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scular Plant

검색결과 777건 처리시간 0.025초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of Mt. Mangtaebong (Inje-gun, Gangwon-do) in the DMZ area (DMZ일원 망태봉(강원도 인제군)의 관속식물상)

  • Lee, Ahyoung;An, Jong-Bin;Kim, Sang-Jun;Hwang, Hee-Suk;Park, Jinsun;Bak, Gippeum;Song, Jin-Heon;Yun, Ho-Geun;Jung, Ji-Young;Jung, Su-Young;Kim, Il-Kwon;Shin, Hyun-Tak;Lee, Cheol-H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5-7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DMZ 일원인 강원도 인제군 망태봉(771.4m) 일대를 중심으로 2018년 4월부터 10월까지 총 8회에 걸쳐 식물상 조사를 실시하였다. 관속식물은 76과 187속 235종 2아종 28변종 4품종으로 총 269분류군이 조사되었다. 분류군별로는 양치식물이 7과 21분류군, 나자식물이 1과 3분류군, 쌍자엽식물이 60과 208분류군, 단자엽식물이 8과 37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주요 식물로는 특산식물이 할미밀망(Clematis trichotoma), 무늬족도리풀(Asarum versicolor), 병꽃나무(Weigela subsessilis), 고려엉겅퀴(Cirsium setidens), 처녀치마(Heloniopsis koreana) 등 6분류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위기종(Endangered, EN)인 구실바위취(Saxifraga octopetala)와 관심대상종(Least Concern, LC)인 도깨비부채(Rodgersia podophylla)로 총 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기후변화취약종인 산림청 지정의 북방계식물은 회리바람꽃(Anemone reflexa), 피나물(Hylomecon vernalis), 돌단풍(Mukdenia rossii), 애기앉은부채(Symplocarpus nipponicus) 등 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침입외래식물은 생태계교란종인 돼지풀(Ambrosia artemisiifolia), 단풍잎돼지풀(Ambrosia trifida), 미국쑥부쟁이(Aster pilosus) 3분류군을 포함하여 총 7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유용식물로는 용도가 뚜렷하지 않은 77분류군(28.6%)을 제외한 192분류군(71.4%)이 자원식물로서 이용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을 용도에 따라 구분해보면 식용 107분류군(39.8%), 섬유용 3분류군(1.1%), 약용 80분류군(29.7%), 관상용 32분류군(11.9%), 사료용 87분류군(32.3%), 산업용 2분류군(0.7%), 염료용 3분류군(1.1%), 목재용 7분류군(2.6%)으로 조사되었다.

  • PDF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Mt. toemo(Incheon-si, Ganghwa-gun) (퇴모산 일원(인천시 강화군)의 관속식물상)

  • Song, Jin-Heon;Bak, Gippeum;An, Jong-Bin;Kim, Sang-Jun;Hwang, Hee-Suk;Park, Jinsun;Lee, Ahyoung;Yun, Ho-Geun;Jung, Su-Young;Jung, Ji-Young;Kim, Il-Kwon;Shin, Hyun-Tak;Lee, Cheol-H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0-70
    • /
    • 2019
  • 본 연구는 인천시 강화군 퇴모산(338m) 일원을 중심으로 식물상을 조사하였다. 관속식물은 76과 210속 268종 3아종 27변종 3품종으로 총 301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분류군별로 양치식물이 4과 5분류군, 나자식물 2과 4분류군, 쌍자엽식물이 61과 226분류군, 단자엽식물이 9과 6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주요 식물로 특산식물은 할미밀망(Clematis trichotoma), 백운산원추리(Hemerocallis hakuunensis), 늦둥굴레(Polygonatum infundiflorum)로 3분류군, 희귀식물은 관심대상종(Least Concern)인 두루미천남성(Arisaema heterophyllum), 정보부족종(Data Deficient)인 늦둥굴레(Polygonatum infundiflorum)로 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침입 외래식물은 돼지풀(Ambrosia artemisiifolia), 미국자리공(Phytolacca americana), 좀명아주(Chenopodium ficifolium),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L.), 털별꽃아재비(Galinsoga ciliata (Raf.) S.F.Blake) 등 10과 20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유용식물로는 용도를 모르는 49분류군(16.3%)을 제외하면 252분류군(83.7%)이 자원식물로 이용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을 용도에 따라 구분해보면 식용 130분류군(29.4%), 섬유용 3분류군(0.7%), 약용 106분류군(24.0%), 관상용 34분류군(7.7%), 사료용 141분류군(31.9%), 산업용 3분류군(0.7%), 염료용 10분류군(2.3%), 목재용 15분류군(3.4%)으로 조사되었다.

