-172
    • /
    • 2021
  • Purpos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n the activity of trunk and lower limbs muscles during abdominal drawing-in bridging exercises by verbal cue on the unstable supporting surface after pelvic rearward sloping taping for trunk stabilization movement. Methods : The study subjects were recruited by using the on-campus bulletin boards for healthy adult males and females in their 20s attending K University in Changwon-city, South Gyeongsang Province. The subjects were 30 persons (15 males and 15 females) who agreed to the study purpose in accordance with the criteria for selection and exclusion. Results : The results were obtained by measuring the muscle activity of the trunk and lower limbs during abdominal drawing-in bridging exercises by verbal cue on the unstable supporting surface after pelvic fixed tapping. The effects on erector spinae and hamstring muscl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p<.05),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ultifidus and gluteus maximus muscle (p>.05). Conclusion :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excessive flexion of the waist was significantly reduced from erector spinalis and hamstring muscle after abdominal drawing-in bridging exercises by verbal cue on the unstable supporting surface after pelvic rearward sloping tapping compared to the general bridging exercises.

파킨슨병 환자 보행에서 눈 높이 위수준의 시작 목표에 대한 두 걸음 구두 암시의 효과 (The Effect of Using a Two Step Verbal Cue to a Visual Target above Eye Level on the Parkinsonian Gait)

  • 김종만;안덕현;최운성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92-97
    • /
    • 1994
  • It is well known that visual cues can improve the motor performance of Parkinsonian patients. Previous laboratory studies have examined the effects of visual cueing to the floor. This case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using a visual cue above eye level on the gait of a Parkinsonian man. It was found that cueing the patient to a target above eye level while waking not only improved the kinematic parameters of the gait cycle but also facilitated a more functional gait pattern with re-intergration of arm swing, rhythm, heel strike and a more erect posture. Visual targeting above eye level may serve as an important clinical tool for physiotherapists treating Parkinsonian patients.

  • PDF

Beyond Visual Realism -Understanding the Role of Verbal Cues in Generating Consumer Affinity vs. Fear toward Virtual Influencers in Social Network Advertising-

  • Jee weon Wee;Namhee Yoon;Yoon-Jung Lee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1194-1210
    • /
    • 2024
  • Verbal cues of virtual influencers (VIs) can enhance VI anthropomorphism and persuasion effectiveness, which can increase user interactions via positive emotional arousal.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verbal cues in VI social network advertising (SNA) on consumer emotions and engagement. This study employed a mixed-method approach, utilizing text mining (word frequency analysis and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topic modeling) and quantitative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user comments from YouTube videos featuring the VI, Lil Miquela. The findings revealed that consumers exhibit various emotions toward VIs, with fear being the most prominent, followed by amazement and affinity. Regression analyses further indicated the role of VI's verbal cues (e.g., voiceover) in enhancing consumers' emotional engagement with the VI, thereby improving VI SNA performance (e.g., view counts). When VIs use voiceover, positive emotions, including amazement and affinity, increase, leading to higher view counts. Conversely, the absence of verbal cues amplifies negative emotions such as fear, reducing view counts and the overall SNA effectiveness. This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incorporating human-like verbal cues in VIs to foster consumer affinity and mitigate fear about the VIs. Additionally, practical implications for marketers include the strategies to leverage verbal elements to design more relatable and engaging VI SNA content.

파킨슨병 환자의 Handwriting 기능 향상을 위한 운동학습 전략에 대한 문헌 고찰 (A Review of the motor learning stratige to improve handwriting function in Parkinson's disease)

  • 유연환;박진혁;이주현
    • 재활치료과학
    • /
    • 제4권1호
    • /
    • pp.29-38
    • /
    • 2015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파킨슨병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handwriting에서의 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운동학습 전략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방법 : 이를 위하여 파킨슨병 환자에게 발생하는 handwriting에서의 문제점인 소자증(Micrographia)을 치료한 국내 외 문헌들을 고찰하였다. 결과 : 소자증을 개선하기 위해 파킨슨병 환자에 적용하는 운동학습 방법 중 외적단서와 되먹임 전략을 주로 적용한다. 이는 기저핵 손상으로 인한 내적 동기체계의 문제와 운동 개시의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함이다. 외적단서는 시각적 청각적 언어적 단서 등을 이용하였고, 되먹임은 주로 시각적 자극을 이용하였다. 외적단서와 시각적 되먹임을 제시하는 동안 소자증을 가진 환자의 글자의 크기를 확대시키는 효과가 있었고, 일부 연구에서는 단서 제거 후 짧은 기간 동안 쓰기과제 수행이 유지되는 결과를 보고하였다. 결론 : 앞으로 운동학습의 효과가 장기간 유지되는 전략을 도출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주의 단서 수준에 따른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공동주의집중 반응 연구 (Differential Response to Joint Attention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Depending on the Level of Attentional Cues)

