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BN content

검색결과 268건 처리시간 0.039초

선상에서 처리한 창란젓갈 원료에 관한 연구 (Quality Analysis of Viscera of Alaska Pollack Treated on Vessel for Raw Materials of Changran-Jeotgal)

  • 이원동;장동석;고병호;이명숙;정은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71-276
    • /
    • 1997
  • 어획한 명태를 선상에서 가공할 때 부산물로 생산되는 선상창란을 대상으로 선도에 따른 제품의 관능검사와 제조과정 중의 수율을 조사함으로서 산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원료창란의 VBN판정기준을 설정하고 아울러 초기 VBN 값이 각기 다른 원료창란으로부터 젓갈숙성중의 VBN, pH, 그리고 생균수 변화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선상에서 처리한 원료창란은 창란젓갈 원료가 되는 위와 창자의 비율이 $72\%$로서 시료명태 내장중 위와 창자의 비율인 $18.5\%$보다 약 4배정도 높았다. 2. 동일한 시료명태에서 백색육과 내장의 VBN을 조사한 결과, 내장의 VBN이 백색육보다 최소 2배에서 최대 14.2배였고, 명태육과 내장의 선도 사이에는 일정한 상관 관계가 없었다. 3. 원료창란의 VBN이 $70{\pm}2mg\%$ 이하인 경우 위와 창자만을 정선한 수율은 $52\%$ 이상이었고, 제품의 관능 검사 결과도 양호하였다. 그러나$ VBN\;80{\pm}2mg\%$ 이상인 경우 정선창란의 수율은 $43\%$ 이하였으며 제품의 관능검사 결과도 불량하여 유통상품으로서 가치가 적었다. 4. 원료창란의 $VNB\;35{\pm}2mg\%$$70{\pm}2mg\%$인 시료를 60일 동안 숙성시키면서 VBN, pH 및 생균수 변화를 조사한 결과, VBN은 $50.06{\pm}2mg\%,\;87.71{\pm}2mg\%로서 두시료 모두 숙성초기보다 각각 $15.06mg{\%},\;17.51mg{\%}$ 증가하였으며, pH는 숙성초기에 7.12와 7.44이던 것이 각각 6.22, 6.15로 감소하였고, 생균수는 초기균수 $3.4{\times}10^3\;CFU/g$$3.4{\times}10^4\;CFU/g$에서 각각 $2.8{\times}10^4\;CFU/g$$9.8{\times}10^5\;CFU/g$$1\~1.5-log-unit$가 증가하였다.

  • PDF

멸치 Vinegar 절임시의 산도와 효소 활성 (ENZYME ACTIVITY AND ACIDITY IN VINEGAR PICKLING OF ANCHOVY)

  • 하봉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207-212
    • /
    • 1970
  • 멸치절임의 숙성 및 저장 중의 효소 활성 VBN, 세균수, 식염 함유량, 산도, amino-N pH 그리고 지방의 산가에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rotease 활성은 염수 염장 중에는 증가하고 절임 중에는 식초산의 영향으로 감소하고 이후 차차 거의 일정하게 변화하며 이에 따라 amino-N는 대개 증가하여 숙성한다. 2) Lipase 활성은 염수 염장 중에는 감소하며 vinegar의 첨가로 일단 증가하였다가 절임중에는 증감의 일정한 경향을 볼 수 없다. 그리고산도는 대개 증가하고 있다. 3) VBN와 NaCl 농도는 염수 염장 중에는 급격히 증가하고 절임중에서는 VBN는 완만한 증가를 하며 NaCl 농도는 기의 변화가 없었다. 4) 세균수는 염수 염장함으로써 줄었다가 다시 증가하며 절임함으로써 급격한 감소를 보이고 그 이후에는 일정한 수를 유지 하였다. 5) 절임 제품의 저장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육질의 산도가 $2\%$ 이상이 되도록 vinegar의 산도를 높혀 주어야한다. 6) 염수 염장하는 기간은 8일이 적합하였으며 VBN, 산도, amino-N, lipase 활성 및 관능 검사 성적을 보아서 절임한 후 47일까지 보장할 수 있고 32일 때가 가장 맛이 좋았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Biogenic Amines and Volatile Basic Nitrogen in Fresh Beef, Pork, and Chicken Meat