  • PDF

The Vascular plants of Mt. Myeongu, Mt. Ouem(Jukwang-myeon, Gosung-gun, Gangwon-do) in the vicinity of the DMZ (DMZ일원 명우산, 오음산(강원도 고성군 죽왕면)의 관속식물상)

  • Hwang, Hee-Suk;An, Jong-Bin;Bak, Gippeum;Park, Jinsun;Kim, Sang-Jun;Lee, Ahyoung;Song, Jin-Heon;Yun, Ho-Geun;Jung, Ji-Young;Jung, Su-Young;Kim, Il-Kwon;Shin, Hyun-Tak;Lee, Cheol-H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6-7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 구성리에 위치한 명우산(335.5m)과 오봉리에 위치한 오음산(281.7m) 일대를 중심으로 식물상을 조사하였다. 명우산의 관속식물은 72과 203속 236종 4아종 23변종 3품종으로 총 239분류군이 조사되었고, 오음산의 관속식물은 71과 185속 236종 2아종 31변종 3품종으로 총 257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주요 식물로 명우산의 경우 특산식물은 노랑갈퀴(Vicia chosenensis), 백운산원추리(Hemerocallis hakuunensis) 등 4분류군이 조사되었고, 이는 명우산에서 조사된 식물의 1.67%로 특산식물 360분류군(정규영 등, 2017)의 1.1%에 해당된다. 오음산의 경우 특산식물은 노랑갈퀴(Vicia chosenensis), 새며느리밥풀(Melampyrum setaceum var. nakaianum) 2분류군이 조사되었고, 이는 오음산에서 조사된 식물의 0.78%, 특산식물 360분류군(정규영 등, 2017)의 0.56%에 해당된다. 희귀식물로는 명우산은 확인되지 않았고, 오음산은 위기종(EN)인 참작약(Paeonia lactiflora var. trichocarpa) 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침입외래식물로는 명우산의 경우 단풍잎돼지풀(Ambrosia trifida), 미국쑥부쟁이(Aster pilosus) 등 총 10분류군이 확인되었고, 오음산의 경우 미국실새삼(Cuscuta pentagona), 돼지풀(Ambrosia artemisiifolia) 등 총 1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 PDF

The Vascular plants of Ganmu-bong(Inje, Gangwon) in the vicinity of the DMZ (DMZ 일원 간무봉(강원도 인제군)의 관속식물상)

