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terine cervix cancer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22초

자궁경부암의 외부방사선 치료 성적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Treated with External Beam Irradiation Alone)

  • 김미숙;하성환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1권2호
    • /
    • pp.363-367
    • /
    • 1993
  • 자궁경부암의 방사선 치료중 외부방사선조사로만 치료한 환자에서 생존율, 합병증, 예후인자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1979년 3월부터 1988년 12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근치적 방사선 치료를 시행받은 총 650명의 자궁경부암 환자 중 외부방사선 조사만 시행한 42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방사선치료는 45 Gy내지 50 Gy의 전골반 조사후 3 내지 2 조사야를 사용한 축소야로 12 Gy에서 22 Gy의 추가조사를 시행하였다. 외부방사선조사만 시행한 이유는 심한 종양괴사로 인한 경우 25예, vaginal vault가 좁은 경우 5예, 외부방사선 치료 중 자궁강의 파열 1예등 강내조사용기구삽입이 불가능한 경우(poor geometry) 31명, 내과적 문제 5명, 고령 2명, 환자의 거부 2명, 장관 유착과 골반질환이 각각 1명이었다. FIGO병기 IB, IIA, IIB, IIIA, IIIB, IVA의 환자수는 각각 1명, 3명, 12명, 1명, 20명, 5명이었다. 병기 IIA, IIB, IIIB, IVA에 따른 5년 국소치유율은 각각 $66.7\%,\;38.9\%,\;27.0\%,\;20.0\%$이었고 5년 생존률은 각각 $66.7\%,\;36.4\%,\;32.8\%,\;25.0\%$으며 1명씩의 IB와 IIIA의 환자는 무병생존했다. 방사선 치료가 끝난 후 치료반응 판정에서 완전관해와 부분관해를 보인 환자군이 그렇지 않은 환자군보다 5년 국소치유율은 의미있게 높았으나 $(45.3\%\;vs\;17.8\%\;p=0.04)$ 5년 생존률의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43.5\%\;vs\;23.1\%\;p=0.17)$. 방사선 치료후 1개월에서 완전관해와 부분관해를 보인 환자군은 그렇지 않은 환자군보다 5년 국소치유율 $(53.8\%\;vs\;0\%\;p=0.0002)$과 5년 생존률$(51.3\%\;vs\;1.0\% \;p=0.001)$이 의미있게 높았다. Grade 2와 Grade 3의 합병증은 각각 $12\%$$10\%$였다. 진행된 경우일수록 합병증의 빈도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따라서 자궁경부암 환자의 방사선 치료에 가장 적합한 방법은 외부조사와 강내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나 강내 치료가 불가능한 환자군에 대해서는 적극적 수술방법의 도입을 고려해야하겠다.

  • PDF

자궁 경부암 처지 (Analysis of Radiotherapy Associated Factors in Stage IIb Carcinoma of Uterine Cervix)

