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riable power divider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68초

브랜치라인 커플러 결합을 이용한 가변 전력 분배기 회로 (A variable power divider circuit using the combine characteristic of the branchline coupler)

  • 박웅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245-251
    • /
    • 2017
  • 제안된 가변 전력 분배기는 입력된 신호를 동일한 신호 전력으로 분배하는 2-way 윌킨슨 전력 분배기, 90도 위상변화가 가능한 두 개의 가변 위상 변환기, 두 개의 경로 신호를 결합하는 브랜치라인 커플러로 구성된다. 제안된 가변전력 분배기는 이론적으로 가변 위상 변환기의 90도 위상 변화에 의해 브랜치라인 커플러의 두 개 출력 단자에 ${\infty}:1$에서 ${\infty}:1$까지 전력 분배 비율로 출력할 수 있다. 제안된 가변 전력 분배기는 중심주파수 1.7 GHz에서 Taconic사의 TLX-9 20mil을 이용하여 제작해 동작 특성을 확인하였다. 제작된 회로는 1.7 GHz에서 두 개 출력 단자에 1:100에서부터 200:1까지 전력 분배 비율의 변화가 가능하였으며, 1.65-1.75 GHz 주파수 대역에서 다양한 전력 분배 비율에 대하여 입력 반사계수 약 -16 dB 이하, 삽입 손실 약 -1.0 dB, 두 출력 단자의 격리 특성 약 -17 dB 이하의 안정적인 특성을 보였다.

링-하이브리드 커플러를 이용한 가변 전력 분배기 회로 (The variable power divider circuit to use the ring-hybrid coupler)

  • 박웅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253-259
    • /
    • 2016
  • 본 논문은 $1:{\infty}$ 또는 ${\infty}:1$의 전력 분배 비율을 가지는 가변 전력 분배기 회로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가변 전력 분배기 회로는 안정된 입력 정합 특성을 가지며 입력 신호를 두 개의 경로로 분배하는 브랜치라인 커플러, 브랜치라인 커플러의 두 출력에 연결되어 90도 위상 변화량을 가지는 두 개의 가변 위상 변환기, 가변 위상 변환기를 거친 두 신호를 결합하는 링-하이브리드 커플러로 구성된다. 제안된 가변 전력 분배기 회로는 가변 위상 변환기에서 90도 위상 변화에 따라 가변 전력 분배기의 두 출력 단자의 출력 전력 비율을 원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안된 가변 분배기 회로는 2GHz에서 Taconic사의 RF-35 20mil을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제작된 가변 전력 분배기 회로는 1.9-2.1 GHz 주파수 대역에서 두 개의 출력 단자에 1:1000에서 5000000:1의 전력 분배 비율의 변화가 가능하였다. 또한, 제작된 가변 전력 분배기는 전력 분배 비율에 관계없이 입력 반사계수 -20 dB 이하, 전력 손실 약 -1.0 dB, 두 출력 단자의 격리 특성 -17 dB 이하의 안정적인 특성을 보였다.

이중 특성 임피던스 선로를 이용한 Gysel 3:1 가변 전력분배기 (Gysel 3:1 variable power divider using the dual characteristic impedance transmission line)

  • 박웅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10호
    • /
    • pp.1409-1415
    • /
    • 2021
  • Rat-race 구조의 변형인 Gysel 전력분배기는 분배기내 저항을 쉽게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Gysel 전력분배기 내에서 선로 임피던스를 다르게 설정하면 두 개의 출력단자에서의 출력 전력 비율을 다양하게 분배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Gysel 전력분배기에서 선로 임피던스를 변화하여 두 개의 출력 단자의 출력 비율을 1:3 또는 3:1로 선택할 수 있는 회로를 제안하였다. 선로의 임피던스 변화는 마이크로스트립 선로 형태의 전송선로 밑면에 비접지 동판을 위치시켜 구현할 수 있다. 비접지 동판과 접지면이 단락 연결하면 전송 선로는 마이크로스트립 선로로 동작하고, 비접지 동판과 접지면을 연결하지 않으면 전송 선로는 코플라나 선로로 동작하게 된다. 제안된 Gysel 가변전력분배기는 중심주파수 1.5GHz에서 제작하였다. 제작된 Gysel 가변 전력분배기는 1.3~1.7 GHz에서 입력 반사계수(S11) -17dB 이하, 두개의 출력 단자의 전력차는 4.8±0.2dB, 높은 출력 전력을 가지는 단자로의 신호 전달계수(S21)는 -1.39±0.12dB, 낮은 출력 전력을 가지는 단자로의 신호 전달계수(S31)는 -6.15±0.08dB의 안정된 값을 가졌다.

