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Vascular shunting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4초

결출성 절단사지에 대한 재접합 후 추시결과 (Late Results of Successful Replantation of Severed Limb by Avulsion Injury)

  • 임홍철;서승우;홍준석;장욱성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2권1호
    • /
    • pp.53-61
    • /
    • 1993
  • High level, major limb amputation above the wrist and ankle joint has some characteristic problems because of the large muscle mass and poor potential for nerve regeneration. As an adjunct method to reduce warm ischemic time prior to bony stabilization, temporary vascular shunting by simple catheterization has been performed, which has not been associated with any significant complication and has improved on success rate in replantation surgery. The authors have experienced 198 cases replantation of amputated limbs and digits from September, 1983 at the Korea medical center, Guro hospital, of which, 13 cases of successful replantation of amputated limbs by avulsion injury above the wrist and ankle joint level, which is generally considered as contraindication, were followed up for average 4.5 years(minimum 1.5 to maximum 8.4 years) on terms of survival rate, function and appearance. The clinical analysis upon these cases is to be presented with review of references.

  • PDF

Imaging Findings of Coronary Artery Fistula in Children: A Pictorial Review

  • Hyun Woo Goo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2권12호
    • /
    • pp.2062-2072
    • /
    • 2021
  • Coronary artery fistula, defined as an abnormal communication between the coronary arteries and a cardiac chamber (most commonly) or a thoracic great vessel, may result in hemodynamically significant problems due to vascular shunting in children. Echocardiography, cardiac catheterization, cardiac MRI, and cardiac CT may be used to evaluate coronary artery fistula in children. Recently, CT has played a pivotal role for the accurate diagnosis of coronary artery fistula in children. Surgical or interventional treatment is performed for hemodynamically significant coronary artery fistulas. In this pictorial review, the detailed imaging findings of coronary artery fistula in children are described.

간경화 환자에서의 저산소혈증과 Tc-99m-MAA 주사를 이용한 폐내단락 측정 (Hypoxemia In Liver Cirrhosis And Intrapulmonary Shunt Determination Using Tc-99m-MAA Whole Body Scan)

