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R Game

검색결과 234건 처리시간 0.022초

모션플랫폼과 VR HMD를 사용하는 VR콘텐츠의 제작환경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 방안 (A Study on the Problem and Improvement of VR Content Using Motion Platform and VR HMD)

  • 권호종;성정환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15-24
    • /
    • 2019
  • VR HMD와 모션플랫폼을 이용한 VR콘텐츠는 모션플랫폼의 움직임 제어가 중요하며 모션플랫폼의 제어는 고전적인 워시아웃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한다. 하지만 고전적인 워시아웃 알고리즘을 사용할 때 모션플랫폼의 구성과 물리엔진사용의 제한 등으로 제약사항이 생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약사항이 발생하는 가상환경에서 가속도를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컨트롤 오브젝트를 사용해 고전적인 워시아웃 알고리즘을 보완하는 새로운 제작 방법을 설계했다. 총 3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새로운 콘텐츠 제작 방법이 기존의 고전적인 워시아웃 알고리즘만을 사용한 것과 비교해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실험조사를 하였고, 그 결과 현실감, 몰입감, 승차감 측면에서 유의한 차이로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A Study on Applying Proxemics to Camera Position in VR Animation

  • Qu, Lin;Yun, Tae-So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3권3호
    • /
    • pp.73-83
    • /
    • 2021
  •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virtual reality (VR) has become increasingly popular, being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aviation, education, medical science, culture, art, and entertainment. This technology with great potential has changed the way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and the way people live and entertain. In the field of animation, virtual reality also brings a new viewing form and immersive experience. The paper demonstrates the production of VR animation and then discusses camera's position in VR animation. Where to place the VR camera to bring a comfortable viewing experience. The paper, with the proxemics as its theoretical framework, proposes the hypothesis about the camera position. Then the hypothesis is verified by a series of experiments in animation to discuss the correlation between camera position and proxemics theory.

Does VR exergame increase a user's physical performance? : An Exploratory Study Design

  • Kim, Gyoung Mo;Jeong, Eui Jun;Kho, Khwang Hyun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147-156
    • /
    • 2021
  • In this paper, we planned to see the positive effects of the immersive virtual environment. In particular, the positive effect of presence on physical performance was explored. A total of 25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or this experiment and his/her physical performance was measured by Electromyography (EMG) while they were exercising (rowing), and presence was measured by a self-reported measure.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xperience either a) Virtual Reality (VR) or b) non-VR (2D screen) condition when they played the exergame. The result showed that 1)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representation mode and presence and 2) the higher level of presence reinforced the user's physical performance. The limitation of the study and future study were also discussed.

시뮬레이터 기반 VR 콘텐츠 산업의 규제 혁신 방안 (Regulatory Reform Solution of VR Contents Industry based on Simulator)

  • 송승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2083-208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 등장한 4차 산업혁명과 융합신산업의 핵심인 VR 콘텐츠 산업의 문제점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전문가 심층면담을 통해 VR 콘텐츠 산업 발전을 가로막는 요소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VR 시뮬레이터의 콘텐츠 변경 시 심의 간소화, 게임산업법 내에 'VR 시뮬레이터' 규제 법령을 신설, 투입금액 다양화 등이었다. 심의 간소화는 신규 플랫폼 사업을 위한 기초를 제공한다. 신규법령 신설은 VR 콘텐츠의 특성을 적절히 반영하고 기존 법규에 의한 불필요한 규제를 피하기 위해서이다. 다양한 투입방식의 도입은 신규산업에 대한 적극적인 시장 확대를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 법제도가 신규산업의 발전에 방해를 주는 요소를 살펴보고 그에 대한 대안을 제시함으로 써 신규 산업을 안전한 생태계에서 발전할 토양을 마련하는데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물리적인 힘과 스코어 캐릭터를 반영한 립모션 체험형 가상현실 게임개발 (The Development of Realistic Virtual Reality Game with Leap Motion Reflected Physical strength and Score Characters)

  • 박강래;이병석;김성동;진성아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69-78
    • /
    • 2016
  • 게임기술의 발전에 따라 콘텐츠 분야에서 현실적인 그래픽 기술과 자유로운 인터페이스와 실감형 콘텐츠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다. 인터페이스 방식은 CLI에서 GUI로 GUI을 지나 NUI로 발전되고 있다. NUI는 기존의 인터페이스와는 달리 인간의 자연스런 행동을 직관적이고 실감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이다. 본 논문에서는 NUI 인터페이스 가운데 립 모션을 이용한 권투 시뮬레이션 게임을 제안하고자 한다. 개발된 VR 헤드셋 게임을 통하여 실감형 3D 실험환경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주먹)가 내부의 목표물 (샌드백)을 타격하게 되면, 물리적 특성인 목표물의 충격 각도의 변화에 따라 점수를 계산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Controlling Position of Virtual Reality Contents with Mouth-Wind and Acceleration Sensor

