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riable Ultrasound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1초

인체 요골동맥과 경동맥의 혈액에코박동지수: 나이 및 뇌졸중과의 관계 (Pulsatility Index of Blood Echogenicity of the Human Radial and Common Carotid Arteries: Relation with Age and Stroke)

  • 복태훈;콩치;남권호;최재철;팽동국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94-501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두 나이군의 인체 요골동맥과 경동맥에서 초음파 혈액 영상을 측정하여 혈액에코박동지수를 분석했고, 또한 뇌졸중 환자와 대조군의 요골동맥과 경동맥에서 초음파 혈액 영상을 측정하여 혈액에코박동지수를 비교했다. 요골동맥의 혈액에코박동지수는 젊은 세대와 나이 많은 세대가 각각 $0.13{\pm}0.11$, $0.16{\pm}0.03$로 유사한 반면, 경동맥에서는 각각 $0.70{\pm}0.21$, $0.32{\pm}0.01$로 젊은 세대에서 더 높게 나타났고, 피험자 별로 더 높은 분산을 보였다. 뇌졸중 환자와 대조군의 혈액에코박동지수는 요골동맥($0.22{\pm}0.02$, $0.16{\pm}0.03$)과 경동맥($0.35{\pm}0.02$, $0.32{\pm}0.01$) 모두 환자군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이와 유사하게, 섬유소원 농도 역시 요골동맥과 경동맥 모두 대조군($264{\pm}38$, $257{\pm}43mg/dl$)보다 환자군($336{\pm}61$, $340{\pm}126mg/dl$)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적혈구 응집과 뇌졸중의 상관성에 대한 초음파 연구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적혈구 응집의 생체 내 측정은 임상학적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요막관 잔류이상에 대한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f Urachal Remnants)

  • 조창원;이종인;정풍만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4권2호
    • /
    • pp.117-124
    • /
    • 1998
  • The embryological and anatomical features of urachal anomalies have been well defined. Because of the variable clinical presentation, uniform guideline for evaluation and treatment are lacking. Although urachal remnants are rarely observed clinically, they often give rise to a number of problems such as infection and late malignant changes. Therefore, a total assessment of the disease with a particular focus on embryology, anatomy, clinical symptoms, as well as the most advisable management, is necessary. Twenty six patients with urachal remnants were treated at the Department of Pediatric Surgery from August 1980 to June 1998. Of these 26, 9 were classified as patent urachus 11 as urachal sinus, 4 as urachal cyst, 1 as urachal diverticulum and 1 as an alternating sinus. The group consisted of 11 males and 15 females. The age distribution was 20 neonates, 3 infants, 2 preschoolers and 1 adult. Infection was the most frequent complication and Staph. aureus was the predominant causative microorganism. Fistulogram was performed in 4 cases and ultrasound examination disclosed cysts or sinus in 7 cases. Excision was performed in 24 patients and incision and draniage in 2 cases as a primary treatment. There was no postopreative complication or recurrence.

  • PDF

Effects of Mulligan's Mobilization with Movement on Talofibular Interval in Subject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 Koh, Eun-Kyung;Jung, Do-Young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8권5호
    • /
    • pp.303-307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Mulligan's mobilization with movement (MWM) on changes in the talofibular interval in the sagittal plane in subject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CAI). Methods: Sixteen subject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talofibular intervals were measured from US images, and the weight-bearing lunge test was used to assess dorsiflexion of the ankle joint. Each dependent variable were measured on the both affected side and sound side in three trials in pre- and post-MWM. Dependent variables were examined with a two-way mixed-design analysis of variance (ANOVA). The two factors were side (sound side versus affected side) and intervention (pre- versus post-intervention). For post hoc analysis, paired t-tests were performed to compare the dependent variables. A p<0.05 was considered to indicate significance. Results: Dorsiflexion and talofibular interval differed significantly pre- and post-intervention (p<0.05). Post-hoc analysis revealed that the talofibular interval post-MWM was significantly less than that pre-MWM on the both the affected and sound side (p<0.05). The ankle dorsiflexion in the post-MWM group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in the pre-MWM group on the affected side and the sound side (p<0.05). Conclusion: The Mulligan's MWM decreased the talofibular interval in subjects with CAI.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MWM technique can change the position of the talus relative to the fibular in the weight bearing position.

