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X2 rabbit liver tumor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초

BCRP Expression in VX2 Rabbit Liver Tumours and its Effects on Tumour Recurrence, Metastasis and Treatment Tolerability

  • Li, Cai-Xia;Zhang, Kai;Xie, Fu-Bo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9호
    • /
    • pp.5089-5093
    • /
    • 2013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CRP expression on tumor recurrence, metastasis and treatment tolerability. Methods: A VX2 rabbit liver tumor model was established. Division was randomly into 4 groups: namely saline control group; A group, given hydration lipiodol; B group, Ad-p53; and C group, Ad-p53+hydration lipiodol. After the intervention, samples were collected to detect the BCRP, MMP-2, VEGF and PCNA. Results: The expression of BCRP, MMP-2, PCNA and VEGF in tumors in Group A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while in B and C group, the values were significantly lower (P<0.05). BCRP positive expression in metastatic lesions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and was correlated with MMP-2 ($X^2=6.172$, P=0.0131). Conclusions: BCRP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mediating liver cancer multidrug resistance to chemotherapy, and may be correlated with tumor recurrence and metastasis, which leads to weakened treatment effect. Ad-P53 can down-regulate the expression of related genes, playing a role in multidrug resistance reversal and increased sensitivity in liver cancer treatment.

In Vivo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s of Fluid in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Radiofrequency Ablation

  • Sun, Yi-Xin;Cheng, Wen;Han, Xue;Liu, Zhao;Wang, Qiu-Cheng;Shao, Hu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4호
    • /
    • pp.5799-5804
    • /
    • 2014
  • Background: Radiofrequency ablation (RFA) is the most widely used and studied method internationally for the local treatment of liver tumors. However, the extension of coagulation necrosis in one RFA procedure is limited and incomplete coverage of the damaged area can lead to a high local recurrence rate. Objective: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effects of different solutions in enhancing hepatic radiofrequency by establishing a rabbit VX2 liver cancer model. We also determined the optimal solution to maximise effects on the extent of RFA-induced coagulation necrosis. Methods: Thirty VX2 tumor rabbits were randomly assigned to five groups: group A, RFA alone; group B, RFA with anhydrous ethanol injection; group C, RFA with 5% hypertonic saline injection; group D, RFA with lidocaine injection; and group E, RFA with a mixed solution. Routine ultrasound examinations and contrast-enhanced ultrasound (CEUS) of the ablation areas were performed after RFA. Then, we measured the major axis and transverse diameter and compared the areas of coagulation necrosis induced by RFA. Results: The mean ablation area range increased in groups B, C and especially E, and the scopes were greater compared with group A. Preoperative application of anhydrous ethanol, hypertonic saline, lidocaine and the mixed solution (groups B, C, D and E, respectively) resulted in larger coagulation necrosis areas than in group A (p<0.05). Among the groups, the coagulation necrosis areas in group E was largest,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with other groups (p<0.05). Pathological findings were consistent with imaging results. Conclusions: A mixture of dehydrated alcohol, hypertonic saline and lidocaine injected with RFA increases the extent of coagulation necrosis in the liver with a single application, and the mixed solution is more effective than any other injection alone.

Expression of Epidermal Growth Factor-like Domain 7 is Increased by 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 of Liver Tumors

