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VAD(Voice Activity Detector)

Search Result 17,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Generalized Subspace Approach for Enhancing Speech Corrupted by Colored Noise Using Voice Activity Detector(VAD) (음성활동영역검색을 사용하는 유색잡음에 오염된 음성의 향상을 위한 일반화 부공간 접근)

  • Son, Kyung-Sik;Kim, Hyun-Ta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7 no.8
    • /
    • pp.1769-1776
    • /
    • 2013
  •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modified YL(Yi and Loizou) algorithm, using a VAD(voice activity detector) for enhancing speech corrupted by colored nois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has been compared to the YL algorithm and LS(Lee and Son, etc.) algorithm by computer simulation. The colored noises used in the experiment were a car noise and multi-talker babble from the AURORA data base and the used voices from the TIMIT data base. It is confirmed that the proposed algorithm shows better performance from SNR(signal to noise ratio) and SSD(speech spectral distortion) viewpoint over the previous two approach.

Research of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Voice Activity Detector in Vocoder (음성부호화기에서의 VAD 성능 향상 연구)

  • Min, So-Yeon;Lee, Kwang-Hyoung;Bae, Myung-Ji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7.11a
    • /
    • pp.194-197
    • /
    • 2007
  • .ITU-T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인터넷 폰과 화상회의를 목적으로 개발된 G.723.1 음성 부호화기는 잡음구간에서의 전송률을 낮추기 위한 방법으로 VAD(Voice Activity Detector)와 CNG(Comfort Noise Generator)를 사용하고 있다. 이중 VAD는 최종적으로 현재 프레임의 에너지 레벨을 비교하여 음성의 활동 유무를 판정하고 있다. 하지만 G.723.1 VAD에서는 보다 안정적인 판정을 위해 음성 활동 구간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묵음 구간에 대해서는 거의 대부분 음성이 활동하는 영역으로 판정을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묵음 구간에 대해 보다 정확한 판정을 통하여 기존의 방법에 비해 전송율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에서는 묵음구간을 길게 조절한 문장을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 약 47% 정도의 전송율을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MOS test 결과, 음질의 열하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 PDF

A Study on a Robust Voice Activity Detector Under the Noise Environment in the G,723.1 Vocoder (G.723.1 보코더에서 잡음환경에 강인한 음성활동구간 검출기에 관한 연구)

  • 이희원;장경아;배명진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1 no.2
    • /
    • pp.173-181
    • /
    • 2002
  • Generally the one of serious problems in Voice Activity Detection (VAD) is speech region detection in noise environment. Therefore, this paper propose the new method using energy, lsp varation. As a result of processing time and speech quality of the proposed algorithm, the processing time is reduced due to the accurate detection of inactive period, and there is almot no difference in the subjective quality test. As a result of bit rate, proposed algorithm measures the number of VAD=1 and the result shows predominant reduction of bit rate as SNR of noisy speech is low (about 5∼10 dB).

A Study on Performance of Voice Activity Detector in Vocoder (음성부호화기에서의 음성 활동 검출 장치 성능에 관한 연구)

  • Min, So-Yeon;Lee, Kwang-Hyoung;Kim, Jung-Jae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491-494
    • /
    • 2009
  • ITU-T에서 인터넷 폰과 화상회의에 사용하기 위하여 개발된 G.723.1 음성 부호화기는 잡음 구간에서의 전송률을 낮추기 위한 방법으로 VAD(Voice Activity Detector)와 CNG(Comfort Noise Generator)를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VAD는 최종적으로 현재 프레임의 에너지 레벨을 비교하여 음성의 활동 유무를 판정하고 있다. 하지만 G.723.1 VAD에서는 보다 안정적인 판정을 위해 음성 활동 구간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묵음 구간에 대해서는 거의 대부분 음성이 활동하는 영역으로 판정을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묵음 구간에 대해 보다 정확한 판정을 통하여 기존의 방법에 비해 전송율을 더욱 감소 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에서는 묵음구간을 길게 조절한 문장을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 약 50% 정도의 전송율을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MOS 테스트 결과, 음질의 열하는 발생하지 않았다.

  • PDF

A Study on Performance of Voice Activity Detector in Vocoder (이동통신부호화기에서의 음성 활동 검출 장치 성능에 관한 연구)

  • Lim, Ji-Su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05a
    • /
    • pp.241-244
    • /
    • 2010
  • ITU-T에서 인터넷 폰과 화상회의에 사용하기 위하여 개발된 G.723.1 음성 부호화기는 잡음 구간에서의 전송률을 낮추기 위한 방법으로 VAD(Voice Activity Detector)와 CNG(Comfort Noise Generator)를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VAD는 최종적으로 현재 프레임의 에너지 레벨을 비교하여 음성의 활동 유무를 판정하고 있다. 하지만 G.723.1 VAD에서는 보다 안정적인 판정을 위해 음성 활동 구간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묵음 구간에 대해서는 거의 대부분 음성이 활동하는 영역으로 판정을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묵음 구간에 대해 보다 정확한 판정을 통하여 기존의 방법에 비해 전송율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에서는 묵음구간을 길게 조절한 문장을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 약 50% 정도의 전송율을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MOS 테스트 결과, 음질의 열하는 발생하지 않았다.

