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S reduction

검색결과 492건 처리시간 0.025초

최종 하수처리장 슬러지의 추가감량을 위한 슬러지 전처리 연구 (Studies of Pretreatment Mehtods for Additional Reduction of Sewage Sludge)

  • 김석구;김자현;임준혁;이제근;이태윤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10호
    • /
    • pp.15-21
    • /
    • 2014
  • 본 연구는 부산시 남부하수처리장의 탈수슬러지를 이용하여 전처리에 따른 분해 및 혐기성 상태에서의 최종 메탄 및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평가하기 위해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BMP) 실험을 실시하였다. 초기 1 % TS 농도의 탈수슬러지를 각각 30분 동안 5M NaOH를 이용하여 알칼리 전처리를 실시하였고 초음파 전처리는 30분 동안 조사밀도를 1.5 W/mL로 조절하여 실시하였으며 알칼리와 초음파 전처리를 병합한 동시 전처리를 시행하였다. 그에 따라 SCOD 값이 초기 33.1 mg/L에서 최대 494 mg/L로 증가하였다. 또한 BMP 실험을 실시한 결과 31.2~84.2 mL $CH_4/g$ VS, 9.2~13.5 mL $CO_2/g$ VS로 나타났다. 영양배지와 상등액 슬러지를 주입여부에 따른 BMP 실험을 실시한 결과 각각 73.1, 73.8 mL $CH_4/g$ VS, 11.2, 13.6 mL $CO_2/g$ VS으로 나타났으며 모델값과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BMP 실험을 종료 후 VS를 분석한 결과 초기 62 %에서 33.8~45.4 %로 감소하였다. 알칼리, 초음파 전처리보다는 동시 전처리가 메탄발생량과 SCOD 값을 증가시켰으며 VS 감소율이 증가하여 혐기성 소화율이 향상되었다.

Methylene Blue의 전기화학적 환원과 계면활성제 및 고분자 전해질의 영향 (Electrochemical Reduction of Methylene Blue and the Effect of Surfactants and Poly-Electrolytes)

  • 김일광;정승일;천현자
    • 대한화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57-65
    • /
    • 1995
  • $1.0{\times}10^{-2}M\; KNO_3$ 수용액에서 methylene blue(MB)의 전기화학적 환원을 직류 및 펄스차이 폴라로그래피, 순환 전압-전류법, 조절 전위 전기량법으로 조사하였다. MB의 전극환원은 처음 가역파(-0.18 volts vs. Ag/AgCl)에서 2전자 이동의 CE 반응기구로 진행되었다. Methylene blue는 정지된 수은전극에 강하게 흡착되었으며, 조절 전위 전기분해로 환원된 생성물은 공기중에서 빠르게 자동산화되어 본래의 MB로 돌아왔다. pH 변화에 따른 순환 전압-전류 그림과 폴라로그램의 해석을 근거로 하여 CE 반응기구를 제시하였다.

  • PDF

아세토니트릴 용매 중에서 Copper-1-(2-pyridylazo)-2-naphthol 착물의 전기화학적 성질 (Electrochemical Behaviors of Copper-1-(2-pyridylazo)-2-naphthol Complex in Acetonitrile)

  • 배준웅;오상우;송희봉;박태명
    • 대한화학회지
    • /
    • 제37권10호
    • /
    • pp.888-894
    • /
    • 1993
  • 아세토니트릴 용액 중에서 copper-1-(2-pyridylazo)-2-naphthol(Cu-PAN) 착물의 전기화학적 성질을 순환 전압전류법, 직류 폴라로그래프법, 정전위 전기분해법 및 UV-Vis 분광광도법으로 조사하였다. 아세토니트릴 용액 중에서 Cu-PAN 착물은 3개의 환원파를 보였다. 환원파의 환원전위는 각각 -1.27 V, -1.64 V 와 -2.08 V vs. Ag/AgNO$_3$(AN)였다. 각 환원단계에 관여하는 전자수는 일정전위 전기분해법으로 구하였으며, 전기분해한 전해 생성물의 UV-Vis Spectrum으로부터 전해 생성물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부터 아세토니트릴 용액 중에서 Cu-PAN 착물의 환원 반응기구를 제안하였다.