  • 이계영;김영환;한성구;심영수;김건열;한용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1권5호
    • /
    • pp.504-512
    • /
    • 1994
  • 연구배경 : 간경화 환자에서 심질환 또는 폐질환이 동반되지 않으면서 심각한 저산소혈증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은 이미 오래전부터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그 원인으로서 폐혈관 장애를 초래하는 것이 주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폐혈관 확정에 의한 폐내단락이 가장 중요한 기전으로 제시되고 있다. 폐내단락은 전모세혈관 수준에서 폐내혈관확장이 발생하거나 직접적인 동정맥 교통에 의해서 발생하는데 간경화 환자에서 흔히 관찰되는 피부 소견인 거미상 혈관종과 관련성이 있다. 이러한 폐내 모세혈관의 확장으로 인해 중심 혈류 속도가 빨라지고 모세혈관 통과 속도가 증가하여 결국은 폐확산 장애가 초래되는데 이러한 효과는 심박출량이 증가하는 과운동성 순환을 나타내는 간경화의 혈류학적 특성과 상승작용을 유발하여 저산소혈증이 발생한다. 또한 앙아위에서 기립자세로 체위변화를 하면 폐기저부위에서 중력에 의한 혈류량이 증가하여 폐내단락 효과가 배가되어 저산소혈증이 더욱 악화되므로 기립성 탈산소증과 편평호흡이 발생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소견들은 주정성 간경화와 원발성 담즙성 간경화를 주로하는 구미에서의 결과이고, B형간염과 이로 인한 간경화 및 간암의 유병율과 사망률이 세계적으로 가장 높은 우리나라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후괴사성 간경화가 대종을 이루는 국내 간경화 환자에서의 저산소혈증과 기립성 탈산소증의 빈도를 조사하고 그 기전으로서 폐내단락의 중요성을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간경화 환자 중에서 심폐질환의 증거가 없고 복수, 상부위장관 출혈, 간성 혼수등과 같은 심한 합병증의 현증이 없는 비교적 안정상태에 있는 48명을 대상으로 하여 앙아위와 기립시 동맥혈분석검사를 시행하여 저산소혈증과 기립성 탈산소증의 빈도를 조사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저산소혈증군과 정상산서혈증군으로 분류하여 각각 폐기능검사 및 폐내단락율을 측정하기 위한 Tc-99m-MAA 주사를 실시하였다. 폐내단락율 계산은 뇌와 좌우신장의 혈류량은 전신 혈류량의 32%인 점을 기준하여 뇌와 좌우신장에서 측정된 방사성 계수를 전신 방사성 계수로 환산하고 이 값을 좌우폐의 방사성 계수와 합산한 후 이에 대한 전신 방사성 계수의 비율을 계산함으로써 결정하였다. 결과 : 동맥혈산소분압 80 mmHg 미만의 저산소혈증은 9명에서 관찰되어 18.8%의 빈도를 보였고 10 mmHg 이상의 기립성 탈산소증은 8명에서 관찰되어 16.7%의 빈도를 보였으나 동맥혈산소분양 60 mmHg 미만의 심각한 저산소혈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동맥혈 산소분압은 거미상 혈관종이 관찰되는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낮았으며 혈청학적 표지자와 간경화의 심한 정도를 반영하는 간기능검사 수치와는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저산소혈증군과 정상산소혈증군으로 분류하여 시행한 폐기능검사 소견상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Tc-99m-MAA 전신주사를 이용한 폐내단락율은 저산소혈증군에서 $11.4{\pm}4.1%$로서 정상산소혈증군의 $4.1{\pm}2.0%$보다 유의하게(p<0.05)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론 : 간경화 환자에서 저산소혈증은 적지 않은 빈도로 관찰되는 소견으로 그 기전으로는 폐내단락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후괴사성 간경화가 대종을 이루는 국내의 간경화 환자에서는 임상적으로 호흡곤란 및 청색증을 유발할 정도의 심각한 저산소혈증은 매우 드물다고 생각된다.

  • PDF

신경근 압박을 동반한 요추부 척수 경막외 동정맥루의 혈관 내 치료: 증례 보고 (Endovascular Treatment of a Lumbar Spinal Epidural Arteriovenous Fistula with Radiculopathy: A Case Report)

  • 황현;신재호;홍재택;인연권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6호
    • /
    • pp.1628-1633
    • /
    • 2021
  • 척수 경막외 동정맥루는 매우 드문 질환으로 진단과 치료가 어렵다. 무증상 환자도 있으나 동정맥단락으로 척수주위정맥으로 역류되고 늘어난 정맥이 인접한 신경근을 압박하면서 증상이 생길 수 있다. 본 증례는 31세 남자 환자로 2년 동안 지속되는 요통, 방사성 허벅지통증, 하지 감각변화로 내원하였다. 컴퓨터단층촬영, 자가공명장치 및 척수혈관조영술에서 요추의 경막외 공간에서 동정맥단락에 의해 늘어난 정맥이 신경근을 압박하고 있는 척수 경막외 동정맥루로 진단하였다. 코일색전술을 시행하여 동정맥단락을 차단하였고 수일 내에 신경근 압박증상이 호전되었다. 이번 증례에서는 척수 경막외 동정맥루에서 외과적 수술의 대안으로 코일 색전술이 효과적인 치료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자상 후 발생한 신동맥과 하대정맥간 정맥루 (Arteriovenous Fistula between Renal Artery and Inferior Vena Cava following Penetrating Abdominal Trauma; A Case Report)

