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hicular Ad-hoc Networks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4초

Topology-Based Flow-Oriented Adaptive Network Coding-Aware Routing Scheme for VANETs

  • Iqbal, Muhammad Azhar;Dai, Bin;Islam, Muhammad Arshad;Aleem, Muhammad;Vo, Nguyen-So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2권5호
    • /
    • pp.2044-2062
    • /
    • 2018
  • Information theory progression along with the advancements being made in the field of Vehicular Ad hoc NETworks (VANETs) supports the use of coding-aware opportunistic routing for efficient data forwarding. In this work, we propose and investigate an adaptive coding-aware routing scheme in a specific VANET scenario known as a vehicular platoon. Availability of coding opportunities may vary with time and therefore, the accurate identification of available coding opportunities at a specific time is a quite challenging task in the highly dynamic scenario of VANETs. In the proposed approach, while estimating the topology of the network at any time instance, a forwarding vehicle contemplates the composition of multiple unicast data flows to encode the correct data packets that can be decoded successfully at destinations. The results obtained by using OMNeT++ simulator reveal that higher throughput can be achieved with minimum possible packet transmissions through the proposed adaptive coding-aware routing approach. In addition, the proposed adaptive scheme outperforms static transmissions of the encoded packets in terms of coding gain, transmission percentage, and encoded packet transmission.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e use of coding-aware opportunistic routing has not been exploited extensively in available literature with reference to its implications in VANETs.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효과적인 상황 인지를 위한 이중 비콘 전송 기법 (A Dual Beaconing Scheme for Effective Context Awareness in Vehicular Ad Hoc Networks)

  • 주지훈;이희창;김정준;한동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B권2호
    • /
    • pp.114-122
    • /
    • 2014
  •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비콘 전송은 가장 기본적인 메커니즘 중 하나이다. 차량 통신 시스템에서는 각 노드들의 비콘 교환을 통하여 주변 상황 인지를 비롯한 다양한 통신 서비스가 구현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단일 비콘 전송 방식에서 벗어난 이중 비콘 전송 방식을 제안한다. 이중 비콘 전송 방식은 일반적으로 통신 시스템에서 고려되는 비콘을 차량 통신 시스템에 특화시켜 안전 서비스를 위한 비콘과 편의 서비스를 위한 비콘 두 가지 기능으로 나누어 각 기능에 따라 통신 파라미터를 분산시켜 적용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비콘 메커니즘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가장 대표적인 성능 지표인 거리에 따른 비콘 패킷 수신율을 실험, 제안하는 이중 비콘 전송 방식의 우수함을 검증하였다. 결론적으로 이중 비콘 전송 방식은 단일 비콘 전송 방식에 비하여 채널에 부하를 줄임과 동시에 더욱 넓은 통신 반경과 원활한 상황 인지 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 덧붙여, 제안하는 이중 비콘 전송 방식은 실제로 구현함에 있어서 복잡성이 적고, 다른 적응형 비콘 전송 방식을 함께 적용 가능하기 때문에 효용성이 뛰어나다.

Contention-Based Forwarding의 신뢰성 향상 방안 (Reliable Contention-Based Forwarding Approach)

  • 성윤영;조선미;이미정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권8B호
    • /
    • pp.695-705
    • /
    • 2012
  • 무선 단말과 자동차 산업의 발전으로 도로 위의 차량들이 데이터 전달의 주체가 되는 차량 애드 혹 네트워크(Vehicular Ad hoc Networks, VANET)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차량에 의해 전달되는 데이터는 승객/운전자의 안전 및 교통 혼잡에 영향을 주는 긴급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빠르고 신뢰성 있게 전달되어야 하고, 이를 위한 라우팅 프로토콜은 VANET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전달에 참여하는 차량의 이동 방향이 성능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신호등이 있는 도로에서 빠르고 신뢰성 있게 메시지를 전파하기 위해 CBF(Contention-Based Forwarding)를 확장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안은 신호등이 있는 도로에서 메시지 전파의 신뢰성을 높이면서도 전달 차량 간의 위치 관계 변화에 의한 라우팅 루프와 메시지 전달이 중단되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안하는 방안을 적용한 CBF(R-CBF)와 기존 연구 중 메시지 전달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되 메시지 전파 방향과 반대로 이동하는 차량을 전달 차량으로 선택하는 G-SRMB의 성능을 비교하여 R-CBF가 G-SRMB에 비해 메시지 전파 지연 시간을 최대 38% 감소시키고, 불필요한 재전송 없이 동작함을 확인하였다.