  • PDF

Polarographic Behavior of Oxovanadium (IV) Complex of Mercaptopyridine N-Oxide

  • Shim, Yoon-Bo;Choi, Sung-Nak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8권4호
    • /
    • pp.225-230
    • /
    • 1987
  • The redox properties of 2-mercaptopyridine N-oxide (mpno) and its oxovanadium complex, $VO (mpno)_2$ have been studied by the use of polarography and cyclic voltammetry. The radical anion of mpno is generated in acetone and is adsorbed to the electrode to form an adsorption wave at -0.21 V vs Ag/AgCl electrode. The normal wave appeared at -0.50 V is attributed to the formation of radical anion. The $VO (mpno)_2$ exhibits one oxidation wave at +0.57 V, and two reduction waves at -1.07 V and -1.76 V vs. Ag/AgCl electrode; the oxidation is fully reversible one-electron process ($VO (mpno)_2\;{\leftrightarrow}\;VO(mpno)_2^+ + e).$ The reduction wave at -1.07 V is quasireversible and is arised from the formation of $VO (mpno)_2^-.$ The second reduction wave at -1.76 V is irreversible and this reduction process consists of two one-electron steps. The sulfur containing ligands seem to enhance the stability of lower oxidation state of vanadium while the oxygen or nitrogen donor of the ligands stabilize the higher oxidation state of vanadium when comparisons are made among several oxovanadium complexes.

폴리피롤 막으로 변성시킨 유리질 탄소 및 백금 전극에서 Cr(Ⅵ) 이온의 정량 (Determination of Cr(Ⅵ) by Glassy Carbon and Platinum Electrodes Modified With Polypyrrole Film)

  • 유광식;우상범;정지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07-411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유리질 탄소전극과 백금 전극의 표면에 폴리피롤 막을 도포 시킨 PPy/GC 및 PPy/Pt 변성전극을 제조하고, 이들 변성 전극들을 작업전극으로 구성한 3-전극 장치를 이용하여 Cr(VI)의 정량분석을 시도하였다. 변성전극들은 +1.0V∼-1.0V를 50 mV/sec로 전위를 걸어주어 순환 전압 전류법으로 쉽게 제조할 수 있었으며, 26회 반복 주사함으로써 연구에 필요한 막의 두께를 조절하였다. PPy/GC 변성전극에서 Cr(VI)의 환원 반응은 +0.6V∼-0.5V(vs. Ag/AgCl)까지 넓은 범위에서 환원되는 경향을 보였으며,-0.25V(vs.Ag/AgCl)의 전위에서 최대 환원 봉우리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이 전위에서 검량곡선을 조사한 결과, 0.1 ppm에서 60.0 ppm의 농도범위에서 기울기가 1.75 mA/ppm이고, 상관계수가 0.998인 좋은 직선관계를 가졌다. PPy/Pt 변성전극에서도 Cr(VI)의 환원 거동은 PPy/GC 변성전극과 유사하였으며, 검량곡선은 1.0 ppm∼60.0ppm의 농도범위에서 직선관계를 가졌다. 이때의 기울기와 상관계수는 각각 0.5 mA/ppm 및 0.923이었다. 그러나 선택성은 PPy/GC 변성전극이 약 3 배정도 우수하였다. PPy/GC 변성전극에서 Cu(II), As(III), pb(II) 및 Cd(II)등은 환원 경향을 보이지 않았으므로, Cr(VI)의 정량분석에는 방해하지 않았다.

  • PDF

슬러지 저감을 위한 혐기성 소화조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Improvement in an Anaerobic Digester for Sludge Reduction)

  • 김홍석;이태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516-522
    • /
    • 2011
  • 국내에서 운영중인 혐기성 소화조의 가장 큰 문제점은 낮은 소화효율이며, 이에 대한 원인은 낮은 유기물 투입농도, 소화조내의 낮은 교반 효율, 잉여슬러지의 난분해성 등이다. 본 연구에서는 혐기성 소화설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기존의 혐기성 소화 시스템에 농축 및 교반, 오존 가용화 설비를 설치하고, 기존의 2단 소화조에서 단단소화조로 개선함으로서 소화효율 및 바이오가스의 발생량을 증대 시키고자 하였다. 이러한 개선을 통하여 농축시스템의 슬러지 농도는 2.6배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농축효율은 3.0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계식 교반으로 사공간이 줄어들었음을 확인하였으며, 혐기성 소화조 내 소화가스 발생량도 평균 $193.8m^3$/일에서 평균 $386.0m^3$/일로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소화효율은 평균 47.6%에서 54.6%로 향상되어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VS제거당 소화가스 발생량은 평균 $0.30Nm^3/kg$ VS removal에서 $0.42Nm^3/kg$ VS removal로 증대되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음극 벗김 전류법을 이용한 비소(III) 분석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Arsenic(III) by the Cathodic Stripping Voltammetry)

