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getable extract

검색결과 175건 처리시간 0.024초

수원 5호 메밀의 유리라디칼 소거 및 Xanthine oxidase 활성 저해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Inhibitory Effects on Xanthine oxidase of Buckwheat (Suwon No. 5))

  • 서형주;정수현;김영순;이성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11-416
    • /
    • 1997
  • To examine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from buckwheat, Suwon No. 5 was extracted with various solvents. The seed of Suwon No. 5 had a high contents of carbohydrate, but the vegetable of that had a 31.4% of protein, 28.6% of ash and 25.7% carbohydrate as moisture free basis. Phenols contents of vegetable extracts had higher than those of seed extracts. Acetone extract of vegetable showed the greatest electron donating ability. Butanol and acetone extracts of vegetable showed high inhibitory effect on lipid peroxidation. Acetone extract of vegetable has also excellent activity in the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by xanthine/xanthine oxidase-cytochrome c reduction system. The inhibitory effects of extracts on xanthine oxidase were measured. Acetone extract had the strongest inhibitory effect on xanthine oxidase and $IC_{50}$ was 2.2$\mu\textrm{g}$.

  • PDF

감마선을 이용한 녹즙의 위생화 (Sanitizing Effect of $\gamma$-Irradiation on Fresh Vegetable-extract Juices)

  • 변명우;김미정;김재훈;육홍선;이경행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78-382
    • /
    • 1999
  • The sanitizing effect of irradiation on the fresh vegetable extract juices was investigated. Total bacteria, coliform bacteria and total ascorbic acid were determined during the storage periods at 4oC. Chlorophyll, carotenoid, tannin,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peroxidase activity were determined immediately after irradi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viable cells were detected below the level of 105 CFU/ml during 12 days with doses of 3 and 5 kGy. Total ascorbic acid and tannin contents increased immediately after irradiation. However, irradiation didn't affect chlorophyll and car otenoid contents,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peroxidase activity. It was considered that irradiation was effective in sanitizing fresh vegetable extract juices.

  • PDF

혼합야채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당뇨 효과 증진을 위한 톳, 매생이, 미역귀의 첨가효과 (Effects of the addition of Hizikia fusiforme, Capsosiphon fulvescens, and Undaria pinnatifida sporophyll on antioxidant and inhibitory potential against enzymes related to type 2 diabetes of vegetable extract)

  • 통타오;장성매;고두옥;김보석;정광진;강성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60-467
    • /
    • 2014
  • 혼합야채추출물의 항산화와 ${\alpha}$-amylase 및 ${\alpha}$-glucosidase 억제활성 증진을 위해서 톳, 매생이, 미역귀의 첨가효과를 분석하였으며 해조류 첨가된 야채추출물의 일반성분과 미네랄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3가지 해조류의 첨가량은 야채추출물의 일반성분에 유의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톳과 미역귀 5% 첨가에 의해 칼슘,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철분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톳 20% 첨가한 경우 총 폴리페놀 함량과 환원능력이 야채추출물보다 각각 47.08와 16.82%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반면에 3가지 해조류 첨가에 의한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이 큰 변화가 없었다. 톳, 매생이, 미역귀 20% 첨가에 의해 DPPH radical 소거활성이 각각 27.47, 22.25, 17.27%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해조류 첨가된 혼합 야채 추출물이 상대적으로 약한 ${\alpha}$-amylase 억제활성을 지니고 있는 동시에 강한 ${\alpha}$-glucosidase 억제활성이 나타냈다. 특별히 미역귀 5% 첨가한 경우 ${\alpha}$-glucosidase을 98.26%로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전반적으로 해조류 첨가를 통해 야채추출물의 미네랄 함량이 증가하였고 항산화와 2형 당뇨병 관련 효소 억제활성이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녹즙분말이 흰쥐의 지질패턴 및 항산화 체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reeze-dried Green Vegetable Extract on Lipid Profiles and Antioxidant Status in the Rat)