  • Min, J.S.;Lee, S.O.;Jang, A.;Jo, C.;Park, C.S.;Lee, 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8호
    • /
    • pp.1278-1284
    • /
    • 2007
  • Changes in the concentrations of biogenic amines (BAs) in fresh beef, pork, and chicken breast and leg were investigated during storag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nt of volatile basic nitrogen (VBN) and BAs was evaluated. As the storage period increased, the levels of putrescine (PUT), cadaverine (CAD) and tyramine (TYM) increased in all the meat samples, except for TYM in beef (p<0.001). The level of BAs in beef, pork and chicken changed but the extent of these changes was different among the kinds of BAs and meats. Measurement of the VBN content was confirmed as a good index for interpreting the specific BAs content in general, such as PUT, CAD, and TYM, as well as evaluating a meat's freshness during storage. However, the kinds of BAs which can be predicted from the VBN content varied in different meats (p<0.05).

Red wine을 첨가한 돈육 patty의 냉장 중 품질변화 (Changes in Quality of Pork Patty Containing Red Wine During Cold Storage)

  • 윤동화;문윤희;정인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91-96
    • /
    • 2007
  • 본 연구는 적포도주의 첨가가 돈육 patty의 냉장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적포도주를 첨가하지 않은 돈육 patty(대조구), 적포도주를 1% 첨가한 돈육 patty(RW-1), 적포도주를 3% 첨가한 돈육 patty(RW-3) 및 적포도주를 5% 첨가한 돈육 patty(RW-5)등 네 종류의 돈육 patty를 제조하고, 냉장 중 보수력, 표면색깔, pH, TBARS값, VBN 함량 및 총균수를 측정하였다. 보수력은 냉장 중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나, 적포도주의 첨가에 의한 영향은 없었다(p<0.05). 돈육 patty의 $L^*,\;a^*$$b^*$값은 적포도주 첨가에 의하여 낮아졌으며, 냉장 중 감소하는 경향이었다(p<0.05). pH는 냉장 기간이 경과하면서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적포도주를 3 및 5% 첨가한 돈육 patty가 대조구 및 적포도주 1% 첨가구보다 낮게 나타났다(p<0.05). TBARS값은 냉장 기간이 경과하면서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적포도주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TBARS값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p<0.05). 돈육 patty의 VBN함량은 냉장기간의 경과와 함께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총균수도 냉장기간에 의하여 증가하였다. 그러나 적포도주의 첨가가 VBN 함량과 총균수의 증가를 억제하는 경향이었다.

새우젓 및 찹쌀풀 첨가가 김치발효중 저급 질소화합물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used Shrimp and Cooked Glutinous Rice Flour on the Changes of Low Molecular Nitrogen Compounds Content during Kimchi Fermentation)

  • 정미은;이혜준;우순자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25-130
    • /
    • 1994
  • 본 연구는 새우젓(5%, 10%) 및 찹쌀풀(2.5%)의 첨가가 김치발효중 저급 질소화합물들의 함량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것이다. 김치를 $10^{\circ}C$에서 14일간 저장하면서 pH와 총산도, 유리당을 측정하여 김치의 발효정도를 조사하고, nitrite, dimethylamine(DMA)과 Volatile Basic Nitrogen(VBN) 함량을 정량하였다. 김치 발효초기의 아질산염 함량은 0.16-0.31 mg/kg의 수준을 보였으며, 그 중에서도 10% 새우젓 첨가시료들 $(S_2,\;GS_2)$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적숙기인 숙성 6일 이후에는 모든 시료들이 검출한계미만으로 흔적정도를 나타냈다. 발효가 진행되면서 시료중의 DMA 함량은 점차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젓갈첨가량이 높을 수록 많이 검출되었다. 새우젓+찹쌀죽 첨가구$(GS_1,\;GS_2)$는 새우젓만 첨가한 시료들$(S_1,\;S_2)$보다 더 많이 검출되었다. 새우젓을 첨가한 시료들의 DMA 함량은 발효초기에 0.03-1.2 mg/kg이었으며, 발효말기에는 1.6-2.26 mg/kg이었다. VBN 함량은 발효가 진행되면서 점점 증가하여 새우젓 첨가구들$(S_1,\;S_2)$ 또는 새우젓과 찹쌀풀을 첨가한 시료들$(GS_1,\;GS_2)$이 새우젓을 첨가하지 않은 시료들(C, G)보다 분명하게 높았으며, 새우젓 첨가구와 새우젓+찹쌀풀 첨가구는 유사한 양상을 보였으므로, 찹쌀풀을 첨가하는 것이 VBN 함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 PDF

