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HF maritime communication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6초

설문분석을 통한 어선 비어선간 충돌사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llision between Fishing Vessel and non Fishing Vessel using Questionnaire Analysis)

  • 박문갑;전영우;이유원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3호
    • /
    • pp.716-723
    • /
    • 2013
  • The postal or group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inquire into the cause of collision between fishing vessel and non-fishing vessel targeting fishing vessel personnel(FVP), non-NFVP and a person involved in a marine accident. As a result, we could verify the root cause of collision, a negligence of lookout which noted overwork for FVP and careless for non-FVP. The cause of collision by inappropriate avoid action was poor communications for FVP and non-FVP. To reduce collision, we need to be trained to take a sharp lookout, a radio communication by VHF and the collision avoidance actions by early and substantial action to keep well clear. The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for the reduction of collision and victims.

해상환경에서 IEEE 802.16e의 RSSI 및 CINR 측정 분석 (Measurement Analysis of RSSI and CINR of IEEE 802.16e in an Ocean Environment)

  • 정성훈;김병찬;양규식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916-925
    • /
    • 2009
  • IT 선박 융합의 중심인 e-navigation의 전략 개발에 있어서 4S(Ship to Ship, Ship to Shore) 통신은 e-navigation의 핵심 기술로써 선박에 탑재된 GMDSS를 만족하는 통신 장비들과 육상의 다양한 통신 인프라까지 통합하고 표준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선박 통신환경인 저속의 HF/MF/VHF 통신 매체 등을 대체하거나 보완할 수 있는 기술로 국제표준으로 채택된 국내 기술인 IEEE 802.16e를 해상환경에 적용시키고자 중계국이 설치된 육상의 해안국과 선박에 탑재한 관련 장비간의 다양한 실험 조건을 설정하고, 통신 신호에 대한 진단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RSSI 및 CINR을 측정하였다. 이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해상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신호의 최대 통달거리와 전송 데이터의 처리율을 통한 통신 가용성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연근해 해상의 이동 중인 선박의 시속 80km 속도에서도 약 20km까지 고속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송 수신할 수 있어 해상환경에서도 충분히 활용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 PDF

차세대 해상디지털통신기술 ASM2.0을 이용한 여객선 MSP서비스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realization of the passenger ship's MSP service system using ASM2.0 : focusing on captain's mandatory reporting items)

  • 김길용;김도연;이서정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871-882
    • /
    • 2015
  • AIS-ASM은 AIS의 고유 기능인 선박의 위치 정보 외에 다양한 해양안전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 중 하나로, 2004년부터 관련 규정을 정비하여 진행 중이다. 하지만 AIS 메시지 사용량 증가에 따라 기존 AIS 채널에서 ASM을 사용하는 것은 기존의 선박위치정보 전송 등의 안전메시지 처리 부분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고된 바 있고, 기존 AIS의 낮은 통신속도로는 원활한 MSP 서비스가 어렵기 때문에 ITU-R은 VHF 대역을 이용하는 해상디지털 무선통신 권고서를 제정하고 개정작업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차세대 해상디지털 통신 기술인 ASM2.0을 활용하여 여객선의 출항에서 입항까지 안전항해를 위해 필요한 국내 여객선 선장의 의무보고 내용을 조사하고 업무 부하를 줄이기 위해 자동화 할 수 있는 부분을 자동화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국내 여객선 운항 관련 법규를 조사하여 상호 교환해야 하는 정보를 도출하고 국제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AIS-ASM 메시지 분석을 통해 ASM2.0에서 활용하기 위한 신규 프로토콜을 설계하고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였다.

서남해 연안해역의 항행 위해요소에 관한 분석 (Analysis on the Navigational Dangerous Elements in Southwestern Coastal Area of Korea)

  • 백원선;김옥석;정재용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19-225
    • /
    • 2008
  • 해양사고가 빈번하고 교통밀도가 높은 서남해 연안해역에 통항선박의 안전과 항만 입출항 선박의 지원을 위해 해상교통안전관리체 제가 2006년 7월부터 시행되고 있다. 본 해역에서 RADAR와 AIS의 정보를 이용하여 해상교통환경평가를 위해 통항량을 조사하고, 최근 5년간 해양사고의 분포 경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동 해역에서 자연환경의 영향, 어장현황 및 설문조사 분석을 통해 연안해역 항행위해요소를 알아보았다. 최근 5년간 대상해역에서 상선의 해양사고는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어선의 경우는 반대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6월에서 8월 사이의 짚은 안개와 어로행위 및 VHF 청취의무를 이행하지 않는 선박으로 인해 항행위해요소로 나타났다.

  • PDF

철도통합무선망(LTE-R)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이중화 구축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Redundancy for Stable Operation of Integrated Railway Network (LTE-R))

  • 표승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51-58
    • /
    • 2019
  • LTE 시스템은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참사이후 정부는 재난 상황에 신속한 대처를 위하여 통합된 재난안전 통신망을 조속히 구축 하기로 결정하고 8대분야 333개 기관이 통합된 재난안전통신망을 구축 하기로 하였다(미래창조 과학부 재난망 기술 방식 선정완료). 주파수는 700MHz 대역으로 철도통합무선망인 LTE-R, 연근해통신망인 LTE-M을 통합 운용 하기로 하였다. 철도 무선통합망인 LTE-R과 관련 국토 교통부는 현재 음성통신 위주의 통신시스템인 VHF, TRS을 사용하고 있는 국내 철도통신시스템이 앞으로는 첨단화 지능화 되어가는 철도서비스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고속에서 대용량 정보전송이 가능한 LTE-R이 구축됨에 따라 무선기반 열차제어 등 첨단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지고 철도안전 향상이 가능 하다. 2018년 이후 개통되는 신규 노선과 개량시기가 도래하는 기존 노선에 총 1조 1천억 원을 투입하여 2027년까지 일반 고속철도의 모든 노선을 LTE-R로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초고속 해상무선통신망 무선설비와 해상업무용 무선설비간 전파 간섭 영향 및 대책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and Countermeasures for Radio Wave Interference between LTE-Maritime Radio Facilities and Maritime Radio Service Facilities)