  • Bak, Gippeum;Park, Jinsun;Hwang, Hee-Suk;Kim, Sang-Jun;An, Jong-Bin;Lee, Ahyoung;Song, Jin-Heon;Yoon, Ho-Geun;Jung, Ji-Young;Kim, Il-Kwon;Jung, Su-Young;Shin, Hyun-Tak;Lee, Cheol-H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2-72
    • /
    • 2019
  • 간무봉(555.8m)은 강원도 인제군 남면에 위치하고 있다. 북한강의 지류인 소양강으로 대부분 둘러싸여 있으며 북서쪽에 봉화산(874.4m), 북동쪽에 기룡산(940.4m)과 이어진다. 현재까지 간무봉을 대상으로 한 식물상 조사 이력은 없었으나, DMZ 일원에 위치하는 산이기 때문에 DMZ의 식물상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 보전하고 탐색하는 의미가 있다. 현지조사는 2018년 4월부터 10월까지 총 6회 수행하였다. 간무봉에는 굴참나무, 신갈나무, 소나무가 우점하고 있는 형태였으며, 조사 결과 관속식물은 73과 175속 211종 3아종 27변종 4품종으로 총 245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그 중 양치식물은 고비, 고사리삼, 십자고사리, 퍼진고사리 4분류군이고, 나자식물은 소나무, 일본잎갈나무 2분류군, 피자식물은 노랑제비꽃, 은방울꽃, 꽃향유 등 205분류군이었다.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 4,494분류군(국립수목원, 2016)의 5.45%에 해당한다. 간무봉에서 확인한 특산식물은 진범, 할미밀망, 갈퀴아재비, 병꽃나무 등 6 분류군이며, 희귀식물은 미치광이풀(LC), 말나리(LC) 2 분류군 이외에 VU 이상에 해당하는 희귀식물은 발견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침입외래식물(국립수목원, 2016)의 경우 미국자리공, 수박풀, 미국쑥부쟁이, 단풍잎돼지풀 등 17 분류군이었다. 간무봉 주변에는 경작지, 군부대 훈련장소 등이 있으며, 서쪽 사면은 이미 벌목이 많이 된 상태이며, 북동쪽도 마을과 더불어 경작지로 개간되어 있다. 따라서 주변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인위적인 간섭이 많은 상태라고 볼 수 있으며, 이미 유입된 단풍잎돼지풀 등 생태계교란종에 의한 변화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

  • PDF

Elevational distribution and Flora of vascular plants along the Baekdudaegan trail(NeuljaeHaneuljae) (백두대간 등산로(늘재하늘재) 관속식물상 및 고도별 수직분포)

  • Kim, Se-Chang;Son, Yong Hwan;Han, Gyu-Il;Park, Seong-Ho;Seo, Han-na;Park, Wan-Geu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6-66
    • /
    • 2019
  • 본 연구조사의 대상지인 백두대간은 시점인 백두산에서 종점인 지리산까지 이어지는 한반도 전체를 관통하는 핵심 생태축이며, 남북한을 이어주는 산맥으로 인정되고 있다. 그 중 속리산 권역내 늘재하늘재(56.3km) 구간을 2018년 4월에서 10월까지 계절별로 식물의 고도별 수직분포, 식물상을 조사하여 한반도 식물의 기초 자료를 조사하고자 한다. 조사구간의 고도는 최저 310m에서 최고1,052m(평균 726m)로 전형적인 온대낙엽활엽수-침엽수 혼효림으로 구분된다. 주요 조사지인 300m1100m 고도에서 발견된 식물은 85과 227속 358종 4아종 37변종 5품종 총 404종이 출현하였으며 이중 한국특산식물은 노각나무, 자란초, 처녀치마 등 15과 19속 19종 2변종 총 21분류군, 희귀식물은 개병풍, 모데미풀 등 12과 19속 22종 총 22분류군, 기후변화 취약식물은 특산식물 9종, 남방계 1종, 북방계 16종으로 15과 20속 25종 총 25분류군으로 북방계 식물이 대다수 등장하였다. 고도별 분포를 보면 접속구간 300m 제외한 400m 107종, 500m 306종, 600m 137종, 700m 209종, 800m 190종, 900m 92종으로 종수-고도간 유의관계는 낮았으나, 생활형으로 구분한 목본(MM, M, N) 및 초본(CH, HH, H, G, Th, E)간 종의 구성비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400m에서 목본의 구성비는 40%였으나 고도에 따라 증가해 900m에서는 61%에 달했으며, 초본의 구성비는 60%에서 40%로 낮아졌다. 해당 구간의 이러한 경향을 봤을 때 마루금의 평균 해발고도 중심으로 식물이 주로 발견된 경향이 있으나 구성비의 변화를 봤을 때 700m를 중심으로 변화가 일어나고 있었으며 이는 각 정상부, 접속부의 물리적 환경의 차이로 이해된다.