미나리과 산채의 성분분석 및 육가공품에 대한 항산화 효과 - 참당귀.돌미나리.고수 - (Analysis of Umbelliferaeceae Wild Plant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Pork Meat Products Added with Wild Plants -Angelica gigas NAKAI., Ostericum sieboldii NAKAI. and Coriandrum sativum LINNAEUS.-)

  • 허수진;양미옥;조은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456-463
    • /
    • 2001
  •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3 kinds of Umbelliferaeceae Wild Plants (Angelica gigas NAKAI., Ostericum sieboldii NAKAI. and Coriandrum sativum LINNAEUS) were analyzed and used for making pork sausages as a functional ingredient. In the proximate composition, crude protein content was the highest in Ostericum sieboldii, 37.87%, and crude lipid and crude ash contents were the highest in Coriandrum sativum. Vitamin C was contained in Angelica gigas at 0.30mg%. but was not detected in Ostericum sieboldii and Coriandrum sativum. $\beta$-carotene content in Angelica gigas was the highest at 19.96%, but selenium was not detected in any of them. Total phenol content in Coriandrum sativum was the highest as 1107.43mg%. TBA and VBN values of all sausages with wild plants increased gradually during four-week-storage and were lower than those of control. Coriandrum sativum-added sausage had the lowest TBA as well as VBN valuew. During the four-week-storage at 4$\^{C}$, TBA value and VBN value were in the very safe range at all sample. Total phenol contents in sausages appeared to have more antioxidative activity than vitamin C, $\beta$-carotene and selenium, and consequently decreased the TBA values of sausages.

  • PDF

박신 진주담치 수송 중의 품질변화 (QUALITY ORANGES IN SHUCKED SEA MUSSEL MYTILUS EDULIS)

  • 이병호;이종갑;최호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08-212
    • /
    • 1975
  • The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um conditions for keeping quality of shucked sea mussel, Mytilus edulis, during marketing under commercial handling. As quality factors, water holding capacity, pH, VBN and TMA content were measured. Water holding capacity was obviously affected by salt content of the sea mussel meat. Water was released at the salinity above $2.8\%$ and absorbed below the value. In case of distilled water added instead salt solution, $23.3\%$ weight was gained. Absorbing or releasing water of sea mussel meat was also influenced by temperature showing either water gain or loss was greater at, $3^{\circ}C\;than\;25^{\circ}C$. Osmotic quilibrium by salt between meat and liquor was held within 4 hours. The pH value of fresh sea mussle marked 6.0 which is somewhat lower when compared with that of other shellfishes, and it gradually decreased to 5.0 during storage. VBN contents of fresh muscle and shell liquor were $2.1mg\%$ and $1mg\%$ respectively. The sour odour began to be detectable with $5.0mg\%$ of VBN content. TMA in the sea mussel was not detected.