간동맥 색전술과 간엽 절제술로 치료한 영아 간내 혈관내피종 1례 (A Case of Infantile Hemangioendothelioma of the Liver Treated with Hepatic Embolization and Lobectomy)

  • 김재선;문수경;윤혜선;이태석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6호
    • /
    • pp.660-664
    • /
    • 2005
  • 저자들은 신생아 시기에 심부전 증세를 보인 간내 혈관내피종 환아에서 내과적 치료와 간동맥 색전술 후 호전을 보이지 않아 간좌엽 절제술을 시행하여 치료한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Waterborne-Polyurethane Coating Materials Containing Conductive Polyaniline

  • Kim, Han-Do;Kwon, Ji-Yun;Kim, Eun-Young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2권3호
    • /
    • pp.303-310
    • /
    • 2004
  • We have prepared an aqueous dispersion of poly(aniline-dodecyl benzene sulfonic acid complex) (PANI-DC) that has an intrinsic viscosity (〔η〕) near 1.3 dL/g using aniline as a monomer, dodecyl benzene sulfonic acid(DBSA) as a dopant/emulsifier, and ammonium peroxodisulfate(APS) as an oxidant. We found that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a PANI-DC pellet was 0.7 S/cm. A waterborne-polyurethane (WBPU) dispersion, obtained from isophorone diisocyanate/polytetramethylene oxide glycol/dimethylol propionic acid/ethylene diamine/triethylene amine, was used as a matrix polymer. We prepared blend films of WBPU/PANI-DC with variable weight ratios (from 99/1 to 66/34) by solution blending/casting and investigated the effects that the PANI-DC content has on the mechanical and dynamic mechanical properties, hardness, electrical conductivity, and antistaticity of these films. The tensile strength, percentage of elongation, and hardness of WBPU/PANI-DC blend films all decreased markedly upon increasing the PANI-DC content. The antistatic half-life time ($\tau$$\sub$$\frac{1}{2}$/) of pure WBPU film was about 110 s, but we found that those of WBPU/ultrasound-treated PANI-DC blend films decreased exponentially from 1.2 s to 0.1 s to almost 0 s upon increasing the PANI-DC content from 1 wt% to 15 wt% to > 15 wt%, respectively.

복부 초음파검사에서 영상 점수 시스템 분류에 따른 간 섬유화 평가의 유용성 (Usefulness of Liver Fibrosis According to Classification of Image Score System In Abdominal Ultrasonography)

  • 안현;지태정;이효영;임인철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2권3호
    • /
    • pp.187-194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athologic results of hepatic parenchyma parameters such as liver parenchyma, liver surface, liver margin and liver, portal vein, spleen size, And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fibrosis progression and hepatic ultrasonography.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prognostic value according to the stage of fibrosis and grade of inflammatio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morphologic variable "A" through ultrasound and "B" We evaluated the predictive value and predicted the variables to evaluate fibrosis in clinical diagnosis and treatment of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hepatic fibrosis in hepatic morphologic variables and other size variables were highest in liver surface and edge. The morphologic parameters used in the evaluation of fibrosis were clinically relevant in distinguishing the fibrosis stage from the results of liver biopsy.

갑상선 결절에서 초음파 유도 미세침흡인검사의 임상적 유용성 (The Clinical Usefulness of Ultrasound-Guided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in Thyroid Nodules)

  • 김미영;박영선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1권2호
    • /
    • pp.141-147
    • /
    • 2008
  • 갑상선 질환은 임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내분비계 질환이다. 기존의 FNA (미세침흡인검사)는 갑상선결절 진단에 매우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결절의 크기가 작고 불분명한 경우, 심부에 위치하여 촉진이 어렵거나, 복합 낭종인 경우에는 적절한 표본 획득의 어려움 등의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제한점을 최소화하고 검사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써 최근에는 US-guided FNA (초음파유도 미세침흡인검사)가 활발히 시행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한 대학병원에서 시행되고 있는 US-guided FNA의 결과를 분석하여 표본의 정확성을 파악함으로써 US-guided FNA의 진단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갑상선 결절로 US-guided FNA를 시행 받은 364명의 연구대상자중 성별은 여성이 316명(86.8%)으로 월등히 많았으며 연령층은 40대의 비율(51.4%)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절의 위치는 오른쪽이 157명(43.1%), 왼쪽이 130명(35.7%), 협부 9명(2.5%)의 순이었다. 결절의 크기는 1cm 미만인 경우는 38.2%, 1cm 이상인 경우는 61.8%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결절의 내부 에코 양상은 고형성인 경우가 255명(70.1%)으로 가장 많았으며 낭성은 39명(10.7%), 혼합형인 경우는 19.2%이었다. 병리검사 결과 양성 307명(84.3%), 악성은 20명(5.5%), 악성의심이 4명(1.1%)이었으며, 부적절한 검체는 33명(9.1%)이었다. US-guided FNA는 표본의 적절성과 진단적 정확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진단적 정확성과 관련하여 감수성과 특이성, 예측도 등의 지표에 대한 연구들이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복부초음파 영상에서 담낭담석을 예측하는 혈액학적 수치의 분석 (Analysis of Hematological Factor to Predict of the Gallbladder Stone in Abdominal Ultrasound Images)