  • PDF

Floristic study of Jeonggwangsan Mt. (Yongin, Korea) (정광산(용인시)의 관속식물상)

  • JEON, Ji-Hyeon;CHO, Myong-Suk;GIL, Hee-Young;KIM, Seon-Hee;JUNES, Petra;SEO, Hee-Seung;KIM, Seung-Chul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제49권1호
    • /
    • pp.70-89
    • /
    • 2019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flora of Jeonggwangsan Mt. (Yongin, Korea) from May of 2015 to September of 2016. Through 14 independent field investigations, we identified a total of 367 taxa of vascular plants, including 89 families, 234 genera, 323 species, six subspecies, 34 varieties, and four formae. Eight taxa were endemic to Korea, while 27 were naturalized in Korea. Nineteen taxa were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in Korea: four in Rank VI, four in Rank III, two in Rank II, and nine in Rank I. A total of 59 taxa were designated as controlled Korean biological resources, requiring special permission for export to outside countries. Two taxa were listed on the Red List of Korea, including one Near Threatened (NT) taxon (Hololeion maximowiczii Kitam.) and one Least Concern (LC) taxon (Iris minutoaurea Makino).

Protective Effect of Water Extract of Leonurus japonicus Houttuyn against HCl/EtOH-induced Gastric Mucosal Damage and Genotoxicity Evaluation using Micronucleus Test (익모초 물 추출물의 위염 예방효과 및 소핵시험을 이용한 유전독성 평가)

  • Nho, Jong Hyun;Lee, Hyun Joo;Jang, Ji Hun;Yang, Beo Dul;Woo, Kyeong Wan;Kim, A Hyeon;Seo, Jae Wan;Kim, Sun Young;Cho, Hyun Woo;Jung, Ho Kyung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제32권4호
    • /
    • pp.282-289
    • /
    • 2019
  • Gastritis is an inflammatory disease involving the stomach and is caused by several factors, including stres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such as aspirin, liquor, and Helicobacter pylori. In Korea, Leonurus japonicus Houttuyn (LJW) has been used as traditional medicine for vaginal bleeding, hematuria, and bruise.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LJW exhibited hepatoprotective, cardioprotective, and anti-hyperlipidemic effect. However, the effect of the water extract of LJW on gastritis was not elucidated. Thus, we evaluated the anti-gastric effect and genotoxicity of LJW. LJW effectively prevented the degeneration of surface mucous cells and glandular epithelial cells and vascular congestion induced by HCl/EtOH. Micronucleus assay indicated that the rate of micronucleated polychromatic erythrocytes/polychromatic erythrocyte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that of the control. Further experiments are required to determine the role of LJW in the gastric injury process such as cyclooxygenase signaling pathway and the secretion of mucus in the stomach.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Mt. Ilimsan and Its Adjacent Areas (in Boseong-gun, Jeonnam-do, Korea) (전남 보성군 일림산 일원 관속식물상)

  • Shin, Soon-Ho;Oh, Chan-Jin;You, Han-Cho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제36권3호
    • /
    • pp.277-302
    • /
    • 2022
  •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floristic data and identify the useful plant resources of Mt. Ilimsan and its adjacent areas. The survey was conducted 27 times from March 31, 2020 to August 22, 2021. It identified 500 taxa consisting of 101 families, 304 genera, 444 species, 11 subspecies, 42 varieties, and 3 formas. A total of 853 plant specimens were collected. There were 16 taxa designated as endemic plants and 7 taxa designated as the rare plants by the Korea Forest Service, and 5 taxa designated as the red list plants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Moreover, the floristic target species by the Ministry of the Environment found in this mountain were 69 taxa, including 49 taxa for floristic degree I, 7 for floristic degree II, 11 for floristic degree III, and 2 for floristic degree IV. Biological resources subject to export approval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159 taxa. The alien plants were 49 taxa, of which 5.6 percent were naturalized, and the urbanization index was 7.9 percent. Ecosystem-disturbing invasive alien plant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6 taxa.