  • 문창우;정태식;염하영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8권2호
    • /
    • pp.241-253
    • /
    • 1990
  • 1980.6.부터 1985.12.까지 고신의료원 치료방사선과에서 방사선 단독 치료한 병기 IIb 자궁경부암 환자 331명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생존율 치료 실패 및 합병증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사선 치료요소들을 분석조사 하였다. 5년 생존율과 무병생존율은 각각 $82.8{\%}$$82.4{\%}$였다. 방사선 치료 6주 경과에 분석한 골반내 관해율은 전골반 외부 조사후 강내조사한 예에서는 $98.6{\%}$였고 축소조사한 추가 치료한 예에서는 $71.6{\%}$였다. 전골반 방사선 조사후 완전관해를 보였던 예에서의 5년 생존율은 $98.9{\%}$였지만 국소치료실패 및 원격전이한 예에서는 $12.9{\%}$였다. Point A에 $7500{\~}8500$ cGy를 조사한 예에서는 $88.5{\%}$의 5년 생존율을 보였고 합병증은 $4.9{\%}$였지만 그 이상의 조사량에서는 생존율은 증가한지 않았고 합병증만 증가하였다. $18.7{\%}$(62예)에서 치료실패를 보였는데, 이중국소치료실패가 $72.6{\%}$(45예), 국소 및 골반임파 치료실패가 $3.2{\%}$(2예)였으며 원격전이 실패는 $24{\%}$(15)였다. 합병증은 $15.1{\%}$(50예)였는데 이중 $42{\%}$가 직장 출혈 및 협착이였다. Point A의 조사량은 8500 cGy가 합병증 유발의한계 조사량 이였으며 합병증의 $70{\%}$가 그 이상의 조사양에서 발생하였다. 직장 합병증은 6500 cGy이상에서 발생하였고 방광합병증은 7500 cGy이상에서 발생하였다. 사망의 원인으로는 국소치료실패로 인한 전신쇠약이 대다수였으며 전체 사망원인으로는 국소치료 실패로 인한 전신쇠약이 대다수였으며 전체 사망원인의 $73.7{\%}$였고 그외 폐, 간, 뼈 전이순이였으며 방사선합병증으로 인한 사망은 3예에 지나지 않았다. 상기와 같은 결과에 대한 결론으로 크기가 아주 큰 종양이나 Barrel형태의 종양의 방사선 치료에는 지금 많이 사용되고 있는 4000 cGy이상의 외부 조사량이 강내조사전에 골반관해를 성취하기 위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자궁경부암 방사선치료 후 혈중 Squamous Cell Carcinoma 항원치의 장기추적 결과 (Long Term Follow Up Results of Serum Squamous Cell Carcinoma Antigen Level in Uterine Cervix Cancer Treated by Radiotherapy)

  • 윤형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1권4호
    • /
    • pp.283-290
    • /
    • 2003
  • 목적: 자궁경부암의 방사선치료 후의 재발이나 병소의 지속을 발견하기 위한 종양표지자로서의 Squamous cell carcinoma (SCC) 항원의 의의를 장기간의 경과관찰을 통해서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0월부터 2001년 5월까지 단국대학병원 방사선종양학과에서 원발성 자궁경부암으로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 받은 환자 중 치료 전후에 혈중 SCC 항원치를 주기적으로 측정한 4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방사선치료 전에 측정한 SCC 항원치는 전체의 79.2$\%$에서 정상치 보다 높았다. 치료 후에 SCC 항원치는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치료 후 3개월 경에는 23.0$\%$에서 정상치 보다 높았다. 병소의 완전 관해가 이루어지고 치료실패가 일어나지 않은 경우는 6개월 이후의 장기적인 관찰 중 SCC 항원치는 결국 정상범위가 되었다. 치료 후의 장기적인 경과 관찰 중에 SCC 항원치가 재상승하여 지속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낸 경우는 치료실패를 아주 잘 예측하였으며 SCC 항원치의 재상승과 임상적 치료실패 확인 사이의 시간간격(lead time)의 평균은 4개월이었다 재발과 관련된 SCC 항원치의 지속적 상승의 민감도는 85.7$\%$, 특이도는 100.0$\%$이었다. 첫 번째 치료실패가 폐 전이로 나타났던 4예 중 3예에서는 SCC 항원치의 재상승이 일어나기 전에 흉부단순 촬영 소견에서 폐 전이가 나타났으나 그 외의 모든 임상적 재발 시에는 SCC 항원치의 재상승이 동반되거나 선행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치료 전 SCC 항원치가 높았던 경우에 치료 후 SCC 항원치의 지속적 상승은 치료 실패를 정확하게 예견하게 해 주는 좋은 예후인자였으며 SCC 항원치 상승과 치료실패 사이의 시간간격은 평균 4개월이었다. 그러나 치료 전 SCC 항원치가 높은 경우의 치료실패 양상 중, 폐 전이 초기와 같이 종양부피가 작은 경우는 처음에는 일시적으로 SCC항원치가 정상범위로 관찰될 수 있으므로 경과 관찰 시 반드시 흉부단순 촬영을 병행하여 폐 전이 여부를 함께 관찰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상처리를 이용한 자궁경부 세포진의 자동탐색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utomatic Detection of Uterine' Cervical Pap- Smears by Image Processing)

