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getable fatty acid soap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5초

식물성 지방산 비누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건조시간과 첨가물의 효과 (Effect of Drying Time and Additives regard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Vegetable Fatty Acid Soap)

  • 이성희;이기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4032-4038
    • /
    • 2014
  • 식물성지방산 고형비누는 검화법 제조 후 수분증발 및 경도를 위한 건조과정이 필요하며, 주로 천연성분의 첨가물을 혼합하여 제조하고 있으나 그동안의 연구는 식물성고형비누의 사용성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으로 천연성분이 혼합된 식물성 지방산 고형비누의 물리적 특성과 관련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고형비누가 건조되는 기간과 첨가물(tea tree E.O, $TiO_2$)에 따른 비누의 물성 변화(pH, 표면장력, 임계미셀농도, 세정력)를 pH paper, Du Nouy 측정법, 침전법과 초음파 세척기를 이용하여 비교 관찰하고자 하였다. 식물성지방산 고형비누는 첨가물의 혼합여부와 상관없이 pH가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건조 2주~12주까지 pH8로 변화가 없었다. 또한, 표면장력과 CMC 측정결과 $TiO_2$가 첨가된 비누만 건조기간과 상관없이 62.5mg/L로 일정한 값을 보였으며, 다른 비누시료는 건조 4주째만 CMC가 25mg/L로 낮아졌다. 세정력 측정 결과 4주간 건조한 Tea tree E.O, $TiO_2$를 혼합한 식물성지방산 고형비누의 제거효율은 4.50~4.65%로 첨가물이 없는 식물성지방산 고형비누의 제거효율 3.62~3.92%보다 세정력이 높게 나타났다.

식물성 지방산 고형비누에 첨가된 에센셜오일의 휘발성 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Volatile Change of Essential Oils Addition on to the Vegetable Fatty Acid Hard Soap)

  • 이성희;이기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3304-3311
    • /
    • 2014
  • 식물성지방산 고형비누는 검화법으로 제조 후 수분증발 및 경도를 위하여 건조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합성향료를 대체하여 휘발성이 높은 에센셜오일을 혼합하여 비누 제조시 비누에 포함된 에센셜오일(라벤더오일)의 주요 향기성분(리나롤, 리나릴 아세테이트)이 건조기간 및 첨가물(이산화티탄)에 따라 변하는 향의 지속기간을 GC-MS를 이용하여 비교 관찰하고자 하였다. 그동안의 연구는 식물성고형비누의 사용성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향의 휘발성과 관련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비누에 포한된 리나롤의 휘발성은 이산화티탄을 혼합한 비누가 12주까지 감소율이 높게 나타났으나, 20주가 되는 시점에서는 유사한 수준으로 감소되었다. 리나릴 아세테이트는 이산화티탄의 혼합여부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이기는 했으나 20주경과 시점까지 휘발성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건조 20주 동안 리나릴 아세테이트보다 리나롤의 잔존율이 이산화티탄의 혼합여부와 상관없이 높게 나타났다. 상온에서 2일정도의 지속성을 갖는 라벤더 에센셜오일의 향 성분이 식물성 지방산 고형비누와 혼합하여 제조시 20주(5개월)동안 비누에 잔존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일본(日本)의 유암공업(油暗工業) 및 계면활성제공업(界面活性齊工業)의 현황(現況)과 전망(展望) (Survey of Oil and Surfactant Industries in Japan)

  • Yoshiki, Ohsiro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39-54
    • /
    • 1994
  • I am going to survey major topics relating to the title by analyzing the following statistical data. 1 : Global trend of production and import of oil and relating materials 2 : Global trend of major oil production 3 : Capacity of Japanese factory for oil production 4 : Situation of mechanical expression based on raw materials 5 : Change of production amounts of Oil products 6 : Oil production of each items 7 : Imported amounts of oil products 8 : Vegetable oil meals, production, import and global trend 9 : Production of mayonnaise, dressing and edible processing oils 10 : Intake of nutrients, supply of lipids, and consumption of oils 11 : Global production of oleochemicals 12 : Sales amount of oleochemicals 13 : Capacities of fatty acid and fatty alcohol factories 14 : Oleochemical production in 1995 15 : Oleochemical procuction in asia 16 : Production of surfactants for industrial use 17 : Sales amount of detergents and washing materials 18 : Production of soap and synthetic detergent in Japan 19 : Consumption of soap. detergent, and synthetic detergent 20: Relation beween synthetic detergent production and popularization 21 : Biodegradability of soft detergent

각종 탈검제에 의한 식물성 기름의 탈검효과 (Degumming Effect on Vegetable oil of Degumming agent)

  • 김덕숙;안명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7-32
    • /
    • 1988
  • 탈검제로 인산 및 초산, 구연산, 수산, 질산, 붕산 등 6종을 평지씨 기름과 대두유에 적용시킨 결과 수산을 사용하여 인산과 거의 동일한 탈검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즉, 평지씨 기름에서 85% 인산 처리군과 5.10% 수산 처리군의 탄산유내의 잔류 비누물질과 인함량, 탈색유에서의 색상, 탈취유의 과산화물값, trans 지방산 함량 등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대두유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얻었으므로 탈검제로서 인산 대신 수산을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85% 인산처리군과 10% 수산처리군으로부터 얻어진 폐수를 분석한 결과 특히 BOD, COD 등에서 현격한 차이를 보였으며 침전분리 및 화학처리한 결과 인산 처리군은 수산 처리군에 비하여 처리시약 요구량 및 처리시간이 각각 3배, 1.7배로 차이가 극심하였다. 따라서 이들 식물성 기름에서 인산대신 수산을 사용하여 동일한 탈검효과를 얻을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폐수 처리도 개선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