  • 김중석;고승제;김지대;설영훈;예진봉;박상순;구관우;김영철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8권4호
    • /
    • pp.262-265
    • /
    • 2015
  • An arteriovenous fistula (AVF) from the renal artery following a penetrating abdominal trauma is not common. We report the case of a 19-year-old male who presented with a knife stab wound in the right upper quadrant. Due to unstable vital signs and to the protrusion of the mesentery through the stab wound, providing definite evidence of peritoneal violation, an emergent exploratory laparotomy was carried out. There were injuries at the proximal transverse mesocolon and the second portion of the duodenum, with bile leakage. There was also a mild amount of retroperitoneal hematoma near the right kidney, without signs of expansion or pulsation. The mesocolon and the duodenum were repaired. After the operation, abdominal computerized tomography (CT) was performed, which revealed contrast from the right renal artery shunting directly into the vena cava. 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 with a coil and vascular plug was performed, and the fistula was repaired. The patient recovered completely and was discharged without complication. For further and thorough evaluation of an abdominal trauma, especially one involving the retroperitoneum, a CT scan is recommended, when possible, either prior to surgery or after surgery when the patient is stabile. Furthermore, a lateral retroperitoneal hematoma and an AVF after a penetrating trauma may not always require exploration. Sometimes, it may be safely treated non-operatively or with embolization.

  • PDF

청색증으로 내원한 간폐증후군 1예 (A Case of Hepatopumonary Syndrome with Cyanosis)

  • 류대식;정복현;정상식;김호동;유철희;강길현;김남현;정승문;박만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3호
    • /
    • pp.420-425
    • /
    • 1999
  • 저자들은 심한 청색증을 동반한 만성 간질환에서, 폐 내 동정맥 단락과 동맥혈 저산 소혈증을 보인 간폐증 후군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단순흉부 X-선 사진에는 망상결절이 하엽 기저부에 주로 분포하였고 고해상 전산화 단층영상에서 확장된 폐혈관이 늑막까지 연장되어 보이고, 특히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폐혈관종말지의 확장이 늑막하 폐에 분포하였다. 핵의학 관류검사 및 조영 심초음파 검사를 통해 폐내 단락을 진단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산화 질소 억제제가 문맥 고혈압 쥐의 혈역학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Nitric Oxide Inhibitor on Hyperdynamic Circulation in Portal Hypertensive Rats)