  • 안현;황철환;임인철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31-137
    • /
    • 2017
  • 본 연구는 부산 경남지역의 담낭담석의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대상은 2016년 6월~12월까지 2016년 12월까지 부산 P병원을 내원하여 복부초음파를 실시한 대상으로 하였다. 그 중 복부초음파와 혈청학적 검사를 동시에 실시한 353명을 대상으로 위험인자를 분석하였다. 초음파 검사 상 담낭담석과 관련있는 위험인자들의 통계분석은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과 카이제곱 검정(chi-square test)을 시행하였다. 차이검정 결과를 고려하여 독립변수에 대한 상대 위험비(odds ratio, OR) 산출을 위해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시행하여 변수들로부터 예측모형을 산정하여 타당성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담낭담석 위험인자로 확인된 연령, ${\gamma}GTP$로 예측모형 및 예측 확률값을 산출하였다. 연령에서 민감도 49.7%, 특이도 82.2%를 보였으며, ROC 곡선하면적이 0.724를 나타내었다. ${\gamma}GTP$에서는 민감도 69.3%, 특이도 62.4%를 보였으며, ROC 곡선하면적이 0.699를 나타내어 예측모형의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부산·경남 지역 성인의 담낭용종 위험인자 및 초음파 영상의 형태학적 분석 (Analysis of Risk factors & Morphological Ultrasound Image for Gallbladder Polyp in Adults Living in Busan and Gyeongnam Provinces)

  • 안현;황철환;고성진;김창수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9권3호
    • /
    • pp.353-359
    • /
    • 2016
  • 본 연구는 부산 경남지역에서 담낭용종의 위험인자 및 초음파영상의 형태학적 분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 대상은 2016년 1월~5월까지 부산 P병원 내원환자의 복부초음파 영상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중 복부초음파와 혈청학적 검사를 동시에 실시한 399명을 대상으로 위험인자를 분석하였다. 담낭용종 위험인자들의 통계분석은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과 카이제곱 검정(chi-square test)을 시행하였다. 차이검정 결과를 고려하여 독립변수에 대한 상대 위험비(odds ratio, OR) 산출을 위해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시행하여 변수들로부터 예측모형을 산정하여 타당성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담낭용종 위험인자로 남성, HBsAg 양성, 중성지방이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담낭용종의 위험인자로 확인된 남성, HBsAg 양성, 중성지방으로 예측모형 및 예측 확률값을 산정하였다. 예측확률의 민감도 61.0%, 특이도 76.8%를 보였으며, ROC 곡선의 AUC 결과는 0.735를 보여 예측모형의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복부 초음파검사 상 관찰되는 담낭용종의 형태학적 분석 결과는 고 에코, 유경, 균질한 형태가 가장 많은 분포(27.5%)를 나타내었으며, 용종 개수는 2개(38%), 크기는 5~10 mm (53%)로 가장 많았다. 담낭용종과 관련된 간질환으로는 mild fatty liver (23%), diffuse hepatopathy (21%)로 나타났다.

정보적군집 크기를 가진 군집화된 구간 중도절단자료 분석을 위한결합모형의 적용 (Statistical Analysis of Clustered Interval-Censored Data with Informative Cluster Size)

  • 김양진;유한나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7권5호
    • /
    • pp.689-696
    • /
    • 2010
  • 구간중도 절단자료는 감염 자료, 종양 발생 자료등 그 발생 시간을 정확하게 관측할 수 없는 경우에 흔히 발생되는 자료로 정확한 사건 발생 시간대신에 발생 전 마지막 관측시점과 발생 후 첫 번째 관측시점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류의 자료는 Sun (2006)에 의해 자세하게 논의되었으며 관측 개체간의 독립성 가정 하에서 여러 가지 방법들에 의해 분석되어져 왔다. 본 논문에서는 관측 개체들이 군집으로부터 발생하여 더 이상독립성 가정이 적절하지 못한 경우를 고려한다. 특히 반응변수인 사건 발생 시간이 군집의 크기와 연관되어 있을 때, 이를 고려하기 위한 결합 모형을 제시한다. 제안된 모형은 림프계 필라리아병의 실제 자료에 적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