  • 유가을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1권1호
    • /
    • pp.21-37
    • /
    • 2014
  •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은 초기 사회-의사소통 기술 중 하나인 공동주의집중에 있어 심각한 장애를 보인다. 이로 인해 언어 및 인지, 사회성 발달에도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공동주의집중을 평가하거나 향상시키고자 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적 단서를 포함해 주의를 유도하는 단서 수준에 따라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공동주의집중에 반응하기(Responding to joint attention: RJA) 행동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보고자 하였다. 평균 연령이 65.3개월인 총 9명의 아동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1회로 진행된 평가 세션 동안에는 주의를 유도하는 총 8개의 단서가 사용되었다.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량에 따라 네 가지 수준의 단서가 구성되었고, 각각의 단서는 언어적 및 음악적으로 제시되었다. 자폐 아동들은 음악적 단서가 제시되었을 때, 언어적 단서가 제시된 시도에 비해 이전 표적 자극에서 주의를 철회해 새로운 자극으로 전환시키는 시도가 증가하고, 공동주의집중에 반응하기 행동의 정확도 또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서 유형에 따른 비교에 있어서는, 아동의 이름을 부른 후 주의를 유도하는 단서가 손가락으로 가리키기와 함께 음악적으로 제시되었을 때 주의 전환 시도 및 공동주의집중 행동의 정확도가 가장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음악적 요소가 포함된 주의 단서가 주의 전환을 효과적으로 유도하고, 전달되는 정보의 정확한 처리를 촉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이는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공동주의집중을 목표로 하는 조기 중재 시 음악의 효과적인 사용에 대한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사료된다.

음악적 단서 및 후속 자극에 따른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공동주의 반응 행동 비교 (Analysis of Joint Attention Behaviors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Depending on the Type of Attentional Cue and Reinforcing Stimulus)

  • 김온유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21권1호
    • /
    • pp.69-87
    • /
    • 2024
  •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이하 ASD) 아동을 대상으로 음악적 단서 및 후속 자극에 따른 공동주의 반응 행동이 달라지는지 알아보고, 비장애(neurotypically developing, 이하 NT) 아동 그룹과 비교하는 실험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만 3세에서 5세 사이의 ASD 아동 13명과 NT 아동 14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의 반응을 유도하는 단서(음악적 단서 대 언어적 단서)와 아동의 공동주의 반응 행동에 대한 후속 자극(언어 자극 대소리 자극 대 음악 자극)을 구성하고 총 6가지 과제 조건을 2회씩 총 12회 제시하였다. 먼저, 주의 유도 단서를 제공하고 3초 이내 대상자의 주의 전환을 평가하였고 대상자의 공동주의 반응 행동이 나타난 경우, 후속 자극을 제공하였으며 후속 자극을 제공하는 동안 대상자의 사회적 참조 행동의 발생 빈도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주의 유도 단계에서는 음악적 단서를 제공했을 때 ASD 아동의 공동주의 반응 행동 수준을 높게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나 선행연구와 일치한 결과를 보였다. 이어 후속 자극 제공 단계에서는 음악 후속 자극이 ASD 아동의 사회적 참조 행동의 빈도를 증가시킨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음악 후속 자극이 단서로서의 감각자극에서 나아가 대상자로 하여금 타인의 사회적, 정서적 정보를 이해하고 반응하도록 유도하는데 그 적용 범위가 확장된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ASD 아동의 공동주의 행동 이후 제공하는 후속 음악 자극이 효과적인 사회적 강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텔레비전 뉴스의 영상의제설정 효과 -환경뉴스를 중심으로- (Visual Agenda-Setting Effect of Television News -Mainly on Environmental News-)

  • 박덕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72-82
    • /
    • 2011
  • 본 논문은 '환경관련 텔레비전 뉴스에서 영상과 자막이 수용자의 의제설정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텔레비전 수용자의 환경관여도에 따라 영상과 자막이 수용자의 환경 중요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 의제설정효과와 정교화 가능성 모델(ELM)을 이론적 배경으로 살펴본 실험연구이다. 연구결과 환경이슈에 노출된 수용자는 노출빈도가 높을수록 환경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며, 그 과정에서 텔레비전의 시각적 요소인 영상과 자막이 수용자들의 환경인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영상과 자막이 환경이슈에 관심이 많은 수용자보다 관심이 적은 수용자들에게 통합적 주변단서로써, 환경 인식에 더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영상과 자막이 개별적인 주변단서로써 관여도가 낮은 수용자들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치는 현상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지지되지 못했다. 그동안 텔레비전 뉴스의 수용자 효과 연구들은 대부분 언어텍스트를 중심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시각적 요소가 수용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극히 제한적으로 이루어져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미국에서 확산되고 있는 '영상의제설정'이라는 새로운 연구분야의 초기 실험연구로써, 미디어 효과 연구 영역에서 중요한 함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Effects of Verbal Cue for Scapular Depression During Scapular Posterior Tilt Exercise on Scapular Muscle Activities and Clavicular Tilt Angle in Subjects With Rounded Shoulder Posture and Upper Trapezius Myofascial Pain