  • PDF

Improvement of VAD Performance for the Reduction of the Bit Rate Under the Noise Environment in the G.723.1 (잡음 환경에서의 전송률 감소를 위한 G.723.1 음성활동 검출기 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 김정진;장경아;배명진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0 no.3
    • /
    • pp.42-47
    • /
    • 2001
  • This paper improves the performance of VAD (Voice Activity Detector) in G.723.1 Annex A 6.3kbps/5.3kbps dual rate speech coder, which is developed for Internet Phone and videoconferencing. The VAD decision is based on a three-level energy threshold. We evaluates for processing time, speech quality, and bit rate. The processing time is reduced due to the accuracy of VAD decision on the silence period. On subjective quality test there is almost no difference compared with the G.723.1. In order to measure the bit rate we count the active speech frame (VAD=1) and we can reduce more bit rate as silence periods are shown.

  • PDF

Statistical Voice Activity Defector Based on Signal Subspace Model (신호 준공간 모델에 기반한 통계적 음성 검출기)

  • Ryu, Kwang-Chun;Kim, Dong-Kook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7 no.7
    • /
    • pp.372-378
    • /
    • 2008
  • Voice activity detectors (VAD) are important in wireless communication and speech signal processing, In the conventional VAD methods, an expression for the likelihood ratio test (LRT) based on statistical models is derived in discrete Fourier transform (DFT) domain, Then, speech or noise is decided by comparing the value of the expression with a threshold, This paper presents a new statistical VAD method based on a signal subspace approach, The probabilistic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PCA) is employed to obtain a signal subspace model that incorporates probabilistic model of noisy signal to the signal subspace method, The proposed approach provides a novel decision rule based on LRT in the signal subspace domain,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ignal subspace model based VAD method outperforms those based on the widely used Gaussian distribution in DFT domain.

Frequency Domain Acoustic Echo Suppression Based on Boundary Condition (주파수 영역에서 구간조건을 이용한 음향학적 반향 제거)

  • Lee, Kyu-Ho;Chang, Joon-Hyuk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6 no.5
    • /
    • pp.162-166
    • /
    • 2009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approach of an acoustic echo cancellation (AEC) algorithm which is differently adopted in the relevant period condition by the suppression parameter of a parametric wiener filter (PWF). The PWF uses the suppression parameter to compensate uncertainty of acoustic echo signal estimation. The existing PWF method using the fixed suppression parameter derives the distortion of the near-end signal at the double-talk. To solve this problem, the boundary condition is devised using decision of the double-talk detection (DTD) algorithm and voice activity detector (VAD). The boundary condition makes it possible to trea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ase of the single-talk and double-talk.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proposed approach is found to be effective for acoustic echo cancellation using the boundary condition.

On a Research of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Voice Activity Detector in G.723.1 (G.723.1 음성 활동 검출 장치 성능 향상에 관한 연구)

  • JANG KyungA;KIM JeongJin;Chang YoungOh;HONG SeongHoon;BAE MyungJi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53-56
    • /
    • 1999
  • ITU-T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인터넷 폰과 화상회의를 목적으로 개발된 G.723.1 음성 부호화기는 잡음 구간에서의 전송률을 낮추기 위한 방법으로 VAD(Voice Activity Detector)와 CNG(Comfort Noise Generator)를 사용하고 있다 이중 VAD는 최종적으로 현재 프레임의 에너지 레벨을 비교하여 음성의 활동 유무를 판정하고 있다. 하지만 G.723.1 VAD에서는 보다 안정적인 판정을 위해 음성 활동 구간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묵음 구간에 대해서는 거의 대부분 음성이 활동하는 영역으로 판정을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묵음 구간에 대해 보다 정확한 판정을 통하여 기존의 방법에 비해 전송율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에서는 묵음구간을 길게 조절한 문장을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 평균 $46.8\%$ 정도의 전송율을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주관적인 음질평가의 경우 음질의 열하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 PDF

Improvement of VAD Performance using the LSP Variation in the G.723.1 (LSP변화도를 이용한 G-723.1 보코더의 VAD 성능향상에 관한 연구)

  • LEE HeeWon;NA Ducksu;BAE MyungJi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19-22
    • /
    • 2000
  • ITU-T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인터넷 폰과 화상회의를 목적으로 개발된 G.723.1 음성 부호화기는 잡음 구간에서의 전송률을 낮추기 위한 방법으로 VAD(Voice Activity Detector)와 CNG(Comfortable Noise Generator)를 사용하고 있다. 이중 VAD는 최종적으로 현재 프레임의 에너지 레벨을 비교하여 음성의 활동 유무를 판정하고 있다. 하지만 G.723.1 VAD에서는 보다 안정적인 판정을 위해 음성 활동 구간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묵음 구간에 대해서는 거의 대부분 음성이 활동하는 영역으로 판정을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묵음 구간에 대해 보다 정확한 판정을 통하여 기존의 방법에 비해 전송률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음성신호와 잡음신호의 LSP 파라미터 간격 정보를 이용하여 음성구간을 검출한다. 묵음구간을 길게 조절한 문장을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VAD=1로 판정한 프레임수가 약 $48.98\%$ 감소하였으며 주관적인 음질평가의 경우 음질의 열하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