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topian value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초

Storytelling Marketing Strategy based on Utopian Value

  • Kim, Jeong-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3호
    • /
    • pp.38-44
    • /
    • 2020
  • Storytelling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emotional marketing recently. Storytelling marketing emphasizes a unique story and mythical meaning of the product, rather than its practical function. This is a faithful reflection of what the Dream Society has proposed. In this article, we are researching the consumption value system, and analyze various cases focusing on a coffee advertisement. In particular, by delivering a story, we will concentrate on advertising that appeals to utopian values and discusses the actual impact that it brings. If we communicate utopian values to consumers through various stories, business effects will be maximized, which will strengthen the brand image. The originality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theory of consumption value system positively with the concept of storytelling. Therefore, we will draw conclusions as to which orientation is most ideal for storytelling in advertising. Understanding these business models will help you build an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for the Dream Society.

최소 거리척도를 이용한 대화형 다기준 그룹 의사결정 (An Interactive Multi-criteria Group Decision Making with the Minimum Distance Measure)

  • 조남웅;김재희;김승권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2-50
    • /
    • 2006
  • The multi-criteria group decision making (MCGDM) problem is to determine the best compromise solution in a set of competing alternatives that are evaluated under conflicting criteria by decision maker (DM)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ixed-integer programming (MIP) model to solve MCGDM. The existing method based on minimizing a distance measure such as Median Approach can not guarantee the best compromise solution because the element of median point vector is defined with respect to each criteria separately. However, by considering all criteria simultaneously, we generate median point that is better for locating the best compromise solution. We also utilize the concept of spatial dispersion index (SDI) to produce a threshold value, which is used as a guideline to choose either the Utopian Approach or the Median Approach. And we suggest using CBITP (Convex hull of individual maxima Based Interactive Tchebycheff Procedure) to provide DMs with various Pareto-optimal solutions so that DMs have broad range of selection.

공상 과학 영화에 나타난 복식이미지 (Images of Costumes in Science Fiction Movies)

  • 김민자
    • 복식
    • /
    • 제50권
    • /
    • pp.51-68
    • /
    • 2000
  •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common features of costume images in science-fiction (SF) movies that deal with current socio-cultural situations by examining their themes and tones about the future it can be generally concluded that costume images of SF movies are divided into two patterns : one inheriting traditional styles constructed on linear progress and the other based on dismantiling the tradition. this analysis is made through the research of actual cinematic contexts on the common features of multiple styles shaping the two patterns of costume image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The former is related with the future built up on the basis of belief in reasonal progress rooted in the Enlightenment reasonable plan for ideal social order and strong faith in uniformity. So It shows functional uniformity disregarding wasteful competitiveness in consumption and luxuriousness and clothing that has the aesthetic value of purity without emphasizing human body or sensuality are presented. On the other hand SF movies which show the uncertain costume image as the meaning of dismantling of tradition take up a rather critical view of assumption that society can move toward utopian future as it searches future images in the notion of hetero-topia by emphasizing pluralism consequently as for clothing diversity and uncertainty in post-modern style are presented destroying modernistic dichotomy and the assumption of Utopian clothing made in the notion of modern progressivism.

  • PDF

초기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유토피아적 가능성 : 미키 마우스에 관한 벤야민의 사유를 중심으로 (Utopianess in the Early Disney Animation: Focusing on Benjamin's thought on Mickey Mouse)

  • 최정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142-148
    • /
    • 2010
  • 20세기 초 근대성의 모순이 첨예하게 드러나고 테크놀로지의 발달에 따라 문자문화에서 시각문화로의 패러다임이 전환하는 사회 속에서 벤야민은 당대가 직면한 사회 역사적인 문제들의 해결책을 실천적으로 제시하고자 했다. 문화산업을 비판한 아도르노와는 대조적으로 그는 새로운 테크놀로지의 발달에 의해 등장한 대중예술매체에서 기존의 고정된 가치질서들을 전복시키고 현실을 변혁하는 가능성을 발견한다. 그리고 이러한 유토피아적 가능성은 비록 파편적이기는 하나 디즈니 초기 애니메이션에 대한 그의 사유에서 나타난다. 본 논문은 벤야민이 사유했던 유토피아적 가능성이 초기 디즈니 애니메이션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고찰한다.

De Stijl 에 있어서의 실내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Interior Design in De Stijl)

  • 한영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8호
    • /
    • pp.16-22
    • /
    • 1996
  • In terms of modern design history, De Stijl movement had continued as one of influential groups by 1931, and it attempted to pursue universial reality that combined painting and architecture, seeking a new style based on Neo-Plasticism and succeeded the nineteen century's Art and Craft movement and Art Nouveau. Especially, the De Stijl movement provided 1920's rationalism with new space pattern and its ideas greatly affected the Bauhaus movement such as Walter Gropius or Mies van der Rohe. De Stijl's utopian idea that claimed on the conformity of art and life contributed modernism movement combined with scientific and rational view, and even now experts its lasting power with the concept of time and space free from simple cube in modern architecture and interior design. The tue meaning of the De Stijl movements is that is sis the basis of general ideas, and the change of modern architecture is based on this modern styled foundation. It may be the unchangeable fact like Russell Hitchocok says, "The architectural style and pattern which everyone admitts its importance has the value of living."