VANET 망에서 지역적 캐싱을 이용하는 시공간 지오캐스팅 프로토콜 (A Spatio-Temporal Geocasting Protocol Using Regional Caching in Vehicular Ad-Hoc Networks)

  • 이현규;신용제;최현석;이의신;박수창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7권6호
    • /
    • pp.137-144
    • /
    • 2018
  •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VANETs)은 사고 통지, 콘텐츠 사용 등과 같은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은 속성에 따라 관심영역과 수명을 갖는 시공간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관심 영역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지오캐스팅 프로토콜은 현재 시간에만 단일 전송을 통해 영역의 모든 차량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지만, 데이터의 수명시간 동안 해당 영역을 이동하는 차량에는 데이터를 제공할 수 없다. 따라서 우리는 VANET에서 데이터의 수명시간동안 관심 영역의 차량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지역적 캐싱 기법을 사용하는 시공간 지오캐스팅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는 지역적 캐싱을 위해서, 제안된 프로토콜은 비콘 기반 데이터 공유, 잔여 캐싱 제거 및 거리 기반 캐싱 교환을 사용한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제안된 프로토콜이 기존 프로토콜과 비교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데이터 전달을 달성하는지를 검증한다.

VANETs에서 비정상 행위 탐지를 위한 빅 데이터 응용 (A Big Data Application for Anomaly Detection in VANETs)

  • 김식;오선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175-181
    • /
    • 2014
  • 무선 기반의 모바일 컴퓨팅 네트워크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관련 기술과의 융합을 통한 획기적인 모바일 애드 혹 네트워크 응용들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차량 애드 혹 망 (Vehicular Ad Hoc Networks: VANETs)은 일반적으로 높은 이동성을 갖는 차량 노드들로 구성되어 망 위상이 짧은 시간 유지되고 통신 링크가 불안정한 자기 조직화 모바일 애드 혹 망이다. 따라서 VANETs은 네트워크상에 센서들의 해로운 노이즈나 차량 노드들의 비정상 행위에 매우 취약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VANETs에서 센싱된 센서로 부터의 상황정보에 대한 해로운 오동작이나 노이즈와 차량 노드들의 활동에 대한 비정상 행위를 효율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빅 데이터 처리기술을 응용한 비정상 행위 탐지 방법을 제안하고, 그 성능을 모의실험을 통해 임계 허용 오차에 대한 비정상 행위 탐지율과 거짓 경고율로 평가하였다.

Proposed Message Transit Buffer Management Model for Nodes in Vehicular Delay-Tolerant Network

  • Gballou Yao, Theophile;Kimou Kouadio, Prosper;Tiecoura, Yves;Toure Kidjegbo, Augusti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3권1호
    • /
    • pp.153-163
    • /
    • 2023
  • This study is situated in the context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where in-vehicle devices assist drivers to avoid accidents and therefore improve road safety. The vehicles present in a given area form an ad' hoc network of vehicles called vehicular ad' hoc network. In this type of network, the nodes are mobile vehicles and the messages exchanged are messages to warn about obstacles that may hinder the correct driving. Node mobilities make it impossible for inter-node communication to be end-to-end. Recognizing this characteristic has led to delay-tolerant vehicular networks. Embedded devices have small buffers (memory) to hold messages that a node needs to transmit when no other node is within its visibility range for transmission. The performance of a vehicular delay-tolerant network is closely tied to the successful management of the nodes' transit buffer.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ssage transit buffer management model for nodes in vehicular delay tolerant networks. This model consists in setting up, on the one hand, a policy of dropping messages from the buffer when the buffer is full and must receive a new message. This drop policy is based on the concept of intermediate node to destination, queues and priority class of service. It is also based on the properties of the message (size, weight, number of hops, number of replications, remaining time-to-live, etc.). On the other hand, the model defines the policy for selecting the message to be transmitted. The proposed model was evaluated with the ONE opportunistic network simulator based on a 4000m x 4000m area of downtown Bouaké in Côte d'Ivoire. The map data were imported using the Open Street Map tool. The results obtained show that our model improves the delivery ratio of security alert messages, reduces their delivery delay and network overload compared to the existing model. This improvement in communication within a network of vehicles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road safety.