  • 김필영;장병익;김태년;정문관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6권2호
    • /
    • pp.181-192
    • /
    • 1999
  • 만성 문맥압 항진증에서 관찰되는 과혈류 순환과 말초혈관 이완에 대한 산화질소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실험동물은 수컷 흰쥐를 이용하여 문맥을 부분결찰하여 문맥 고혈압을 유발시킨 군과 겉보기 수술만을 시행한 대조군으로 구분하고 문맥 고혈압군은 문맥 부분 결찰후 부터 혈역학 측정 전까지 식수를 경구 투여한 식수 투여군과 산화질소 억제제인 $N^{\omega}$-Nitro-L-Arginine(1mg/kg/day)를 경구 투여한 NNA 투여군으로 나누었다. 혈역학적 측정은 수술 2주 후에 시행하였고 $^{51}Cr$$^{57}Co$-labeled microspheres를 이용하여 심박출량, 조직 혈류량, 문맥-전신 단락률, 문맥압, 말초혈관 저항 내장혈관 저항 등을 측정하였다. 평균 동맥압은 대조군 $129.3{\pm}9.6mmHg$, 식수 투여군은 $111.3{\pm}5.5mmHg$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고, NNA 투여군은 $128.7{\pm}19.8mmHg$로 식수 투여군에 비해 증가되어 있었다. 심박출량은 대조군의 $105.2{\pm}6.5ml/min$에 비해 식수 투여군에서 $144.2{\pm}17.9ml/min$로 증가되었으며, NNA 투여군은 $89.9{\pm}14.4ml/min$로 식수 투여군에 비해 감소되어 있었다. 전말초 저항은 식수 투여군에서 $6.0{\pm}0.9dyne/sec/cm^5{\times}10^5$로 대조군의 $9.5{\pm}0.8dyne/sec/cm^5{\times}10^5$에 비해 감소되었고, NNA 투여군은 $11.2{\pm}2.1dyne/sec/cm^5{\times}10^5$로 식수 투여군에 비해 증가되어 있었다. 문맥으로 유입되는 혈류량은 대조군 $16.61{\pm}5.03ml/min$, 식수 투여군은 $29.66{\pm}4.27ml/min$로 식수 투여군에서 유의한 증가가 있었으며, NNA 투여군은 $11.43{\pm}2.24ml/min$로 식수 투여군에 비해 감소되어 있었다. 내장혈관 저항은 식수 투여군에서 $2.59{\pm}0.44dyne/sec/cm^5{\times}10^5$로 대조군의 $6.61{\pm}3.08$dyne/sec/$cm^5{\times}10^5$에 비해 감소되었으며, NNA 투여군은 $8.09{\pm}2.04$dyne/sec/$cm^5{\times}10^5$로 식수 투여군에 비해 증가되어 있었다. 문맥-전선 단락율은 대조군의 $1.35{\pm}0.42%$ 에 비해 식수 투여군은 $95.42{\pm}2.73%$로 증가되었으며, NNA 투여군은 $73.36{\pm}17.67%$로 식수 투여군보다 감소되어 있었다. 문맥압은 대조군 $7.94{\pm}1.29mmHg$, 식수 투여군 $17.16{\pm}3.17mmHg$, NNA 투여군은 $16.67{\pm}2.24mmHg$로 대조군에 비해 식수 투여군과 NNA 투여군에서 증가되었으나, 양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문맥 저항은 NNA 투여군에서 $12.23{\pm}3.93dyne/sec/cm^5{\times}10^5$로 식수 투여군의 $4.74{\pm}1.20yne/sec/cm^5{\times}10^5$에 비해 증가되었다. 결론적으로 문맥의 부분결찰로 유도된 만성 문맥압 항진 쥐에서 산화질소 합성 억제제인 NNA를 투여할 경우 문맥압의 변화 없이 동맥압의 증가, 심박출량의 감소, 내장 및 전신 혈관 저항의 증가 등이 유발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고려해 볼 때 만성 문맥압 항진증시 관찰되는 과혈류 순환의 형성에 산화질소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정맥-정맥 도관 체외막형 산소섭취로 치료한 신생아의 지속성 폐동맥 고혈압증 2례 (Two Cases of Neonatal Persistent Pulmonary Hypertension Treated by Veno-venous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V-V ECMO))

  • 유희준;성세인;김진규;서현주;최서희;유혜수;안소윤;김은선;양지혁;허준;장윤실;강이석;전태국;박원순
    • Neonatal Medicine
    • /
    • 제17권1호
    • /
    • pp.109-115
    • /
    • 2010
  • 신생아의 지속성 폐동맥 고혈압증(PPHN)은 출생 후 폐동맥의 저항이 낮아지고 전신 혈관 저항이 올라가면서 폐로 가는 혈류가 증가하고 난원공과 동맥관을 통한 폐와 전신의 평행 순환에서 연속 순환인 신생아 순환으로 바뀌게 되는 과정에 문제가 있는 것이다. 저자들은 태변흡인이 있었던 두 명의 만삭아에서 고빈도 환기 요법과 흡인성 일산화질소 가스를 이용하여 PPHN을 치료하였으나 치료에 반응하지 않고 전신 장기에 산소화가 문제가되어 정맥-정맥도관체외막형산소섭취(V-V ECMO)를 시행하였고 두 증례 모두 체외막형 산소 섭취를 이탈하여 생존할 수 있었다. 현재까지 태변 흡인 증후군에 의해 생긴 PPHN 환아들에서 ECMO를 적용하여 치료한 국내 보고가 없고, 특히 V-V ECMO 적용으로 신생아를 치료한 보고 또한 없다. 이에 저자들은 태변 흡입 증후군에 의해 생긴 PPHN 환아들에서 V-V ECMO로 생존한 2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