Optimal conditions for adventitious root organogenesis from peony root explant callus cultures (작약(Paeonia lactiflora Pall.) 뿌리절편 유래 캘러스 배양으로부터 부정근발생을 위한 최적 배양조건)

  • Lee, Young Jin;Choi, Myung Suk;Choi, Pil Son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9권3호
    • /
    • pp.207-212
    • /
    • 2022
  • The optimal culture conditions for root organogenesis from the callus of peonies (Paeonia lactiflora Pall.) were investigated. Root explants with vascular bundles were cultured in Murashige and Skoog (MS) medium combined with 0.5-4.0 mg/L auxins (indole acetic acid [IAA], naphthalene acetic acid [NAA], indolebutyric acid [IBA], and 2,4-dichlorophenoxyacetic acid [2,4-D]) and 0.0-2.0 mg/L cytokinins (kinetin, zeatin, and benzylaminopurine [BAP]) to induce callus formation. The callus was then cultured in MS medium combined with three concentrations (0.1, 0.5, and 1.0 mg/L) of IAA, NAA, IBA, kinetin, zeatin, and BAP in the dark for 6 weeks. Based on the results, the effects of dark and light conditions on the callus cultured in MS medium with combinations of 0.1-1.0 mg/L IBA and zeatin for 6 weeks were studied. Callus formation was most effective (>+++) in the medium with a combination of 1.0 mg/L NAA and 1.0 mg/L zeatin. A high number of long adventitious roots were observed in the mediums with 0.1 mg/L IBA (6.66 and 4.82 cm) and 0.5 mg/L zeatin (2.32 and 0.72 cm) among auxins and cytokinins, respectively. The highest number (14.06) of adventitious roots were formed from the callus cultured in light in the MS medium combined with 0.1 mg/L IBA and 0.5 mg/L zeatin. This same medium induced the formation of the longest adventitious root (5.45 cm) in the dark. Thus, optimization of in vitro culture conditions may be possible for the mass propagation of adventitious roots in peonies.

Antioxidant Activity of Cannabidiol (CBD) and Effect on Its Proliferation in Human Dermal Papilla Cells (칸나비디올(CBD)의 항산화 활성 및 인간 모유두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

  • Soo Hyun Kim;Kyu-Sang Sim;Jung Yoon Cheon;Jae-Woong Jang;Su Jin Jeong;Ye Hei Seo;Hye Myoung Ahn;Bong-Geun Song;Gi-Seok Kwon;Jung-Bok Lee
    • Journal of Life Science
    • /
    • 제33권3호
    • /
    • pp.234-241
    • /
    • 2023
  • At present,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legalizing cannabis and its products, and research on various treatments using cannabis is being actively conducted. However, the cannabis plant contains other compounds whose biological effects have not yet been established.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cannabidiol (CBD) on hair growth in human dermal papilla cells (HDPCs).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6-sulfonic acid) (ABTS) and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CBD. The HDPCs viability of CBD was examined via water-soluble tetrazolium salt (WST-1) assay. The expression of hair-loss-related markers in HDPCs by CBD treatment was analyzed by real-time PCR and western blotting. The DPPH,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ssay showed that CBD had superior antioxidant activities. In HDPCs, CBD increased cellular proliferation at concentrations without cytotoxicity. It also increased the expressions of fibroblast growth factor 1 (FGF1), fibroblast growth factor 7 (FGF7),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 (IGF). These results correlated with a decrease in the expression of inhibition-related factors, such as androgen receptor (AR)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1 (TGF-B1). Moreover, CBD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phosphorylation of AKT and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CBD may be a potential remedy for the treatment of alopec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