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locity Coefficient

검색결과 1,747건 처리시간 0.028초

공간자기상관법 (SPAC)의 안정성과 선형 배열법과 자료 품질 지시자로 활용되는 SPAC 계수의 허수 성분에 대한 실험 (Experiments on the stability of the spatial autocorrelation method (SPAC) and linear array methods and on the imaginary part of the SPAC coefficients as an indicator of data quality)

  • Margaryan, Sos;Yokoi, Toshiaki;Hayashi, Koichi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2권1호
    • /
    • pp.121-131
    • /
    • 2009
  • 최근 상시 진동 탐사법은 횡파 속도 구조의 규명을 위하며 이용되고 있다 상시 진동 탐사법 중 공간자기상관(SPAC)법은 적어도 3 혹은 4개의 수신기에서 동시에 기록된 자료를 이용한다. 2sSPAC과 선형 배열 상시 진동법과 같은 수정된 SPAC법은 2개의 수신기 자료만 이용하여 횡파 속도를 추정할 수 있지만, 1.0 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공간 자기상판 계수가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4개의 서로 다른 크기의 삼각형 배열과 4개의 같은 크기의 삼각형 및 선형 배열을 이용한 상시 진동 측정치에 근거하여, 2 Hz 에서 4 Hz 혹은 5 Hz주파수 대역에 대한 SPAC 계수의 안정성을 증명하였다. SPAC 계수를 Bessel 함수로 회귀하는 방식으로 획득되는 위상속도는 5 Hz까지 일관성을 보여주었다. 공간평균법을 이용한 선형배열의 경우를 제외하고, 모든 자료는 SPAC법으로 처리되었다. 평행탄성파법 자료가 있는 시추공 주변에서 상시 진동 배열을 순차적으로 다른 시간에 적용하였다. 자료의 품질을 나타내는 지시자로 SPAC 계수의 허수 성분을 이용하였다. 자기상관 스펙트럼의 변화량 (어떠한 경우에는 기록된 파동장에 대한 육안 검사)에 근거하여, 측정된 자료를 '신뢰성있는(reliable)'과 '신뢰성이 없는(unreliable)'로 구분하였다. 그 후, 'reliable'과 'unreliable'로 구분된 자료와 모든 자료에 대하여 SPAC 스펙트럼의 허수 성분을 계산하고 비교하였다. 측점의 방위각 분포가 불충분한 경우 (선형 배열), 허수 성분 곡선은 불안정한 형태를 나타내었고, 이러한 결과는 불충분한 공간평균의 지시자로 간주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측정된 파동장이 낮은 일관성을 나타낼 경우에도 허수성분 곡선은 주목할 만한 불안정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지진시 비탈면의 영구변위 발생에 따른 응답특성 분석 (Analysis of Respons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Permanent Displacement in Seismic Slope)

  • 안재광;박상기;김우석;손수원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5권12호
    • /
    • pp.135-145
    • /
    • 2019
  • 비탈면 붕괴는 크게 내적요인과 외적요인으로 분류할 수 있다. 내적요인은 토층 깊이, 사면경사, 흙의 전단강도 등의 기존에 비탈면의 형성과 함께 내재 되어있는 공학적 요인이며, 외적요인은 지진과 같은 하중이다. 이때 최대가속도(PGA), 최대속도(PGV), Arias계수(I), 고유주기(Tp), 스펙트럼 가속도(SaT=1.0) 등은 지진의 외적요인으로 대변되는 값이다. 특히, 최대지반가속도(peak ground acceleration, PGA)는 지진의 지반 운동 크기를 정의하는 가장 대표적인 값이지만 동일한 최대 지반가속도 값을 가지는 진동이라도 지진의 지속시간에 따라 달라지는 사면에서의 변위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사면을 대상으로 2차원 평면변형률 조건의 수치해석을 수행하였으며, 다양한 지진 시나리오의 PGA를 0.2g로 스케일링하여 적용했을 때 비탈면에서 발생하는 응답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비탈면의 상층부와 하층부의 응답은 활동면 발생 여부에 따라 차이를 보이며, 입력 지진파의 외적요인 보다는 소성변형을 유발시킨 진동 특성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함침계 표면보호제에 의한 콘크리트 표면의 세공구조 변화 및 내구성 향상 (Improvement of Durability and Change of Pore Structure for Concrete Surface by the Penetrative Surface Protection Agent)