  • 박정화;김수연;정은정;윤선;이양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8권1호
    • /
    • pp.11-19
    • /
    • 2005
  • There has been increasing research interests that green vegetables play beneficial roles in human health.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reeze-dried green vegetable extract of Angelica keiskei Koidz (A) and Brassica oleracea acephala (B) on lipid profiles and antioxidant status in rats. Seven-weeks old male Sprague 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6 groups and fed diets containing 5% A & B and 0.5% cholesterol (cho) for 8 weeks [Control Diet (C) & C + chol (CC), A & A + chol (AC), B & B + chol (BC)]. Lipid profiles and antioxidant status were determined by enzyme assay methods. The serum levels of [LDL + VLDLJ-cholesterol of the rats fed vegetable extract diets A and B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group C and the ratios of HDL/[LDL + VLDL]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s A and B. Addition of cholesterol in the diet, however, abolished this effect. The Brassica oleracea acephala juice lowered serum TG level even when cholesterol was added to the diet. Serum total antioxidant status(TA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s A and B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the ratios of [GSH-Px +Catalase]/total-SOD in the liver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s A and B indicating that H202 produced be efficiently removed. In conclusion, freeze-dried green vegetable extract diets (A and B) improved serum lipid profiles by increasing the HDL/[LDL + VLDL〕 ratio and exerted favorable influences on antioxidant systems by improving total antioxidant status (TAS) in serum and by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ratio of [GSH-Px + Catalase]/total-SOD in the liver.

Canola oil is an excellent vehicle for eliminating pesticide residues in aqueous ginseng extract

  • Cha, Kyu-Min;Lee, Eun-Sil;Kim, Il-Woung;Cho, Hyun-Ki;Ryu, Ji-Hoon;Kim, Si-Kwa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0권3호
    • /
    • pp.292-299
    • /
    • 2016
  • Background: We previously reported that two-phase partition chromatography between ginseng water extract and soybean oil efficiently eliminated pesticide residues. However, an undesirable odor and an unpalatable taste unique to soybean oil were two major disadvantages of the metho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an alternative vegetable oil that is cost effective, labor effective, and efficient without leaving an undesirable taste and smell. Methods: We employed six vegetable oils that were available at a grocery store. A 1-mL sample of the corresponding oil containing a total of 32 pesticides, representing four categories, was mixed with 10% aqueous ginseng extract (20 mL) and equivalent vegetable oil (7 mL) in Falcon tubes. The final concentration of the pesticides in the mixture (28 mL) was adjusted to approximately 2 ppm. In addition, pesticides for spiking were clustered depending on the analytical equipment (GC/HPLC), detection mode (electron capture detector/nitrogen-phosphorus detector), or retention time used. Samples were harvested and subjected to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pesticides. Results: Soybean oil demonstrated the highest efficiency in partitioning pesticide residues in the ginseng extract to the oil phase. However, canola oil gave the best result in an organoleptic test due to the lack of undesirable odor and unpalatable taste. Furthermore,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hanges of ginsenosides evaluated by TLC and HPLC, respectively, revealed no notable change before or after canola oil treatment. Conclusion: We suggest that canola oil is an excellent vehicle with respect to its organoleptic property, cost-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eliminating pesticide residues in ginseng extract.

홍삼함유 과채류 복합 추출물의 증숙열처리 및 유산균 발효에 의한 장관면역 활성 (Evaluation of Intestinal Immunity Activity by Steam-Heat Treatment and Ferment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of Fruit and Vegetable Complex Extracts containing Red Ginseng)

  • 김현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935-941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과채류 복합추출물에 소량의 홍삼을 첨가하여 증숙가열 및 유산균 발효에 의한 진세노사이드 대사산물의 활성 증가와 장내면역 활성이 현저히 개선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홍삼 단독 추출물 또는 과채류복합추출물에 비해 홍삼을 함유한 과채류 복합추출물에서 시너지 효과에 의한 장내면역 활성의 증가가 관찰됨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홍삼을 함량별로 첨가하여 유산균 발효에 따른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홍삼의 농도를 결정하였다. 그 결과, 홍삼을 과채류 혼합물 질량에 대하여 3~10%의 질량비로 혼합하여 증숙 및 유산균 발효 추출하였을 때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홍삼을 함유한 과채류 복합추출물은 200㎍/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홍삼이 함유되지 않은 과채류 복합추출물에 비해 NO 생성을 약 60% 억제하였으며, IL-1β의 발현은 63%, IL-6의 발현 69%, TNF-α의 발현 76% 수준으로 억제하여 장내면역 활성이 크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비지터블 추출물 및 유산균 발효물의 진생사포닌 대사산물과 장건강 활성성분 효과 (Effects of Ginseng Saponin Metabolites and Intestinal Health Active Ingredients of Vegetables Extracts and Fermented Lactic Acid Bacteria)