  • Kim, Jong-Hy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57-63
    • /
    • 2019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framework to control VR(Virtual reality) contents in real time using user's mouth-wind and acceleration sensor of mobile device. In VR, user interaction technology is important, but various user interface methods is still lacking. Most of the interaction technologies are hand touch screen touch or motion recognition. We propose a new interface technology that can interact with VR contents in real time using user's mouth-wind method with acceleration sensor. The direction of the mouth-wind is determined using the angle and posi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mobile device, and the control position is adjusted using the acceleration sensor of the mobile device. Noise included in the size of the mouth wind is refined using a simple average filter. In order to demonstrate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technology, we show the result of interacting with contents in game and simulation in real time by applying control position and mouth-wind external force to the game.

슈팅게임과 화학을 접목시킨 융합체험형 VR 스코어게임 콘텐츠 개발 (Development of VR Score Game Contents that Combine Shooting Game and Chemistry)

  • 정준영;조민화;최규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112-1114
    • /
    • 2020
  • 일상 속에서 발생하는 화학 반응과 실제로 실험하기에는 위험한 화학 반응을 안전하게 체험해보며 게임을 하면서 부가적으로 화학 반응에 대한 지식을 얻어갈 수 있는 가상현실(VR) 게임 콘텐츠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VR 이라는 장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기존 PC 및 모바일 등의 게임 장르에서는 부족할 수 있는 공간감과 임장감을 채움으로써 현장감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VR 컨트롤러의 모멘트 변화에 따른 최소 무게 차이 인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inimum Weight Difference Threshold in a VR Controller with Moment Variation)

  • 백미선;김헌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13-22
    • /
    • 2020
  • 본 연구는 가상 물체의 무게감을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몰입감 있는 가상현실 경험을 제공하는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무게감 전달의 수단으로 컨트롤러 내 무게 중심의 위치를 변화시키면 모멘트의 크기가 변화하는 개념을 활용하였다. 사용자가 무게차를 인지하는 무게 중심의 최소이동거리를 알아보기 위해 무게 중심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실험 장치를 제작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시작 자극의 위치와 무관하게 약 5cm의 무게부 거리 차에서 두 물체 간의 무게 차이를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이러한 실험 결과를 반영하여 모멘트 변화에 따른 무게 인지의 최소이동거리 역치 값을 찾는 실험을 수행할 것이다.

VR스포츠를 활용한 사용자 피트니스 관리시스템의 개발 방법 (An Approach to Develop Fitness Management System Using VR Sports)

  • 이유정;문미경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978-984
    • /
    • 2018
  • 현재 가상현실 기술은 오락이나 게임 분야 등에서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인터넷 및 웹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하여 전문용 프로그램의 개발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헬스케어에 대한 패러다임이 치료에서 예방으로 바뀌면서 미리 잘 관리를 하여 아프지 않게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VR스포츠 게임을 활용하여 운동을 진행한 후 사용자가 운동량을 직접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내용에 대해 기술한다. 본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좀 더 재미있게 운동을 하게 되고, 분석된 운동량을 제시받음으로써 스스로 피트니스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해준다.

메타버스 환경에 적합한 게임 플랫폼과 디바이스 몰입요소 분석 - 한·중·일 인기게임 비교를 통해서 - (A Study on the Analysis and Device Immersion of Game Platforms Optimized for Metabus Environment - Comparison of popular games in Korea, China, and Japan -)

  • 임상국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852-865
    • /
    • 2022
  • During the COVID-19 pandemic, gam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eople's lives. Numerous online users flocked to the game platform, and brand companies started using online games to promote their products. Medical institutions have also implemented policies for healthy physical activity through online games. In order to attract more global game users, research on immersion in games is also very important to prevent users from leaving the platfor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ommon immersion elements of popular games by country and study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changing devices. In this paper, representative popular games of Korea, China, and Japan, which are recently called the dark horse of the game industry, are classified by devices of mobile, online PCs, and VR games and analyzed using immersion analysis tools proposed by researcher. Next, the representative metaverse games of the Web 3.0 era were analyzed,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immersion analysis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and proposed as game immersion elements suitable for metabus ga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