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por Recovery Unit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초

선박 유증기 회수설비의 Liquid Seal 대체 안전설비 안전성 평가 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Assessment of Alternative Safety Devices Replacing Liquid Seal in Ship Vapor Recovery Unit)

  • 박범진;강희진;최진;이동곤
    •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2011년도 후기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4-116
    • /
    • 2011
  • By 33 CFR 154.828 regulation, a liquid seal must be installed on the inlet to vapor destruction unit in vapor control system. However, install and maintenance of liquid seal are subject to many problems in ship environment. Therefore, US Coastguard, which is the governing body of the regulation, have prepared another clause in the regulation for the exemption from previous clauses. In this paper, relevent regulation is reviewed, together with the requirements for exemption from liquid seal installation. A previous example case is also studied to propose how safety assessment for the alternative safety devices replacing liquid seal should be performed.

  • PDF

석유화학산업의 벤젠 비산배출 저감을 위한 MACT 적용효과 (MACT Application Effect in Petrochemical Industry to Minimize Benzene Fugitive Emission)

  • 김훈장;문진영;황용우;곽인호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8권8호
    • /
    • pp.435-443
    • /
    • 2016
  • 본 연구는 석유화학산업 시설에 MACT (Maximum Achievable Control Technology) 적용 시 벤젠 비산배출량 저감 효과를 분석 하였다. 국내에서는 2015년부터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라 벤젠 비산배출 저감 위한 규제를 시행하였으나, 미국 EPA에서는 이에 앞서 1995년부터 최대달성 가능한 통제기술인 MACT 기준을 적용하여 벤젠 비산 배출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벤젠 배출량 산정 방법론은 EPA Emission Factor AP-42 및 EPA MACT Standard Guideline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MACT 적용할 경우 Uncontrolled facility에 비하여 벤젠 배출량이 평균 98% 수준으로 저감 가능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National Regulation 경우 MACT 수준에 비하여 다소 낮은 평균 95% 수준의 저감율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MACT 기준 경우 벤젠 선박출하 시 유증기 회수설비(Vapor Recovery Unit, VRU) 등을 가동하여 배출 저감토록 요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National regulation에서는 별도 규제 사항이 없는 실정이다. 추가적인 배출저감 달성을 위해서는 벤젠 선박출하 시 VRU 등 유증기 저감설비 도입의 법제화가 필요하다. 이러한 노력은 국내 석유화학산업의 벤젠 배출관리 능력을 Global 수준으로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염색폐수 열회시스템 적용기술 분석 (An Analysis of the Application Technology of Heat Recovery System from Dyeing Wastewater)

  • 장기창;박성룡;이상남;라호상;박준택;함성원;박영태
    • 에너지공학
    • /
    • 제10권3호
    • /
    • pp.195-205
    • /
    • 2001
  • 염색가공공정은 에너지 다소비형이며, 염색조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약 4$0^{\circ}C$ 정도의 열원폐수를 다량으로 방출하고 있지만 이를 회수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아직 미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열원폐수의 열을 회수하여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먼저 염색공정의 특성을 고찰하고. 직물별, 공정별 에너지원단위를 조사한 결과 상대적으로 에너지원같위가 높은 T/C, T/R 교직물 업체나 폴리에스테르 염색업체에서 폐수열을 회수하여 이용하기에 적합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염색업체별, 계절별 폐수의 배출량과 온도를 조사한 결과 각 업체당 평균 폐수배출량은 20,470톤/월이고, 평균폐수온도는 41.$0^{\circ}C$로 나타났다 또한, 배관 침적, 폐쇄 등으로 폐열회수시스템의 안정적 운전이나 열교환기의 성능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SS의 경우 폴리에스테르 염색폐수가 가장 낮아 폴리에스테르 염색폐수가 폐열회수에 가장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염색공장에서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시스템과 폐수열이용 시스템의 에너지단가를 비교해보면 폐열회수시스템에서 압축식 열펌프를 적용하면 에너지단가는 22.50원이 되어 매우 경제적이며, 증기생산을 위한 보일러 연료로 LNG를 사용하는 업체에 압축식 폐열회수시스템을 적용할 경우가 투자비 회수기간이 2.09년으로 경제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열펌프시스템의 적용기술을 보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