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scular flora

검색결과 413건 처리시간 0.033초

천황산 지역(경남)의 관속식물상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Mt. Cheonhwang (Gyeongsangnam-do))

  • 고성철;최두섭;손동찬;박범균;김태훈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46-160
    • /
    • 2013
  • 경상남도 밀양시의 천황산 지역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상 조사를 위하여 2009년 3월부터 2011년 9월까지 총 16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천황산 지역의 관속식물은 90과 252속 387종 3아종 43변종 9품종의 총 442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이 중 14분류군은 한국특산식물이었고, 11분류군은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이었다. 식물 구계학적특정종은 5등급 2분류군, 4등급 5분류군, 3등급 15분류군, 2등급 16분류군 그리고 1등급 21분류군 등 59분류군이 발견되었다. 귀화식물은 21분류군이었다. 또한, 조사된 식물들을 용도별로 구분하면 식용식물 163분류군, 섬유용식물 6분류군, 약용식물 125분류군, 관상용식물 76분류군, 목초용식물 163분류군, 공업용식물 4분류군, 염료용식물 9분류군, 목재용식물 21분류군 등이 자원식물로 나타났다.

광덕산(천안·아산시) 관속식물상의 다양성: 생태학적, 보존학적 중요성 (Vascular plant diversity of Gwangdeoksan Mountain (Cheonan-Asan, Korea): insights into ecological and conservation importance)

  • 전지현;조명숙;윤선아;길희영;김선희;권율;서희승;아리옹 수헤르테이;김승철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49-99
    • /
    • 2021
  • 광덕산은 충청남도 천안시와 아산시의 경계에 위치한, 이 일대에서는 가장 높은 산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5년 4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총 20회에 걸쳐 광덕산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하여, 97과 287속 428종 9아종 30변종 1품종의 총 468분류군을 확인하였다. 이 중 특산식물,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 국외반출승인대상종, 희귀식물 및 멸종위기야생식물, 그리고 외래식물 및 생태계교란식물에 해당하는 58과 112속 129분류군이 주요식물로 조사되었다. 광덕산의 식물상은 크게 남동방면, 남서방면, 북방면, 정상부의 4개 구역으로 구분되었으며, 각 구역별로 분포하는 식물상이 뚜렷이 구분되었다. 광덕산의 식물상에 대한 본 조사 결과와 이전의 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광덕산은 식물구계학적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되어 보전 및 연구가치가 큰 것으로 판단된다.

珍島의 植生 (Study on the Vegetation of Jindo County)

  • Kim, Jong-Hon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3권1호
    • /
    • pp.33-50
    • /
    • 1990
  • The flora and vegetation of Jindo Archipelago were investigated from 1985 to 1989. In the area, 1089 species, 3 subspecies, 133 varieties, and 22 forma of vascular plants were recovered. From the data,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 value 1.39 in Pte-Q and Ch-$D_1-R_3$-e in biological type were recognized. Vegetation of the area is classified into 8 communities: Pinus thunbergii-, Quercus serrata-, Q. variabilis-, Carpinus coreana-, Prunus sargentii-, Camellia japonica-,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and Q. acuta-community. The actual vegetation map was conducted with the materials obtained by the investigation of the vegetation in 103 area.

  • PDF

경주국립공원 서악 지구의 관속식물상 (Vascular Plants of Seoak District in Gyeongju National Park)

  • 유주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3-33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raw data for establishing the management and restoration plan by objective surveying and analysing the flora distributed in Seoak District, Gyeongju National Park, Korea. The flora summarized as 411 taxa including 92 families, 285 genera, 363 species, 2 subspecies, 41 varieties and 5 forms. The rare plants designated by Korea Forest Service were 2 taxa including Exochorda serratifolia and Potentilla discolor.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3 taxa including Philadelphus schrenkii, Lespedeza maritima and Weigela subsessilis.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16 taxa including Asplenium sarelii, Pyrrosia petiolosa, Vitex negundo var. incisa and so forth. The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were 2 taxa including Lespedeza maritima and Carpesium macrocephalum, and the plants with approval for delivering oversea were 4 taxa including Exochorda serratifolia, Glycine soja, Lespedeza maritima and Weigela subsessilis. The naturalized plants were 51 taxa including Phytolacca americana, Viola papilionacea, Lamium purpureum and so forth.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3 taxa including Ambrosia artemisiifolia, Aster pilosus and Lactuca scariola. NI(Naturalized Index) was 12.4% of all 411 taxa of surveyed flora in this study and UI(Urbanized Index) was 15.9% of all 321 taxa of naturalized plants in Korea. Potentilla discolor in rare plant, Philadelphus schrenkii in endemic plant and Dictamnus dasycarpus in specific plant were established the conservation plan. Whereas, invasive alien plants such as Ambrosia artemisiifolia, Aster pilosus and Lactuca scariola should be removed as soon as possible. The damaged sites in Seoak District were divided between wildfire area and farmland. To restore a forest fire site, we will have to apply a natural renewal and community planting. In case of farmland, we will have to do ecological planting using native species and constrcut a forest wetland.