  • 강석표;김정환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125-132
    • /
    • 2006
  • 최근 들어 툭별한 물리적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내구성능이 저하된 콘크리트의 성능을 회복시키는 방법의 일환으로서 콘크리트 표면보호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표면보호는 직접적인 의미로서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을 보호하는 것뿐만아니라 다양한 열화요인의 침투를 억제함으로서 내부의 콘크리트 및 철근의 열화를 억제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호하게 된다. 이와 같은 표면보호재 중 함침계 표면보호재는 콘크리트 표면층의 공극에 충전 혹은 생성물을 석출시켜 치밀한 층으로 하느 충전계와 콘크리트 표면층의 외부 및 내부표면의 성질을 개선하는 표면계로 분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규플르오르화염을 주성분으로 하는 표면형 함침계 표면보호제 도포에 의한 콘크리트 표면의 세공구조의 변화 및 중성화, 염해, 화학적 침식 등의 내구성 향상을 실험실증적으로 검토함으로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향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 결과, 표면보호제를 도포함으로서 모든 물시멘트비에서 도포전과 비교하여 전세공용적이 감소하고 있으며, 특히 50nm이상의 비교적 큰 세공경인 모세관공극의 용적이 감소함으로서 물흡수성, 중성화 저항성, 내황산성, 염소이온침투 저항성 등의 내구성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효과는 물시멘트비가 클수록 높게 나타났다.

한국인 여학생 상악 치조골의 성장 양상 분석 (AN ANALYSIS OF THE GROWTH PATTERN OF MAXILLARY ALVEOLAR BONE OF THE KOREAN GIRLS)

  • 박수진;이승표;이유미;김정욱;김종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61-169
    • /
    • 2011
  • 상악 치조골은 상악골의 일부로 치근을 감싸고 지자하는 역할을 하며 치아의 결손 시 지지구조물로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지금까지 치조골의 성장에 관한 연구는 교정적 치료의 관점에서 이루어져 영구치 결손을 위한 치료법을 위한 자료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장기에 있는 한국인 여학생들의 측모두부규격방사선사진들을 연도 별로 수집하여 상악 치조골의 성장 양상을 분석하였다. 한국인 여학생들의 만 8세에서 만 14세까지 2년 간격으로 측모두부규격방사선 사진, 키, 역연령을 수집하였다. 여섯 항목을 계측하여 각 항목의 평균 최소값 및 최대값을 구하고 각 예측 항목과 역연령, 키 사이의 상관관계 및 동일 항목에서 나이 군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성장량 예측을 위한 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상악 치조골은 14세까지 계속 성장하였으나 성장속도는 점차 감소하여 키의 성장 양상과 차이를 보였다. 역연령 및 키와 치조골 높이 사이의 상관 계수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역연령 군 사이의 상관계수는 매우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역연령을 기초로 하는 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여 14세 때의 치조골 높이 예측 공식을 작성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소아 상악 치조골의 성장 양상 이해와 성장량을 예측을 가능하게 하여 임플란트 시술과 같은 적극적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rying Characteristics of Sea Tangle Using Combination of Microwave and Far-Infrared Dryer

  • Han, Chung-Su;Kang, Tae-Hwan;Lee, Jeong-Hyeon;Won, Jin-Ho;Cho, Byeong-Hyo;Cho, Sung-Chan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41권1호
    • /
    • pp.43-50
    • /
    • 2016
  • Purpose: The present study is aimed at examining the drying characteristics of sea tangle through a combination of microwave and far-infrared drying experiment and finding the optimal drying conditions. Methods: Sea tangle was cleaned and cut into fine pieces (5mm) before they were subjected to combinational drying by microwave and far-infrared ray. The amount of specimen per drying is 2 kg. The finely cut pieces of sea tangle were preheated in a microwave dryer for three different lengths of time (10, 15, and 20 min). Subsequently, they were dried using a far-infrared dryer at tow temperatures ($90^{\circ}C$ and $100^{\circ}C$) at an air velocity of 0.8 m/s until the final moisture content reduced to 10%. Results: Sea tangle dried under the condition of 20 min of preheating in the microwave dryer and drying at $100^{\circ}C$ by the far-infrared dryer. Of the drying models verified in this study, the logarithmic model showed high accuracy with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0.7825$ and RMSE<0.1095. The rehydration ratio of sea tangle was the highest (12.87 g water/g dry matter) under the condition of 15 min of preheating in the microwave dryer and drying at $100^{\circ}C$ by the far-infrared dryer. The energy consumption for the combination of microwave and far-infrared drying was the lowest (4.78 kJ/kg water) under the condition of 20 min of preheating in the microwave dryer and drying at $100^{\circ}C$ by the far-infrared dryer. Conclusions: Considering the drying time, discoloration during drying, rehydration ratio, and energy consumption for the drying of sea tangle, the optimal drying conditions for high-quality sea tangle are 15 min of preheating in a microwave dryer and drying at $100^{\circ}C$ by a far-infrared dryer.