  • 이정훈;문형진;김부영;심우성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19-120
    • /
    • 2021
  • 국내 어선의 해상업무용 무선설비 및 항해 장비는 IEC 60945를 준용한 KN60945_60533의 성능기준을 따르도록 규정하고 있다. LTE-M 송수신기는 해상업무용 무선설비에 포함되지 않아 기존 선박용 장비들과 동일한 기준을 적용받지 않기 때문에, 방사 방출 또는 전도 방출에 의한 간섭으로 기존 해상업무용 무선설비에 가청 소음을 발생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초고속해상무선통신망 무선설비를 소형선으로 확대보급하기 위해 선결 사항으로 위와 같은 간섭 영향의 원인을 분석하고 관련 대책을 검증 제안한다.

  • PDF

Implementation of Communication Network Utilizing AIS Technology

  • Park, Soo-Hong;Lee, Jong-Nyen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6권4호
    • /
    • pp.370-375
    • /
    • 2008
  •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IS) is recently introduced to the maritime navigation systems. It is aimed to increase safety of vessels at sea by exchanging information to coastal monitoring stations. This article presents a ship traffic monitoring system by using the AIS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using MS Visual C++. Then, the mobile Internet AIS introduced here is considerably improving and extending AIS functionalities compared to VHF AIS. When each ship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through the developed AIS system with her own client ID, all of her AIS information is surely sent to a server at her own base station by processing the information via the Internet network.

차세대 해상디지털통신기술 ASM2.0을 이용한 프로토콜 설계 및 실험 : 항해사의 의무보고 사항을 중심으로 (Design and experiment of the protocol using ASM2.0 : focusing on marine officers' mandatory reporting items)

  • 김길용;김도연;이서정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3-44
    • /
    • 2015
  • AIS-ASM은 AIS의 고유 기능인 선박의 위치 정보 외에 다양한 해양안전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 중 하나로, 2004년부터 관련 규정을 정비하여 진행 중이다. 본 연구는 여객선의 출항에서 입항까지 안전항해를 위해 필요한 국내 여객선 항해사의 의무보고 내용을 조사하고 업무 부하를 줄이기 위해 자동화 할 수 있는 부분을 차세대 해상디지털통신 기술인 ASM2.0을 활용하여 자동화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국내 여객선 운항 관련 법규를 조사하여 상호 교환해야하는 정보를 도출하고 국제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AIS-ASM 메시지 분석을 통해 ASM2.0에서 활용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설계하고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였다.

  • PDF

어선용 무선설비의 통합운용을 위한 LAN 기반 MFD 인터페이스 (LAN Based MFD Interface for Integrated Operation of Radio Facilities using Fishery Vessel)

  • 주인웅;강인숙;김정연;이성렬;최조천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496-503
    • /
    • 2022
  • 어업인의 감소와 단독조업 어선이 증가되는 현실에서, 어선의 해상안전을 위한 항해 및 무선설비의 의무장비는 계속 증가되어 왔다. 따라서 협소한 조타실에는 항해, 통신, 어로 등의 많은 장비가 설치되므로 혼잡한 상태이며, 다수의 모니터가 전면에 배치되므로 해상견시 능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된다. 문제의 해결책으로 디지털선택호출-초단파대무선설비(VHF-DSC), 선박자동 식별장치(AIS), 어선위치발신장치(V-Pass) 등의 무선설비를 LAN 기반으로 하나의 MFD(multi function display)에 통합하여 운용하는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였다. 또한, MFD와 무선설비들 간의 연동으로 데이터의 교환을 위하여 IEC61162-450의 UDP 패킷과 IEC61162 센텐스를 적용하였고, 장비와 기능별로 필요한 메시지를 추가로 정의하였다. 통합된 MFD 모니터는 메뉴방식으로 쉽게 조작되며, 해상안전 관련 조난 및 긴급통신 기능과 장비별 메시지전송 상태의 확인으로 인터페이스 성능을 평가하였다.

어선의 안전조업을 위한 항해통신 및 어탐기의 통합시스템 구현 (Realization on the Integrated System of Navigation Communication and Fish Finder for Safety Operation of Fishing Vessel)

  • 강인숙;주인웅;김정연;최조천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433-440
    • /
    • 2021
  • 어선의 경계소홀에 의한 해난사고는 어선 운용자의 고령화에 따른 문제와 어선에서 협소한 조타실 내부에 설치되는 항해, 통신 및 어로장비 등 여러 개의 단말기와 모니터는 조타실의 해상시야를 방해하는 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복수의 장비에 표시되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확인해야 하는 혼란으로 운용자의 정보인식 능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장비들을 간결하게 통합해야 한다는 요구가 제기되어 왔으며, 통합시스템은 전자해도, 통신 및 어군탐지 등으로 다양하게 어선에서 구비해야 하는 장비와 모니터를 하나로 통합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어선의 협소한 조타실에 설치되는 GPS 플로터, AIS, VHF- DSC, V-pass, 어군탐지기를 하나의 함체에 구성하고, 하나의 MFD (multi function display)에 의하여 운용을 간편화하는 과제이며, 항해중에 데이터통신을 자동운용하는 AIS 와 V-pass 모듈은 실증실험을 통하여 그 성능을 확인하였다. 어선에서 여러 개의 단말기를 통합하여 하나의 화면으로 모든 정보를 제공하고 운용하는 시스템은 해상안전과 어업환경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