전라남도 남해안 도서식물상의 도서생물 지리학적 특성 (Island-Bio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Insular Flora in Southern Sea of Jeollanamdo, Korea)

  • 김현희;김다빈;원현규;김찬수;공우석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43-155
    • /
    • 2016
  • Present work aims to establish the countermeasure for the better maintenance and preservation of insular floristic diversity at the South Sea of Jeollanamdo Province, ROK, where unique ecosystems are under threat due to climate change, anthropogenic disturbance and habitat destruction. Numerous flora reports from 15 inhabited islands and 60 uninhabited islands as well as field survey data are collated for the compilation of floristic data base and island biogeographical analysis. Out of the 1,940 vascular plant species from 180 families occurring in studies areas, 30.1 percentage or 584 plant species are physiognomically belonging to arboreal plants. Average number of species at individual island is numbered about 222 species, but it varies from about 591 species at the inhabited islands to 129 species at the uninhabited islands. Only 0.15 percentage of species with high proportion above 0.9 in its relative occurrence rate occurs at 68 islands and it includes three species, such as Pinus thunbergii, Eurya japonica and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However, about 68 percentage of plant species occurring in study area is confined their distribution to less than seven islands. Presence of high proportion of notable plants in small islands, i.e., 10 critically endangered species compared with 5.5 species in average, 9 endangered species (average 4.2 spp.) at Sonjookdo, and 7 critically endangered species, 8 endangered species at Sokomundo may due to existence of diverse geological and topographical environmental diversity as well as lower human population density and remoteness from the mainland. Since island is small in size and geographically isolated, minor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burdens can cause the critical damages to the diversity of flora and vegetation, urgent island biogeographical research is needed for the scientific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island biodiversity.

강원도 인제군 원대리 자연습지의 식물상 (Flora of Natural Mashes in Wondae-ri (Inje-gun, Kangwon-do))

  • 박완근;유석인;박광서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6권1호
    • /
    • pp.50-68
    • /
    • 2000
  • 강원도 인제군 남면 원대리 자연습지를 대상으로 1999년 4월부터 동년 10월까지 관속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71과 175속 228종 1아종 33변종 3품종, 총 265종류가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가운데 갈대, 달뿌리풀, 삿갓사초, 골풀, 구릿대, 버드나무 등의 수생 및 관속식물은 19과 24속 31종 5변종 1품종, 총 37종류가 분포하고 있었다. 본 조사지역내 식생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식물사회학적 조사를 실시한 결과 갈대군락, 갯버들-흰물봉선아군락, 조팝나무-사철쑥아군락으로 분류되었다.

  • PDF

속리산국립공원 특별보호구인 망개나무 자생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the Berchemia berchemiaefolia of Special Protection Zones of Songnisan National Park)

  • 오현경;김영하;윤상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3-44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d in the vascular plants of special protection zones (the native land of Berchemia berchemiaefolia in Sadam-ri and Gallon valley) of Songnisan National Park and identified the whole vascular plants.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273 taxa including 82 families, 182 genera, 236 species, 3 subspecies, 28 varieties and 6 forms. Woody plants were identified as 124 taxa (45.4%) and herbaceous plants as 149 taxa (54.6%). A total of 107 taxa were identified in the area of Sadam-ri, and 246 taxa were found in the Gallon valley. A total of 8 taxa of rare plants were identified, each of which was divided into 1 taxa of endangered (EN; Daphne pseudomezereum var. koreana), 3 taxa of vulnerable (VU; Paeonia japonica, Berchemia berchemiaefolia and Iris minutiaurea), 3 taxa of least concern (LC; Aristolochia contorta, Syringa patula var. kamibayshii and Goodyera schlechtendaliana) and 1 taxa of data deficient (DD; Alangium platanifolium).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9 taxa (Clematis trichotoma, Thalictrum actaefolium var. brevistylum, Aster koraiensis, Cirsium setidens, etc.). In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34 taxa, a degree I were 17 taxa (Chloranthus japonicus, Celastrus stephanotifolius, etc.), 9 taxa of a degree II (Euonymus pauciflorus, Acer triflorum, etc.), 4 taxa of a degree III (Aconitum longecassidatum, Angelica gigas, etc.), 2 taxa of a degree IV (Ulmus macrocarpa and Daphne pseudomezereum var. koreana), 2 taxa of a degree V (Berchemia berchemiaefolia and Alangium platanifolium). The naturalized plants were 5 taxa including Fallopia dumetorum, Trifolium repens, Ailanthus altissima, Oenothera biennis, Erigeron annuus. Naturalization rate (NR) was 1.8% of all 273 taxa of vascular plants and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not f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lora that grows in the special protection zones of Songnisan National Park and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management of the special protection zone in the future.