  • 윤영자;이형숙;고원배;김정희
    • 분석과학
    • /
    • 제5권4호
    • /
    • pp.417-423
    • /
    • 1992
  • 음극 벗김 전압전류법을 이용하여 비소(III)의 벗김 봉우리에 대한 금속 이온의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비소(III)의 환원 벗김 봉우리 이론적인 전위값이 -0.84V(vs. Ag/AgCl)인데 비하여, 0.1N- 염산을 사용하였을 때 전위값은 -0.79V(vs. Ag/AgCl)이고, 여기에 구리(II)를 10배 첨가하였을 때 -0.84V로써 이론적인 전위값과 일치하였으며 전류값은 $0.86{\mu}A$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비소(III)의 벗김 봉우리를 증가시키는 금속이온으로 납(II), 구리(II) 등이 있었고, 특히 구리(II)이온이 비소(III)의 벗김 봉우리를 가장 많이 증가시켰다.

  • PDF

中溫및 高溫嫌氣性消化에 의한 豚糞處理 (Mesophilic and Thermophilic Anaerobic Digestion of Swine Manure)

  • Kim, Nam Cheon;Min, Kyung Sok;Chung, Paul Gene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07-117
    • /
    • 1984
  • This study was made to evaluate the temperature effects on anaerobic digestion of swine manure. A laboratory single-stage, high-rate, anaerobic digester was operated at 10, 20 and 30 day's HRT at the temperature of 35$\circ$C or 55$\circ$C. The conclusion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 COD and BOD reductions were similar in both the mesophilic and thermophilic digestions. (2) With thermophilic digestion, volatile reduction increased to 67%, as compared with 60% of mesophilic digestion. With thermophilic digestion, the pH increased to 8.5 as compared with 8.0 of mesophilic digestion. With thermophilic digestion, the concentration of volatile acid increased to 763 mg/l, as compared with 250 mg/l of mesophilic digestion. While the gas was produced by mesophilic digestion at 0.74m$^3$/kg of VS fed, it increased to 0.87 m$^3$/kg VS fed by thermophilic digestion. The refractory VS was about 25% of the infiuent VS.

  • PDF

The effect of aromatherapy on pain in individuals with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Mi-Kyoung Cho;Mi Young Kim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6권2호
    • /
    • pp.71-82
    • /
    • 2024
  • Purpose: This study systematically analyzed the impact of aromatherapy on pain in individuals with diabetes. Methods: A search was performed in seven electronic databases based on the PICO-SD (Population,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Study Design) framework. The population (P) of interest was individuals with diabetes, and the intervention (I) included aromatherapy targeting pain reduction. The comparison (C) consisted of control groups that received no intervention, another intervention, or usual care. The outcome (O) measured was pain. The quality of the selected literature was assessed using the Joanna Briggs Institute checklist. In MIX 2.0 Pro, the pooled overall effect of pain was calculated using Hedge's g and a random-effects model, and heterogeneity was calculated using the Q statistic and Higgin's I2 values. Meta-regression and exclusion sensitivity analyses were performed. Results: Five articles and seven studies were included, showing a significant pooled overall effect of aromatherapy on diabetes-related pain (Hedge's g = -1.83, 95% CI: -2.76 to -0.91). Meta-regression demonstrated that effectiveness in reducing pain was associated with studies conducted in West Asia, those with IRB approval, and those receiving funding. Additionally, interventions involving subjects under 60, lavender oil (vs. turpentine oil or blended oils), massage therapy (vs. topical application), fewer hours per session, and more repeated measurements (vs. pre/post measurements) were associated with pain reduction. Conclusion: Aromatherapy, especially with lavender oil, effectively manages diabetes-related pain. Short-duration massage application is also effective. A personalized selection of oil type and application method could optimize therapeutic outcomes for individuals with diabetes.

코발트(III)-Triethanolamine 錯鹽의 폴라로그라프波에 對하여 (The Polarographic Wave of Co (III)-Triethanolamine Complex)

  • 김황암
    • 대한화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4-37
    • /
    • 1963
  • Cobalt(Ⅲ) ion gives two step waves with $E_{1/2}$-0.1V(?)(vs.S.C.E.) and $E_{1/2}$-1.37V(vs. S.C.E.) from a base electrolyte consisting of 0.1 M TEA+sodium borate+0.0002% gelatin. The first wave results from the reduction Co(Ⅲ) to Co(Ⅱ). The second wave corresponding to the reduction Co(Ⅱ) to Co(0) and this wave is diffusion controlled. The diffusion current constant of the second wave is 2.7. Under these-conditions, diffusion current of the second wave is proportional to the concentration of Co (Ⅱ) in the range of $10^{-3}{\sim}10^{-4}$ 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