  • Choi, Sil-ah;Cynn, Heon-seock;Shin, A-reum;Kim, Da-eun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0-39
    • /
    • 2017
  • Background: Scapular posterior tilt (SPT) is important in the prevention of abnormal scapular movement and pain during elevation of the arm.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overlooked increased upper trapezius (UT) muscle activity interrupting the normal force couple of scapular motion and compensation of levator scapulae (LS) muscle activated simultaneously with UT during SPT exercise. O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modified SPT with depression exercise versus SPT exercise on serratus anterior (SA), lower trapezius (LT), UT, and LS muscle activities and the clavicular tilt angle, in subjects with rounded shoulder posture (RSP) and myofascial pain in the UT muscle region. Methods: Eighteen subjects with RSP were recruited and randomly allocated to 2 groups; 9 in the SPT group and 9 in the SPT with depression group. All subjects met the specific RSP criteria and had myofascial pain of UT region. Depending on the allocated group, subjects performed the assigned SPT exercise and EMG data were recorded during the each exercise. Clavicular tilt angle was defined as the angle between the line joining the medial and lateral end of the clavicle and a horizontal line. Results: The SA muscle activity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SPT with depression than with SPT exercise (p<.05). The UT, LS muscle activity and the clavicular tilt angle was significantly lower in SPT with depression than with SPT exercise (p<.05). Conclusion: These findings were insightful because the potential risk of pain from overactivation of the UT and LS was considered, in contrast with SPT exercise. SPT with depression exercise can be implemented as an effective method to facilitate scapular muscle activity for stability and to prevent myofascial pain in the neck and shoulder.

보폭 비대칭을 보이는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를 위한 체중이동 훈련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Weight Shifting Training System using Biofeedback for Post-stroke Hemiplegic Patients with Step Length Asymmetry)

  • 김세은;김덕용;김정훈;최종현;주소영;강나경;백윤수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50-458
    • /
    • 201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erify gait training system for post-stroke hemiplegia patients with step length asymmetry. Most post-stroke hemiplegic patients show gait asymmetry and weight shifting training has been suggested as a useful method for improving the walking ability. However, verbal cue by physical therapist may be not effective. Therefore, our weight shift training system was designed to give a feedback to patients through precise plantar pressure and center of pressure (COP) measurement. This weight shifting biofeedback training system is composed of F-Scan plantar pressure measurement system and software development kit (SDK) for Windows operating system. Two post-stroke patients with step length asymmetry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fter training for six weeks, the weight shift score and step length ratio of two all patients were improved and approached to them of non-disabled. This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may improve the step length asymmetry, and therefore this system is also expected to improve a walking ability in hemiplegic patients.

Compliance with Smoke-Free Policies in Korean Bars and Restaurants in California: a Descriptive Analysis

  • Irvin, Veronica L.;Hofstetter, C. Richard;Nichols, Jeanne F.;Chambers, Christina D.;Usita, Paula M.;Norman, Gregory J.;Kang, Sunny;Hovell, Melbourne F.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3호
    • /
    • pp.1083-1089
    • /
    • 2015
  • Background: Compliance with California's smoke-free restaurant and bar policies may be more a function of social contingencies and less a function of legal contingencie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1) to report indications of compliance with smoke-free legislation in Korean bars and restaurants in California; 2) to examine the demographic, smoking status, and acculturation factors of who smoked indoors; and 3) to report social cues in opposition to smoking among a sample of Koreans in California. Materials and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y telephone surveys administered by bilingual interviewers between 2007-2009, and included California adults of Korean descent who visited a Korean bar or restaurant in a typical month (N=2,173, 55% female). Results: 1% of restaurant-going participants smoked inside while 7% observed someone else smoke inside a Korean restaurant. Some 23% of bar-going participants smoked inside and 65% observed someone else smoke inside a Korean bar. Presence of ashtrays was related to indoor smoking in bars and restaurants. Among participants who observed smoking, a higher percentage observed someone ask a smoker to stop (17.6%) or gesture to a smoker (27.0%) inside Korean restaurants (N=169) than inside Korean bars (n=141, 17.0% observed verbal cue and 22.7% observed gesture). Participants who smoked inside were significantly younger and more acculturated than participants who did not. Less acculturated participants were significantly more to likely to be told to stop smoking. Conclusions: Ten years after implementation of ordinances, smoking appears to be common in Korean bars in Califor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