길상산 (강화도)의 관속식물상 (The Vascular Plants in Mt. Gilsangsan (Ganghwa-Isl.), Korea)

  • 김중현;김선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80-304
    • /
    • 2013
  • 본 연구는 길상산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을 조사하였다. 2012년 3월부터 11월까지 총 14회에 걸쳐 수행되었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122과 359속 529종 7아종 51변종 2품종 3교잡종으로 총 59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길상산은 식물구계학상 온대중부지역에 속하고 낙엽활엽수와 침엽수의 혼합림으로 산지의 대부분은 소나무-참나무류림이 우점하며 2차림으로 구성된다. 종 다양성이 높은 과는 국화과(11.0%), 화본과(10.7%), 사초과(6.38%), 콩과(3.86%), 장미과(3.52%)였다. 한국 고유종은 각시족도리풀, 외대으아리, 고광나무, 개나리, 늦둥굴레 등 1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IUCN 평가기준에 따른 적색목록의 관속식물은 위기종(EN)인 구상나무, 준위협종(NT)은 산닥나무, 흑삼릉, 관심대상종(LC)에 측백나무, 개쓴풀, 금붓꽃, 미평가종(NE)으로 늦둥굴레가 조사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V등급, VI등급이 각각 2분류군, III등급 9분류군, II등급 3분류군, I등급 29분류군 등 45분류군이 발견되었다. 귀화식물은 64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10.7%로 나타났다. 생태계교란 야생식물에는 애기수영, 가시박, 도깨비가지, 돼지풀, 단풍돼지풀, 미국쑥부쟁이, 서양금혼초, 가시상추 등 8분류군이었다. 또한 생활형조성은 일년생식물(26.5%), 반지중식물(26.0%), 지중식물(14.0%) 등이 높게 나타났다.

아산호 습지에서 관속식물의 군집 구조와 생산성 및 영양염류의 흡수 (Community Structure, Productivity, and Nutrient Uptake of the Vascular Plants in the Wetlands of the Asan-Lake)

  • 김철수;손성곤;이정환;오경환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3권3호
    • /
    • pp.201-209
    • /
    • 2000
  • 아산호 연안대의 습지에서 식물군락과 호소 환경과의 상호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1997년 3월부터 1997년 10월까지 수생식물, 습생식물 및 중생식물의 종조성, 분포 면적, 식생 구조, 현존량, 식물체에 의한 영양염류 흡수 등을 조사하였다. 관속식물은 38과 89속 106종 14변종으로 총 120종류가 분포하였는데, 그 중 수생식물은 정수식물 14종류, 침수식물 5종류, 부수식물 4종류 등 23종류가 출현하였고, 습생식물 및 중생식물은 97종류였다. 조사 지소별 분포 종수는 4∼85종류로 조사지소별로 차이가 많았다. 우점종은 줄(Zizania latifolia)이었으며, 부들(Typha orientalis), 갈대(Phragmites communis), 개구리밥(Spirodela polyrhiza) 등의 순으로 중요치가 낮아졌다. 정수식물, 습생식물 및 중생식물의 분포 면적은 49.3 ㏊(90.5%)이고 부수식물이 5.2 ㏊(9.5%)이며, 부엽식물 및 침수식물은 분포 면적이 매우 적었다. 생활형별 연순생산량은 정수식물, 습생식물 및 중생식물이 547.9 ton D.W./yr, 그리고 부수식물이 10.5 ton D.W./yr로서 이들의 비율은 98: 2이며, 호소 전체의 연순생산량은 558.4 ton D.W./yr에 달한다. 아산호 전체에서 관속식물에 의한 질소 및 인의 연간 흡수량은 각각 7,099kg 및1,891 kg이었다.

  • PDF

유구천(충남, 공주)의 식물 분포 현황분석 (The Analysis of the Plant Distributional Pattern in Yugu Stream (Gongju, Chungnam))

  • 문애라;이율경;박정미;장창기
    • 환경생물
    • /
    • 제30권2호
    • /
    • pp.107-120
    • /
    • 2012
  • 본 조사는 유구천의 수생식물과 수변계류식물의 목록을 작성하고 관속식물의 다양성을 연구하기 위해 문헌조사를 포함하여, 2009년 8월부터 2010년 9월까지 총 4회에 걸쳐 7개 지점을 조사하였다. 7개 지점의 조사를 통해 유구천의 관속식물은 88과 229속 290종 3아종 30변종 5품종 32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조사지역 내의 한국 특산식물은 개나리(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오동나무 (Paulownia coreana Uyeki), 병꽃나무 (Weigela subsessilis (Nakai) L.H. Bailey) 등 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산림청 지정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은 낙지다리 (Penthorum chinense Pursh), 땅나리 (Lilium callosum Siebold & Zucc.), 꽃창포(Iris ensata var. spontanea (Makino) Nakai), 창포 (Acorus calamus L) 등 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총 27분류군이 확인되었는데, 그 중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III~V등급종은 V등급종이 2분류군, IV등급종이 2분류군, III등급종이 9분류군으로 총 13분류군이 발견되었다. 귀화식물은 10개과 27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조사된 전체 목록 중 약 8.3%를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유구천은 마을이 하천을 따라 발달하고, 도로나 농경지 등에 따라 인간의 간섭이 지속적으로 증가 할 것으로 여겨지며 이에 따라 귀화식물의 유입도 증가 할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조사지점별 식물들의 집괴분석과 좌표 결정분석 결과 유구천 본류형, 소하천형, 저수지형 등 3개 모둠으로 구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