가변 분배 비율 비대칭 전력 분배기 (An Unequal Power Divider with Adjustable Dividing Ratio)

  • 임종식;오성민;구재진;정용채;안달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478-485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분배 비율을 조절할 수 있는 1:N 비대칭 월킨슨 전력 분배기를 제안한다. 제안된 비대칭 전력분배기는 월킨슨 구조에 기인하고 있다. 제안한 분배기는 사각형 형태의 결함 접지 구조와 결함 접지 구조 안에 위치한 격리 패턴 구조, 그리고 바이어스 전압에 따라 캐패시턴스가 변하는 버랙터 다이오드를 지니고 있다. 결함 접지 구조를 지니는 마이크로스트립 전송 선로의 특성 임피던스는 버랙터 다이오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서 값이 변화하고, 이로 인하여 비대칭 전력 분배 비율도 변한다. 측정에서 얻은 비대칭 전력 분배 비율(N)은 $2.59{\sim}10.4$로써 매우 다양한 전력 분배 비율을 보여준다.

이중 특성 임피던스 전송 선로를 이용한 전력 전송 또는 전력 분배가 가능한 회로 설계 (The circuit design to be power transmission or power distribution using the dual characteristic impedance transmission line)

  • 박웅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2339-2344
    • /
    • 2014
  • 마이크로스트립 선로 형태의 전송선로 밑면에 플로팅 동판을 위치시키면 플로팅 동판과 접지면 사이의 단락 또는 개방 연결에 따라 전송선로는 마이크로스트립 선로 또는 코플라나 선로 형태로 동작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은 하나의 전송 선로 폭에 대해 서로 다른 두 개의 특성 임피던스를 가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플로팅 동판이 존재하는 마이크로스트립 전송 선로를 이용하여 안정적인 입력 정합 상태를 가지며 조건에 따라 단순히 신호를 전달하는 2-단자 전력 전송 선로 또는 전력 분배가 가능한 2-way 전력 분배 회로로 동작할 수 있는 가변 전송선로를 제안 및 제작하였다. 제안된 회로는 코플라나 선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전력 전송 선로로 동작하고, 마이크로스트립 선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2-way 전력 분배 회로로 동작한다. 제작된 가변 전송 선로는 700 MHz 이상의 주파수에서 전력 전송 선로로 동작하는 경우 -0.2 dB 이내의 전달 손실($S_{21}$)과 -15 dB 이하의 반사 계수($S_{11}$)를 보였으며, 전력 분배 선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10 dB 이하의 반사 계수($S_{11}$), -3.8 dB이내의 전달 손실($S_{21}$ or $S_{31}$), ${\pm}0.3dB$이내의 출력 전력차($S_{21}/S_{31}$)를 보였다.

Vector Sum 방법을 이용한 새로운 구조의 능동 위상천이기 (A New Active Phase Shifter using Vetor Sum Method)

  • 김성재;명노훈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575-581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Vector Sum 방법을 이용한 새로운 구조의 능동 위상천이기를 제안하였고 그 위상천이기를 제 어할 독특한 디지털 방식의 위상 제어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안한 새로운 구조의 능동 위상천이기는 Wilkinson power combiner/divider, branch line 3 dB quadrature hybrid coupler, 그리고 dual gate FET(DGFET)를 사용 한 가변 이득 증폭기(VGA)를 이용하여 설계.제작하였다. 그리고 제작된 능동 위상천이기를 디지털 방식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제안된 구조가 효율적으로 잘 동작하고 또한 제시된 디지혈 방식으로 제어하는 방법이 타당함을 보였다.