VANET환경에서의 라우팅 프로토콜 성능 실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xperiment on Routing Protocols Performance for VANETs)

  • 정종범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81-484
    • /
    • 2012
  • 차로에서 차량의 많은 증가는 안전과 무선통신의 가용성에 대한 필요성을 높여 왔다. Vehicular ad hoc networks(VANETs)은 다양한 차량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용도와 상용분야로의 개발을 점차적으로 해오고 있다. 차량 간의 효과적인 통신범위를 제공하기 위해서 최적화된 라우팅 프로토콜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목적지까지 최적의 경로를 찾는 mobile ad hoc networks(MANETs)를 위한 많은 기존의 프로토콜들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두 개의 라우팅 프로토콜들을 비교함으로써 VANET 환경을 위한 프로토콜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Multicast Ad-hoc On-Demand Distance Vector(MAODV)[1][2] 라우팅 프로토콜의 솔루션은 목적지 대상으로 최적의 경로를 탐색함으로써 더욱 향상된 결과를 보여준다. NS-2[3]는 라우팅 프로토콜 실험을 수행하고 결과를 도출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실험을 통하여 최적의 라우팅 프로토콜에 대한 연구방향 및 개선될 사항을 찾고자 한다.

Review on Software-Defined Vehicular Networks (SDVN)

  • Mohammed, Badiea Abdulkarem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9호
    • /
    • pp.376-388
    • /
    • 2022
  • The expansion of new applications and business models is being significantly fueled by the development of Fifth Generation (5G) networks, which are becoming more widely accessible. The creation of the newest intelligent vehicular networks and applications is made possible by the use of Vehicular Ad hoc Networks (VANETs) and Software Defined Networking (SDN). Researchers have been concentrating on the integration of SDN and VANET in recent years, and they have examined a variety of issues connected to the architecture, the advantages of software-defined VANET services, and the new features that can be added to them. However, the overall architecture's security and robustness are still in doubt and have received little attention. Furthermore, new security threats and vulnerabilities are brought about by the deployment and integration of novel entities and a number of architectural components. In this study, we comprehensively examine the good and negative effects of the most recent SDN-enabled vehicular network topologies, focusing on security and privacy. We examine various security flaws and attacks based on the existing SDVN architecture. Finally, a thorough discussion of the unresolved concerns and potential future study directions is provided.

Density-Based Opportunistic Broadcasting Protocol for Emergency Situations in V2X Networks

  • Park, Hyunhee;Singh, Kamal Deep;Piamrat, Kandaraj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2권1호
    • /
    • pp.26-32
    • /
    • 2014
  • Vehicular-to-anything (V2X) technology is attractive for wireless vehicular ad-hoc networks (VANETs) because it allows for opportunistic choice of a vehicular protocol between vehicular-to-vehicular (V2V) and vehicular-to-infrastructure (V2I) communications. In particular, achieving seamless connectivity in a VANET with nearby network infrastructure is challenging. In this paper, we propose a density-based opportunistic broadcasting (DOB) protocol, in which opportunistic connectivity is carried out by using the nearby infrastructure and opposite vehicle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disconnection and long end-to-end delay times. The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posed DOB protocol outperforms the considered comparative conventional schemes, i.e., the shortest path protocol and standard mobile WiMAX, in terms of the average end-to-end delay, packet delivery ratio, handover latency, and number of lost packets.

VANETs의 보안을 위한 비정상 행위 탐지 방법 (An Anomaly Detection Method for the Security of VANETs)

  • 오선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77-83
    • /
    • 2010
  • 차량 애드 혹 망 (Vehicular Ad Hoc Networks: VANETs)은 일반적으로 이동성이 높은 차량 노드들로 구성되어 매우 짧은 시간 망 위상이 지속되므로 불안정한 통신 링크를 갖는 자기 조직화 P2P 망이다. VANETs은 고정된 인프라 구조나 중앙 통제 라우팅 장비 없이 자동적으로 망구조를 구성하고, 차량 노드들은 시간에 따라 고속으로 이동하며 망에 결합하거나 이탈하는 개방 망이므로 중앙 집중식 제어 없이 누구나 접속을 허용하기 때문에 망상에 해롭고 비정상 행위 노드들에 대한 침입에 매우 취약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VANETs에서의 노드들의 활동에 대한 비정상 행위를 효율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러프집합기반 비정상 행위 탐지방법을 제안하고, 그 성능을 모의실험을 통해 임계 허용 오차에 대한 비정상 행위 탐지율과 거짓 경고율로 평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