  • PDF

로맨스, 여성, 가부장제의 함수관계에 대한 독자반응비평 -제니스 A. 래드웨이의 『로맨스 읽기: 여성, 가부장제와 대중문학』을 중심으로 (Reader-Response Criticism about the Functional relation of Romance, Women and Patriarchy -Based on Janice A. Radway's Reading the Romance: Women, Patriarchy and Popular Literature)

  • 이정옥
    • 대중서사연구
    • /
    • 제25권3호
    • /
    • pp.349-383
    • /
    • 2019
  • 본 논문은 제니스 래드웨이의 『로맨스 읽기: 여성, 가부장제와 대중문학』(1984)을 중심으로 로맨스 연구의 의미와 과제에 대해 고찰했다. 이 책은 문화연구와 문학연구를 조합하여 여성독자들의 로맨스 독서의 의미를 고찰하고 로맨스 텍스트를 분석한 점에서 지금까지 대표적인 로맨스 연구서로 손꼽히고 있다. 제니스 래드웨이는 여성독자공동체를 대상으로 로맨스 독서 행위의 의미를 실증적으로 고찰했다. 즉,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토대로 여성들의 로맨스 독서가 부담스러운 가부장적 일상으로부터 벗어나 탈출의 해방감을 추구하며 정서적 구원을 안겨주는 '보상문학'이라는 점을 밝혀냈다. 여성들이 선호하는 로맨스는 '만남 → 시련 → 회복 → 해피엔딩'이라는 4단계와 13개의 서사단위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항상 미성숙한 여주인공의 정체성 불안에서 출발하여 여성의 능력으로 배려 깊은 남자로 변모한 남자주인공에 의해 여성의 본래적 가치를 인정받는 행복한 결합으로 끝을 맺는 공식을 유지한다. 따라서 로맨스는 '여성 유토피아적 판타지'를 추구하며 여성을 가부장제와 화해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는 것이다. 당대 페미니스트 비평가들은 이런 주장에 대해 신랄하게 비판했다. 그러나 로맨스독서는 '여성적 읽기'이며, 로맨스는 여성의 삶과 가부장제의 함수관계를 그린 문학이라는 점을 공유한다. 다만 누구의 관점으로 볼 것인가, 여성적 유토피아의 판타지가 무엇인가에 관한 관점의 차이를 보일 뿐이다. 최근 들어 여성들의 삶의 조건과 여성독자들의 의식과 상상력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여성 유토피아적 판타지도 이전과 현격하게 달라지고 있다. 그럼에도 가부장적 체제 내 여성의 삶은 여전히 모순적이며, 여성들의 모험적 상상력은 서브컬쳐와 같은 대안공간에서 펼쳐지고 있다. 이런 점에서 로맨스란 무엇인가, 아울러 로맨스 연구의 의미와 과제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은 여전히 우리에게 남겨진 숙제이다.

묵가의 의리관(義利觀)과 겸애(兼愛) (Mohist's Idea of YiLi and Jianai)

  • 이태승;윤무학
    • 동양고전연구
    • /
    • 제67호
    • /
    • pp.297-325
    • /
    • 2017
  • 이 글은 묵가의 의리관과 그것을 기초로 한 "겸애"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묵가의 이념적 특성을 고찰한 것이다. 공자와 묵자를 비롯한 제자 백가에서 의리관이 주요 의제가 되기 이전에도 이미 이에 대한 논의가 있었으며, 그것은 대체로 "의"와 "리"를 본말(本末) 혹은 체용(體用) 관계로 파악하였다. 이러한 경향을 계승하고 개인의 도덕적 표준으로 설정한 것이 공자를 비롯한 유가의 입장이었다. 물론 유가의 눈높이는 당시의 위정자 혹은 지도자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이에 비해 묵가에서는 자기 집단의 구성원의 입장을 대변하여 개인보다는 집단과 사회의 공동의 이익 추구를 도모하였다. 따라서 유가에서 "의"를 "리"보다 중시한 데 비해, 묵가는 양자를 통일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묵가가 전국시대에 가장 왕성하게 활동할 수 있었던 결정적인 이유는 "하늘의 뜻"에 그것의 형이상학적 기반을 두었기 때문이다. 이에 수반하여 내부적으로 묵가의 의리관은 "겸애"를 비롯한 묵가의 핵심적인 주장에 그대로 반영되었다. 그것이 이른바 "겸상애, 교상리", 말하자면 "서로 사랑하는 것이 곧 서로 이롭게 해주는 일이다." 한편 묵가의 의리관, 나아가 겸애를 비롯한 십대 주장의 이념적 기반이 "하늘의 뜻"이었다는 것은 양날의 검이 되었다. 왜냐하면 그것은 당시 묵가 구성을 비롯한 노동자, 농민, 수공업자들의 눈높이에는 쉽게 수용될 수 있었지만, 진한(秦漢) 봉건제국이 성립되면서부터는 오히려 쇠망의 길로 들어서는 계기가 되었기 때문이다. 봉건제국에서는 개별집단으로의 묵가의 이념과 활동은 용납되기 어려웠다. 예컨대 "최고 통치자" 위에 "하늘"(상제)을 설정하는 방식은 정권의 정당성과 합리성에 결정적 제약이 되었을 것이다. 또한 묵가의 "절용", "절장", "비악" 등의 주장은 기득권으로서는 더욱 받아들이기 어려웠다. 따라서 이후 청대 서세동점(西勢東漸)에 이르기까지 묵가는 유가와 달리 학파로서의 활동은 거의 보이지 않게 되었다. 요컨대 역사적으로 묵가의 겸애를 비롯한 이념은 유토피아적 구상에 그치고 말았지만, 유가와 상대적으로 사회적 약자의 입장에서 상호간의 사랑과 배려, 아울러 상호 이익을 공유한다는 이념은 오늘날에도 음미할 만한 가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