  • Li, Zhi;Ni, Cai-Fang;Zhou, Jin;Shen, Xiao-Chun;Yin, Yu;Du, Peng;Yang, Chao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3호
    • /
    • pp.1191-1196
    • /
    • 2015
  • Background: Epidermal growth factor-like domain multiple 7 (EGFL7), recently identified as a secreted protein regulated by oxygen exposure, plays a critical role in promoting metastasis of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 (TAE) is widely used for treatment of HCC, resulting in hypoxia in tumors and surrounding liver tissues. Accordingly, we proposed the hypothesis that there could be a relationship between expression of EGFL7 and response to TAE. Materials and Methods: We established a rabbit VX2 liver tumor model using percutaneous puncture technique guided by computed tomography. TAE and sham embolization were performed and the results were confirmed by MRI 3 weeks after inoculation. We investigated the EGFL7 expression of the two groups at 6h and 3 days after intervention by means of immunohistochemistry and Western blotting. Results: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demonstrated that the levels of EGFL7 protein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TAE-treated tumor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t 6 hours (P=0.031) and 3 days (P=0.020) after intervention. Meanwhile, the relative EGFL7 protein detected in TAE group also up-regulated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t 6 hours (P=0.020) and 3 days (P=0.024) after intervention. Conclusions: This study reveals an increase of EGFL7 expression in rabbit VX2 liver tumors after TAE. The role of EGFL7 in HCC, especially its biological behavior after TAE, needs further investigation.

가토에서 VX2 단일간암모델과 CT 소견 (Solitary Hepatic VX2 Tumor Model and Its CT Findings in Rabbits)

  • 이해범;이기창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3권4권
    • /
    • pp.388-392
    • /
    • 2006
  • 80두의 가토 간에 $1{\sim}2mm^3$ 크기의 VX2 종양세포를 직접 주입하여 단일간암모델을 만들고, 종양이식 후1주, 2주, 3주째에 CT촬영을 실시하여 생성된 종양의 크기와 조영 양상을 관찰하고 조직병리학적검사로 종양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였다. 80두 중 66두(82.5%)에서 단일 종양이 만들어졌다. 나머지 12두 중 1두에서 간외종앙의 생성, 그리고 다른 1두에서 육아종성 종괴가 관찰되었으며, 4두는 폐사하였다. 나머지 8두에서는 종양이 생성되지 않았다. 조영 CT에서 관찰된 종양의 크기는 1주, 2주 그리고 3주째에 각각 $7.4{\times}6.3,\;14.2{\times}10.8,\;16.2{\times}12.6cm$로 측정되었다. 모양은 둥글거나 타원형이었으며, 동맥기에서 중앙에 저감쇠와 변연에 조영증강을 보였으며, 문맥기에는 저감쇠를 나타내었다. 종양조직의 이식은 균질한 단일종양모델을 만드는데 매우 유용하고 적합한 방법이며, 조영 CT 촬영술은 간종양 진단 및 다양한 치료방법 적용 후 추적검사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적으로 유발시킨 VX2 동물모델에서의 Mn-phthalocyanine과 Mangafodipir trisodium의 비교영상 (The Comparative Imaging Study on Mn-phthalocyanine and Mangafodipir trisodium in Experimental VX2 Animal Model)