  • 은성경;박찬모;박화춘;윤소영;조민선;조수연;김성숙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5-22
    • /
    • 1994
  • Cancer of the cervix is the most common malignancy in women in developing countries and the second most common cancer in women throughout the world with approximately 500,000 new cases each year. Prevention of this large number of premature deaths among women is, therefore, a goal worthy of urgent and serious consideration. Due to its high diagnostic disagreement among pathologists and large quantity of specimen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automatic screening system measuring morphologic and densitometric features of the samples. Many research works have been published but most of them used Feulgen stained specimens which are not a usual staining method used in clinics. In this thesis, an automatic cancerous nucleus detection method essential to a screening system with papanicolaou stained specimens called Pap-smear is proposed which employs image processing techniques. It uses edge information to segment objects and morphologic as well as densitometric information to distinguish cancerous nuclei from dirts or normal nuclei. It has produced useful results in our study.

  • PDF

하복부 암성통증에 대한 하 장간막신경총 차단 (Inferior Mesenteric Plexus Block for Lower Abdominal Cancer Pain)

  • 오흥근;윤덕미;정소영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6권2호
    • /
    • pp.199-203
    • /
    • 1993
  • Inferior mesenteric plexus block(IMPB) is a nerve block for lower abdominal pain originating from GI tract of distal transverse colon to sigmoid colon and other polvic organ where the inferior mesenteric plexus contains visceral afferent fibers of that organ. We performed IMPB on two patients with lower abdominal pain. Case I: 61 year old female diagnosed with cancer of stomach and uterine cervix and carcinomatosis, experienced complete relief from pain for a period of 7 months after IMPB. Case II: male, 28 years old, who had contracted cancer of the descending colon with obstructive jaundice and pancreatitis had complained of pain in the whole of the abdominal area. IMPB was performed for lower abdominal pain. Seven days after, a celiac plexus block was also performed for upper abdominal pain. The patient complained of recurring pain in the left & upper lower abdomen 30 days after the IMPB. The intensity of the pain was visual analogue scale 4 and it was managed by continuous epidural block. Conclusion: It is our recommendation that IMPB is a reliable method for treatment of lower abdominal pain originating from malignant condition of GI tract from distal transverse colon to sigmoid colon and urinary bladder.

  • PDF

서울시 암 발생률의 10년간 추이: 1993-2002 (Ten Year Trend of Cancer Incidence in Seoul, Korea: 1993-2002)

  • 신명희;오현경;안윤옥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1권2호
    • /
    • pp.92-99
    • /
    • 2008
  • Objectives : Effective cancer prevention and control measures can only be done when dependable data on the cancer incidence is available. The Seoul Cancer Registry (SCR) was founded to provide valid, comparable and representative cancer incidence data for Koreans. We aimed to compare the cancer incidence in the first (1993-1997) and second term (1998-2002) of the SCR, and we analyzed the annual incidence trend during that 10 years. Methods : The SCR detects potential cancer cases through the Korean Central Cancer Registry (KCCR) data, the health insurance claims, the individual hospital's discharge records and the death certificates. About 87% of the SCR data is registered through the KCCR. The rest of the data is registered by SCR registrars who visit about $70{\sim}80$ mid-sized hospitals in Seoul to review and abstract the medical records of the potential cancer patients. Results: The total number of new cancer cases was higher in $1998{\sim}2002$ than in $1993{\sim}1997$ by 20.6% for men and 18.4% for women, respectively. The age-standardized rate (ASR) of total cancer per 100,000 increased 1% (from 295.4 to 298.3) for men and 5.1% (from 181.5 to 190.7) for women, between the two periods. The commonest cancer sites during 1998-2002 for men were stomach, liver, bronchus/lung, colorectum, bladder and prostate, and the commonest cancer sites for women were breast, stomach, colorectum, cervix uteri, thyroid and bronchus/lung. Compared with the ASRs in 1993, the ASRs in 2002 increased for colorectum (58.4% for men, 27.1% for women), prostate (81.5%), breast (58.3% for women), thyroid (141% for women), and bronchus/lung (15.4% for women). The ASRs for stomach (-18.7% for men, -20.7% for women) and uterine cervix cancer (-39.7%) had decreased. Conclusions : The cancer incidence is increasing in Seoul, Korea, especially for the colorectum and prostate for men, and for the breast, colorectum, bronchus/lung and thyroid for women.