향판용(響板用) 관행수종(慣行樹種)과 대체가능수종(代替可能樹種)의 자유진동적(自由振動的) 성질(性質)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Free Vibrational Properties of Traditional and Replaceable Species for Sounding Board)

  • 강욱;정희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6권3호
    • /
    • pp.48-64
    • /
    • 198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ree vibrational properties of traditional and replaceable species for sounding board, using piezoelectrical accelerometer and signal analyzer. In the study, the frequency equations of free-free beam carrying a concentrated mass in the transverse vibration and of free-mass beam in the longitudinal vibration were use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Average values of dynamic modulus of rigidity of Korean commercial species measured were as follows. Paulownia tomatosa (Thunb.) Steudel: $5.590\times10^9\;dyne/cm^2$ Tilia amurensis Rupr.: $5.414\times10^9\;dyne/cm^2$ Macckia amurensis Rupr.: $10.044\times10^9\;dyne/cm^2$ Fraxinus mandshurica Rupr.: $8.876\times10^9\;dyne/cm^2$ Ulmus davidiana var.japonica Nakai: $8.677\times10^9\;dyne/cm^2$ Pinus rigida Miller: $6.33\times10^9\;dyne/cm^2$ Fraxinus rhynchophylla Hance: $4.666\times10^9\;dyne/cm^2$ 2. The ratio of dynamic transverse Young's modulus to dynamic modulus of rigidity, $E_T/G_{LT}$, was 24.922 for Fraxinus rhynchophylla Hance, which was the highest, 7.317 for Paulownia tomentosa (Thunb.) Steudel, which was the lowest among Korean commercial species measured. 3. The value of longitudinal dynamic Young's modulus was about 3.7% and 19.8%, respectively, higher than those of transverse dynamic and static Young's modulus. The value of transverse dynamic Young's modulus was about 15.5% higher than that of static Young's modulus. 4. Predicted value of MOR in terms of correlation coefficient by transverse dynamic Young's modulus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static Young's modulus, but no significance was found out. 5. Transverse dynamic Youne's modulus was $(2.002\pm0.288)\times10^{11}\;dyne/cm^2$ for Fraxinus mandshurlca Rupr., which was the highest, $(0.601\pm0.100)\times10^{11}\;dyne/cm^2$ for Paulownia tomentosa (Thunb.) Steudel, which was the lowest among Korean commercial species measured. The sound velocity of sitka spruce was 5,685 m/sec, which was the highest. 6. Internal friction of Paulownia tomentosa (Thunb.) Steudel was shown the lowest value among Korean commercial species, $(8.795\pm1.795)\times10^{-3}$, but was higher than that of sitka spruce, $(7.331\pm0.991)\times10^{-3}$. Internal friction was shown negative correlation with density and dynamic Young's modulus, respectively. 7. K value was affected largely by internal friction and was the highest, $2.225\times10^8$ for Paulownia tomentosa (Thunb.) Steudel and was the lowest, $0.550\times10^8$ for Fraxinus rhynchophylla Hance. K value of Paulownia tomentosa (Thunb.) Steudel was higher than that of sitka spruce and K values of melapi and cottonwood, which have been considered to be replaceable species with sitka spruce in the piano industry, were lower than those of Paulownia tomentosa (Thunb.) Steudel and mill amurensis Rupr.

  • PDF

남인도양의 해수면 변화 특성 (Characteristics on sea level variations in the South Indian Ocean)

  • 윤홍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5권6호
    • /
    • pp.1094-1103
    • /
    • 2001
  • 남인도양의 암스테르담- 크호제트- 케르겔른 지역에서의 Topex/Poseidon의 고도계 자료와 Tide Gauge의 해면계 자료를 상호 비교 및 검정하였다. 8개 주요 조석성분들의 진폭의 변통성과 관련하여 해양조석모델의 결과와 조화분해해석의 결과간의 미소한 차이는 궁극적으로 수온, 밀도 및 바람보다는 주로 남극순환해류의 흐름에 영향을 받다. 두 자료간의 상관관계(correlation coefficient)와 편차(rms)를 보면, 암스테르담 대지지역에서는 c=-0.12 및 rms=11.40cm, 크호제트 대지지역에서는 c=0.05 및 rms=5.38cm, 케르겔른 대지지역에서는 c=0.83 및 rms=2.83cm로 그리고 케르겔른 해안지역에서는 c=0.24 및 rms=6.72cm로 각각 나타났다. 이 중 케르겔른 대지지역이의 높은 상관성은 해안지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정도 높은 고도계의 자료를 획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케르겔른 해안지역과 케르겔른 대지지역의 해수면의 변화의 특성은 2일 상의 장주기에 대해서는 상호 높은 상관성과 함께 유사한 해수면의 변화를 가진다. 케르겔른 대지지역 내에서는 유속이 -3.9~-4.2cm/sec이고 주기가 167days 그리고 진폭이 10cm인 바로크리닉 로쓰비파가 서쪽으로 전파한다.