  • 박현정;고성민;김용선;장용민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8권1호
    • /
    • pp.32-41
    • /
    • 2004
  • 목적 : MnPC의 자기이완성질을 살펴보고, 토끼의 간에 이식한 VX2 암종을 이용해 자기공명영상에서 간의 조영증강형태를 관찰하고자하였다. 또한 간세포 특이성 조영제 사용 시와 비교하여 MnPC의 조직특이성 조영제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조영제 합성시 상자성 원소의 배위자로 phthalocyanine(PC)를 선택하였다. 2.01 g (5.2 mmol)의 phthalocyanine을 0.37g(1.4 mmol)의 manganese chloride와 $310^{\circ}C$에서 36시간동안 반응시킨 후 혼합물을 크로마토그래피 (CHC13: CH3OH=98:2, volume ratio)로 정제하여 2000 달톤의 분자량을 갖는 1.04 g $(46\%)$의 MnPC를 얻었다. 자기이완율은 MnPC를 0.1 mmol로 희석시켜 1.5 T (64 MHz)에서 측정하였다. VX2 암종은 토끼의 간실질 내에 종양세포 부유액을 주입해 실험적으로 유발시켰다. 모든 영상은 1.5 T MR장비에서 무릎관절코일을 사용하여 획득하였다. 본 연구에서 새로 개발된 거대분자 자기공명영상 조영제인 MnPC (4m-mol/kg)와 간세포 특이성 조영제인 Mn-DPDP (0.01 mmol/kg)가 사용되었으며 이들 조영제는 토끼의 이정맥을 통해 주입되었다. T1 강조영상은 스핀에코 (TR/TE=516/14 msec)와 고속다면회손경사회복 (TR/TE=80/4 m-sec, flip angle $60^{\circ}$)을 사용하여 얻었고, T2 강조영상의 획득을 위해서는 고속스핀에코 (TR/TE=1200/85 m-sec)를 사용하였다. 결과 MnPC의 1.5T (64MHz)에서의 자기이완율은 $R1=7.28\;mM^{-1}S^{-1}$, $R2=55.56\;mM^{-1}S^{-1}$ 이었고, MnPC의 높은 T2 자기이완율은 T2 강조영상에서의 정상 간실질의 신호강도를 감소시켜 간실질과 VX2 암종의 구분을 쉽게 하였다. MnPC 주입시 T1 강조영상에서는 간세포 특이성 조영제의 주입시보다 종양의 경계가 명확하였고, 조영증강은 주입후 최소한시간 이상 높게 유지되었다. 결론 : MnPC가 간세포로 흡수되어 담관으로 배설된다는 사실은 Mn-DPDP와 유사한 특성이며 이는 MnPC가 새로운 간특이성 조영제임을 확인시켜 준다. 또한 MnPC의 R2값이 기존의 조영제에 비해 매우 크다는 사실은 T1 조영제로서 뿐만 아니라 T2 조영제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사실들을 좀더 정확하게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임상적으로 사용되기 이전에 생체 내 그리고 시험관내 연구가 더 필요하며 다른 동물모델에서의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 PDF

항암 바이러스 치료제의 보고유전자로써 반딧불이 루시퍼레이즈의 인체 내 안전성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Safety of Firefly Luciferase in Human as a Transient Reporter Gene of Oncolytic Virotherapy)

  • 홍영미;윤웅희;이유라;김수지;다니엘 엔가비레;바드리낫 나라야나사미;메포세 사하 시헬레 오넬라;김명희;조은아;이보라;황태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11호
    • /
    • pp.1028-1036
    • /
    • 2021
  • 반딧불이 루시퍼레이즈(FLuc)는 유전자나 바이러스 치료제에 있어서 효과적인 표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하지만, 외래 물질이라는 것과 acyl-CoA와의 유사성으로 인하여 FLuc의 임상적 적용은 아직까지 이뤄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FLuc의 안전성을 보여주기 위한 목적으로 일련의 전임상 실험과 인체실험을 수행했다. 우선, FLuc의 세포막 투과성을 점검하기 위해 FLuc 유전자를 담지한 OTS-412와 FLuc 재조합 단백질을 이용했다. OTS-412를 다양한 세포에 감염시켰을 때, FLuc의 활성은 세포 용해물에서만 관찰됐고, 세포를 배양한 배지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재조합 단백질 역시 세포막을 투과하지 못했다. 동물실험에서도 이와 유사한 결과가 관찰됐다. VX-2 종양세포에 처리된 토끼에 OTS-412를 처리했을 때, FLuc의 활성은 오직 종양조직에서만 발견됐고, 다른 장기나 혈액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FLuc의 인체 반응성을 조사하기 위해 각기 다른 장기에서 유래된 세포 용해물을 FLuc에 반응시켰으나 아무런 활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FLuc 재조합 단백질을 인체에 정맥주사 방식으로 투여했다. FLuc는 혈액에서 20에서 30분의 반감기를 가지고 분해됐으며, 주사한지 1시간 30분 후에는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혈장 샘플이 지방산과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FLuc의 접종 전과 후의 결과를 비교했을 때에도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FLuc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를 종합적으로 불식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