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VMS 자동제어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Predictive and Strategic VMS Control to Cope with Overreaction and Concentration Problem (VMS의 과도반응과 통행집중 문제를 고려한 예측적인 운영전략)

  • Park, Eun-Mi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2 no.4 s.75
    • /
    • pp.107-116
    • /
    • 2004
  • VMS를 통한 정보제공에는 과도반응과 통행집중의 위험부담이 따른다. 즉 대안경로간에 이루어져야 할 통행배분을 정확히 유도할 수 있는 VMS 메시지란 존재치 않는다. VMS 메시지에 의해 특정 경로가 교통상황이 타 경로에 비해 좋다고 정보가 주어질 때, 그 정보에 대한 과도반응과 그 특정경로에 대한 통행집중 문제가 발생하여 정보제공에 의해 오히려 상황이 악화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안경로간의 물리적 특성 측면에서 우열이 있는 가상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하여, 과도반응과 통행집중 문제를 극복하고 대안경로간의 적절한 통행배분을 달성하기 위한 VMS 운영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VMS정보제공 결과, 즉 VMS를 통해 상황이 좋다고 알려준 경로에 통행이 집중할 경우 문제가 될 것인가 여부를 미리 예측해 보고, 문제가 될 경우 정보제공 전략을 수정하도록 하는, 피드백 제어에 예측적 방식을 접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1. 교통량, 속도 등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음을 전제로 한다. 2. 실시간 제어에는 모니터링 결과와 이에 근거한 정보제공전략의 시행사이에는 시간차가 존재한다. 이러한 시간차이로 인하여 단기예측이 필요하고, 이를 수행하는 모듈이 있다. 3. 정보제공 결과로 특정 경로에 과부하가 걸리는지 여부를 예측하기 위하여, 그 판단기준으로 그 경로의 실제 용량 산정이 필요하다. 이에 혼잡의 시공간적 전개에 따라 변하는 동적 용량을 산정하는 모듈이 있다. 4. 대안 경로간 통행배분 목표치를 수리적으로 산정할 수는 있으나, 이를 자동적으로 이루어 주는 메시지는 존재하지 않는다. 아울러 현실적으로 예측 불가능한 외란을 모형에 의존하여 예측하기 보다는, 계속적인 피드백 레귤레이터(Regulator) 작동에 의해 보정하여 목표를 달성해 가는 자동제어 기능을 갖고 있다.

Conceptual Design of Automatic Control Algorithm for VMSs (VMS 자동제어 알고리즘 설계)

  • 박은미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7
    • /
    • pp.177-183
    • /
    • 2002
  • Current state-of-the-art of VMS control is based upon simple knowledge-based inference engine with message set and each message's priority. And R&Ds of the VMS control are focused on the accurate detection and estimation of traffic condition of the subject roadways. However VMS display itself cannot achieve a desirable traffic allocation among alternative routes in the network In this context, VMS display strategy is the most crucial part in the VMS control. VMS itself has several limitations in its nature. It is generally known that VMS causes overreaction and concentration problems, which may be more serious in urban network than highway network because diversion should be more easily made in urban network. A feedback control algorithm is proposed in this paper to address the above-mentioned issues. It is generally true that feedback control approach requires low computational effort and is less sensitive to models inaccuracy and disturbance uncertainties. Major features of the proposed algorithm are as follows: Firstly, a regulator is designed to attain system optimal traffic allocation among alternative routes for each VMS in the network. Secondly, strategic messages should be prepared to realize the desirable traffic allocation, that is, output of the above regulator. VMS display strategy module is designed in this context. To evaluate Probable control benefit and to detect logical errors of the Proposed feedback algorithm, a offline simulation test is performed using real network in Daejon, Korea.

Design of VMS Fuzzy Feedback Controller for VMS Routing Information (대안경로 안내용 VMS 퍼지 피드백 제어기법)

  • Park, Eun-Mi;O, Hyeon-Seon;Yang, Tae-Gy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9 no.6
    • /
    • pp.129-136
    • /
    • 2011
  • Variable Message Signs have been used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current traffic conditions. However, it is considered more important to achieve optimal traffic allocation among the alternative routes by strategic VMS information provision. Fuzzy control is very effective and efficient to deal with such systems that are too complex and uncertain to build mathematical models. In this paper, a fuzzy feedback controller for VMS is proposed, whose goal is to achieve the travel time equilibrium between the two alternative routes. The performance of the suggested controller is implemented and examined using MATLAB/Simulink. More robust controller applicable to a real highway network is suggested for the further research.

Building overview of Power IT field test plant (전력IT 실증플랜트 구축 현황)

  • Lee, Sung-Woo;Ha, Bok-Nam;Seo, In-Yong;Jang, Moon-Jong;NamKoong, W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481-483
    • /
    • 2011
  • 전력IT 성과물인 지능형송전, 능동형텔레메트리스, 디지털 변전, 배전지능화 시스템의 데이터를 CIM 기반의 국제 표준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취득할 SPG 주장치인 PGOMS를 구축하였다. 또한 전력계통의 안정도를 평가하는 위기관리시스템, 계통전압이 정격 범위내에서 유지되도록 발전기 출력 등을 자동제어하는 VMS(Voltage Management System)시스템. 송전선로용 볼센서, 변전소 주변압기 열화감시용 센서, GIS(Gas Insulation Switchgear) 감시용 센서 등을 사용하여 전력기기의 열화감시를 온라인 감시하는 능동형텔레메트릭스 시스템. 변전소내의 보호계전기와 제어부, 통신부가 통합된 (IED: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기반의 디지털 변전시스템. 변전소 SCADA와 배전자동화를 하나의 시스템에서 처리하고, 분산전원을 통합 운영할 수 있는 배전지능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