  • 김현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943-951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사과, 배, 무 등 8종 과채류를 절단하고 열수추출물과 과채류 증숙열수추출물을 제조하고 실험기질로 사용하였다. 실험기질에 홍삼추출물 1%(W/V)와 유산균발효 추출물에 유산균 8종 혼합스타터를 첨가하여 발효한 결과, ginsenosides의 패턴과 함량은 과채류 추출물군과 증숙 처리군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유산균 발효군에서는 발효과정과 처리에 따라 TLC 패턴이 변하여 Rg3(S) 및 Rg5으로 전환되는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가하였다. 4종의 과채류추출물 모두에서 유산균 수(cfu)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유산균 CFU의 수는 과채류 추출물의 4가지 발효군에서 약간 감소하였으나 유익균의 생장 억제 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3가지 유해균의 증식억제 효과는 4가지 과채추출물에서 대장균과 슈도모나스의 증식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살모넬라균의 증식은 억제되었으며, 이는 과채류 증숙 열수추출물 및 홍삼추출물 첨가 여부에 관계없이 과채류 추출물의 생장억제효과로 확인되었다.

야채추출물의 융복합적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Convergence of Vegetable Extract in Cancer cells)

  • 박해란;박정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호
    • /
    • pp.491-496
    • /
    • 2016
  • 본 논문은 야채추출물의 인간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야채수프에 사용되는 무, 무청, 우엉, 표고버섯, 당근등의 야채추출물을 이용하여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살펴보았다. 인간 암세포주는 위암 (AGS) 세포주, 급성 전골수성 백혈병 (HL-60) 세포주, 폐암 (A549) 세포주를 사용하였으며 MTS방법으로 암세포 증식 억제를 확인하였다. 위암 세포주는 표고버섯과 당근에서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가 있었으며 급성 전골수성 백혈병 세포주는 무청, 우엉, 당근에서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우엉과 당근에서 유의성 있는 억제를 보였으며 폐암 세포주는 무, 무청에서 탁월한 효과를 보였다.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가 있는 야채추출물을 이용한 야채스프는 항암성이 있는 기능성 소재로 활용과 융복합적인 웰리스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식물성 김치재료추출물의 항미생물활성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Extracts of Vegetable Kimchi Stuff)

  • 김선재;박근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16-220
    • /
    • 1995
  • 김치의 천연보존제로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15종의 식물성 김치재료를 MeOH로 추출, 용매분획하여 얻어진 산성구, 중성구 그리고 수용액구에 대해 김치 주발효미생물인 Leuconostoc mesenteroides, Pediococcus cerevisiae, Lactobacillus plantarum과 Saccharomyces cerevisiae를 대상으로 항미생물활성을 검색한 결과, 마늘과 부추추출물의 중성구에서 뚜렷한 항미생물활성을 나타냈다. 특히 부추추출물은 김치의 숙성 및 산패원인균으로 알려진 Ped. cerevisiae와 L. plantarum에 대해서 현저한 항미생물활성을 나타내, 김치의 천연보존제 및 산패억제제로서 부추추출물의 이용가능성이 시사되었다.

  • PDF

브로콜리 품종 및 부위에 따른 항균활성과 항산화 효과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Different Parts and Cultivars of Broccoli)

  • 박미영;윤무경;곽정호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3호
    • /
    • pp.408-41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브로콜리 품종 및 부위에 따른 항균활성 및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브로콜리 11개 품종에 대해 그람 양성균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2종과 그람 음성균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enteritidis 2종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한 결과, S. aureus에 대해 AMG 품종의 화뢰 추출물이 12.83mm, 잎 추출물 13.00 mm로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으나 부위별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L. monocytogenes의 경우, 화뢰 추출물은 NJ 품종이 13.58mm, 잎 추출물은 YDR 품종이 13.92mm로 가장 큰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저해환의 평균값이 화뢰는 12.85mm, 잎은 13.17mm로 다른 4종의 균 중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E. coli O157:H7에 대해서는 Grd 품종의 화뢰와 잎 추출물 모두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으나, 부위별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S. enteritidis는 화뢰추출물은 NJ 품종이 12.67mm, 잎 추출물은 NY, 0c 품종이 12.75mm의 저해환을 보였으며, 잎 추출물이 화뢰 추출물에 비해 높은 항균활성을 보여주었다. 품종별 항산화 효과를 살펴보면, 화뢰 추출물은 NJ 품종이 39.90%, 잎 추출물은 0c 품종이 43.64%로 가장 높았으며, 부위별 평균값은 화뢰추출물 23.35%, 잎 추출물 35.91%를 나타내어 잎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가 약 1.5배 높게 나타났다. NJ 품종을 제외하고 모든 품종에서 잎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이 화뢰 추출물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