  • PDF

순환잔골재 및 플라이애쉬 혼입률에 따른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염소이온 투과 및 중성화 저항성 평가 (Fundamental Performance Evaluation of Recycled Aggregate Concrete with Varying Amount of Fly Ash and Recycled Fine Aggregate)

  • 심종성;박철우;문일환;이희철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793-801
    • /
    • 2005
  • 본 연구는 100%의 순환굵은골재의 사용과 순환잔골재의 혼입률에 따른 콘크리트의 기본적인 물성 변화를 고찰하였으며 장기강도 증가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플라이애쉬를 시멘트 대체재로 사용한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강도 및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과 중성화 저항성의 내구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순환골재의 고부가가치 자원화로서의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안의 일환으로 프리캐스트 구조체로의 적용을 증기양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순환굵은골재를 100%사용할 경우, 순환잔골재의 혼입률은 60%이하로 사용하는 것이 강도의 측면에서 유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뽀일 강도를 비교한 결과 증기양생이 순환골재 콘크리트에도 무리 없이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염소이온 투과 저항성은 플라이애쉬의 양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재령 21일에서는 낮음 그리고 56일에서는 매우 낮음으로 판명되었다. 촉진중성화에 따른 후 중성화 깊이 및 중성화 속도계수는 플라이애쉬의 양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측정된 깊이는 약 10mm 이하로서 우려할 만한 정도는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정상상태(定常狀態)에 있어서 목재(木材)의 습기전달(濕氣傳達)과 투습속도(透濕速度) (Moisture Transfer and Velocity of Moisture Transmission by Wood in Steady State)

  • 이원희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0권
    • /
    • pp.41-47
    • /
    • 1992
  • 목재투습성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가 밝혀졌다. 1) 시편두께 0mm에 외삽한 투습저항값이 정(正)이므로 목재표면에서의 수분전달현상을 고려함이 인정되었다. 2) 목재내부의 함수율분포는 함수율 9%를 경계로 두 개의 직선으로 나타났다. 또 시편양측의 공기중 평형함수율이 9%이상일 때는 한 개의 직선으로 나타났다. 수분확산계수는 함수율 9%를 경계로 두 개의 일정한 값을 가지며, 이 값들은 오직 함수율에만 관계한다. 4) 수분이동량은 목재내의 함수율구배에 의존한다. 4) 목재의 수분전달계수는 시편두께에 의존하였다. 이 현상의 기구에 대해서는 아직 알 수 없다.

  • PDF

Polyethylene Glycol을 이용한 Cross-Flow Ultrafiltration에 있어서 운전조건의 영향 (The Effect of Operating Conditions on Cross-Flow Ultrafiltration with using Polyethylene Glycol)

  • 유근우;서형준
    • 공업화학
    • /
    • 제9권7호
    • /
    • pp.950-955
    • /
    • 1998
  • 본 연구는 두 종류의 Polyethlene Glycol(PEG, Mw; 8000, 20000)을 cross-flow로 한외여과(막; 분획분자량 6000, 20000)함에 있어서 시간, 운전압력, 유입농도, 그리고 순환유량의 변화에 따라 투과유속과 제거율의 관계를 조사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실험진행에 있어서 운전압력은 7, 14, 28 psi의 3단계로, 순환유량은 1000 mL/min와 2000 mL/min 두 가지로, 그리고 유입농도도 100 mg/L과 1000 mg/L의 두가지로 하여 실행하였다. 투과유속은 PEG의 분자량과 농도가 작을수록 압력증가와 함께 증가하였으며, 겉보기제거율($R_o$)은 PEG의 분자량과 농도가 클수록 증가하였다. 그러나 압력이 증가되었을 때 $R_o$는 감소하였다. 일정한 압력하에서 PEG수용액의 투과유속과 $R_o$는 시간변화(8 h)에 관계없이 일정하였다. 순환유량의 변화에 있어서 투과유속에는 거의 영향이 없었으나, $R_o$는 순환유량이 큰 경우가 높게 나타났으며, 두 순환유량의 경우 모두 압력증가와 함께 $R_o$는 감소하였다. 한편, 투과유속과 조작압력의 거동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된 투과도비($\alpha$)는 조작압력과 순환유량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였으며, 모든 경우에서 1보다 작게 나타났기 때문에 농도분극현상을 분석할 수 있었다. 그리고 물질전달계수로부터 얻은 진제거율(R)은 압력증가와 함께 감소하였으며, 선유속과 PEG의 분자량이 클수록 높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