  • PDF

A 8-bit Variable Gain Single-slope ADC for CMOS Image Sensor

  • 박수양;손상희;정원섭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통권20호
    • /
    • pp.38-45
    • /
    • 2007
  • A new 8-bit single-slope ADC using analog RAMP generator with digitally controllable dynamic range has been proposed and simulated for column level or per-pixel CMOS image sensor application. The conversion gain of ADC can he controlled easily by using frequency divider with digitally controllable diviber ratio, coarse/fine RAMP with class-AB op-amp, resistor strings, decoder, comparator, and etc. The chip area and power consumption can be decreased by simplified analog circuits and passive components. Proposed frequency divider has been implemented and verified with 0.65um, 2-poly, 2-metal standard CMOS process. And the functional verification has been simulated and accomplished in a 0.35$\mu$m standard CMOS process.

  • PDF

전력 분배비를 변화시킬 수 있는 전력 분배기/합성기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wer Divider and Combiner with Variable Power Ratio)

  • 김기태;안달;정연규
    • 한국전자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파학회 2003년도 종합학술발표회 논문집 Vol.13 No.1
    • /
    • pp.347-351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전력 분배비를 변화시킬 수 있는 전력 분배기/합성기를 설계하였다. 전력 분배기/합성기의 ${\lambda}/4$ 전송선로 특성 임피던스를 결합선로 또는 하이브리드로 변환하여 설계하였다. 결합 선로나 하이브리드의 결합포트와 격리포트를 동시에 On/Off시킴으로써 변화하는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전력 분배비가 1:1에서 1:0으로 즉 전력이 두개의 포트에 같은 크기로 전달되다가 모든 입력이 하나의 출력포트로 모두 전달되는 전력 분배기를 설계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 New Active Phase Shifter

  • Kim, S.J.;N.H. Myung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0년도 ITC-CSCC -2
    • /
    • pp.1063-1066
    • /
    • 2000
  • ln this paper, a new active phase shifter is proposed using a vector sum method, and it is shown that the proposed phase shifter is more efficient than the others in size, power, number of circuits, and gain. Also a unique digital phase control method of the circuit is suggested. The proposed scheme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using a Wilkinson power combiner/divider, a branch line 3dB quadrature hybrid coupler and variable gain amplifiers (VGAs) using dual gate FETs (DGFETs). Furthermore, it is also shown that the proposed scheme is more efficient and works properly with the digital phase control method.

  • PDF

A Broadband Microstrip Array Antenna for 3G Smart Antenna System Testbed

  • Rashid, Zainol Abidin Abdul;Islam, Mohammad Tariqul;Jiunn, Ng Kok
    • 정보통신설비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43-59
    • /
    • 2006
  • A compact and broadband $4\times1$ array antenna was developed for 3G smart antenna system testbed. The $4\times1$ uniform linear away antenna was designed to operate at 1.885 to 2.2GHz with a total bandwidth of 315MHz. The array elements were based on the novel broadband L-probe fed inverted hybrid E-H (LIEH) shaped microstrip patch, which offers 22% size reduction to the conventional rectangular microstrip patch antenna. For steering the antenna beam, a commercial variable attenuator (KAT1D04SA002), a variable phase shifter (KPH350SC00) with four units each, and the corporate 4-ways Wilkinson power divider which was fabricated in-house were integrated to form the beamforming feed network. The developed antenna has an impedance bandwidth of 17.32% $(VSWR\leq1.5)$, 21.78% $(VSWR\leq2)$ with respect to center frequency 2.02GHz and with an achievable gain of 11.9dBi. The design antenna offer a broadband, compact and mobile solution for a 3G smart antenna testbed to fully characterized the IMT-2000 radio specifications and system performanc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