  • PDF

고등어 신선도 유지를 위한 해수와 담수 얼음의 저장효과 (Storage Effects of Seawater and Tapwater Ice For Freshness of Mackerel(Scomber japonicus))

  • 이남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860-869
    • /
    • 2020
  • 본 연구는 근해에서 잡은 고등어의 신선도유지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해수 슬러리얼음(SS), 해수 큐브얼음(SC), 수돗물 슬러리얼음(TS), 수돗물 큐브얼음(TC)에 저장하며, 신선도분석을 시행하였다. 각 얼음 성분 중 세균수는 음용수 기준 이하였고, 암모니아성 질소는 해수 기준치인 11 mg/L를 초과했다. 민물에 비해 바닷물의 탁도가 심했다. 고등어의 일반성분 분석결과 수분 함량이 72.7%, 단백질 20.5%, 지질 5.25%, 회분 함량이 1.3%로 나타났다. 해수 슬러리 얼음은 수돗물 얼음과 비교하여 pH가 낮게 유지되었다. 저장 초기에는 모든 저장소에서 VBN 증가가 억제되었다. 전반적으로 해수빙이 담수 얼음보다 휘발성 염기질소(VBN) 값이 낮게 유지 되었다.

조미 명란(明卵)의 진공발효 및 저장중 이화학적 품질 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Quality during the Seasoned and Fermented Alaska Pollack Roe with Vacuum Fermentation)

  • 김정욱;이성갑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53-358
    • /
    • 2003
  •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젓갈류는 염도가 지나치게 높고 제조 방법이 단순하고 비위생적으로 생산되는 경우가 많아 고품질 젓갈 제품의 생산을 위해서는 새로운 공정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명란을 액 염지법으로 염도를 8%로 줄이고 진공 숙성기법으로 맛을 강화시켜 새로운 명란 젓갈을 제조하였다. 또한 저염 젓갈의 저장성을 높이기 위하여 진공 발효시켜 저장하면서 숙성 형태별 숙성 기간에 따른 이화학적 성분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명란 젓갈의 수분, pH 및 염도 변화는 숙성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큰 차이 없이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수분은 무진공(상압) 숙성시에 약간 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휘발성 염기 질소(VBN) 및 구성 아미노산의 함량은 숙성형태에 상관없이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약간씩 증가하였고 VBN의 함량이 상압숙성에서 높은 경향이었고 총 구성아미노산은 진공 숙성시에 더 많게 나타났다. 총균수 역시 어느 정도 증가했다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은 비슷하나 진공 숙성에 비해 상압 숙성시에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명란젓갈의 숙성시 진공처리는 전반적인 젓갈의 숙성을 지연시켜주며 젓갈의 품질 유지 기간에도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다시마 (Laminaria japonicus) Alginate의 가열가수분해에 따른 물리$\cdot$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7. 저분자 Alginate에 의한 랫드 분변의 성분 변화 (Studies on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Depolymerized Alginate from Sea tangle, Laminalia japonicus by Thermal Decomposition 7. Effects of Depolymerized Alginate on Fecal Composition in Rats)

  • 김육용;조영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84-90
    • /
    • 2001
  • 저분자 alginate인 HAG-10, HAG-50, HAG-100 및 alginate를 랫드에 장기간 섭취시켰을 때, 분변의 무게와 수분함량, 단백질과 지방함량, pH, VBN 및 단쇄지방산을 측정하여 소화생리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랫드분변의 무게와 수분함량의 변화는 alginate에서 가장 높은 증가를 보였고, 다음으로 HAG-100, HAG-50이었으며 HAG-10은 투여전과 거의 변화가 없었다. 분변의 단백질과 지방함량은 $5\%$ HAG-50에서 가장 높았고, 그 소화율은 $5\%$$10\%$ HAG-50에서 유의적으로 현저히 저하하였다. 분변의 pH는 $5\%$$10\%$ HAG-50에서 급격하게 저하하였으나, $10\%$ HAG-100과 alginate에서는 오히려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VBN은 $10\%$ HAG-10, HAG-50 모두 그리고 $1\%$$5\%$ HAG-100에서 뚜렷한 저하를 보였으나, $10\%$ HAG-100 및 $5\%$$10\%$ alginate는 반대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단쇄지방산의 변화는 $5\%$$10\%$ HAG-50에서 n-butyric acid가 증가하였고, propionic acid와 acetic acid는 반대로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HAG-50은 랫드 분변의 pH와 VBN을 현저히 저하시켰으며, 단쇄지방산중 n-butyric acid를 증가시키고 propionic acid와 acetic acid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므로, 랫드의 소화생리특성을 개선시키는 데 있어서 효과적인 저분자 alginate라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