자궁경부암 병기 IIB에서의 방사선 치료 성적: 생존율 및 예후인자, 치료 후 실패양상, 만성 합병증 (Radiotherapy Results of Uterine Cervix Cancer Stape IIB : Overall Survival, Prognostic factors, Patterns of Failure and Late Complications)

  • 김은석;최두호;허승재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6권1호
    • /
    • pp.51-61
    • /
    • 1998
  • 목적 : 2기말 이상의 진행된 병기의 자궁경부암은 근치적 수술이 불가능하거나 수술시 높은 국소 재발율을 보이기 때문에 방사선 치료가 주된 치료 방법으로 사용되며, 5년 생존율은 $60-65\%$정도 보고되고 있다. 이에 근치적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2기말 자궁경부암 환자의 생존율과 치료의 반응, 실패율, 부작용 등을 비교하기 위해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5년 8월부터 1994년 8월까지 순천향대학병원과 외부 병원에서 외부 전골반 방사선 치료를 시행후 순천향대학병원에서 고선량률 강내치료를 근치적 목적으로 시행하여 치료를 완료한 원발 자궁경부암 2기말 198명의 환자 중 추적 관찰이 가능했던 16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환자의 추적 관찰 기간은 3개월부터 141개월(평균 60개월)이였으며 최소 추적기간은 30개월이었고, 연령은 31세부터 78세(평균 연령은 55세)였다. 통계학적인 분석에서 생존율과 생존 곡선은 Kaplan-Meter 방법을 사용하였고 각 군의 비교는 log-rank test를 이용하였고 다변량 분석은 Cox-regression 방법을 사용하였다. 재발이나 합병증에 대한 영향은 chi-square와 두 가지 이상의 경우에는 linear trend 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 : 치료에 대한 반응은 모든 환자의 $84\%$에서 완전관해율을 보였고, 병리 조직학적으로 편평상피암에서 $86\%$의 완전 관해를 보인 반면 선암에서는 $60\%$의 완전관해율을 보였으며 통계학적 유의성이 있었다. 5년 생존율과 5년 무병 생존율은 각각 $62\%$$59\%$ 였고 예후 인자는 병소의 크기와 치료에 대한 반응이었으며, 병리학적 종류와 자궁 주변 침범의 정도는 경계의 의미가 있었다. 57명의 치료 실패가 있었으며 국소 재발은 2년 이내가 대부분 이었고 원격 전이는 3년 이후도 $29\%$를 보였다. 만성 합병증은 28명(16.8%) 38건에서 보였으며 발생률과 심한 정도가 총 선량과 1회당 선량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 국소적으로 진행된 자궁경부암은 종양의 크기와 치료에 대한 반응이 생존율과 국소재발에 가장 영향을 주는 요소이므로 방사선 치료를 할 때 종양의 크기에 따라 세분화하고 종양이 큰 경우 기존의 방법으로는 실패율이 비교적 높으므로 방사선 치료 기간의 단축이나 항암제의 추가 등을 고려하여 치료의 효과를 높여야 하며, 환자의 추적 관찰은 2년 이내 국소재발과 원격 전이가 많으므로 2년 이내는 적극적 추적 관찰의 중요성과 원격 전이의 경우 3년 이후 5년 이내에도 재발이 많기 때문에 종양표지자나 방사선학적 추적 관찰이 중요하다. 그리고 만성 합병증을 최소화하기 위해 적절한 질 packing 등으로 주위 조직의 방사선 피폭량을 줄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자궁 경부암의 방사선 치료계획에서 자기공명 영상을 이용한 조사야 교정 (Treatment Planning Correction Using MRI in the Radiotherapy of Cervical Cancer)

  • 신세원;조길호;박찬원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2권2호
    • /
    • pp.203-209
    • /
    • 1995
  • 본 연구는 최근에 개발되어 임상적으로 널리 이용되는 자기공명 영상상을 20명의 자궁 경부암 환자의 치료계획에 적용하여 전통적인 치료계획과 비교하여 아래의 결과를 얻었다. 1. 측방 조사야의 가로길이는 11 cm가 7명(35%)으로 가장 많았으며, 10 cm가 6명(30%), 9 cm와 12 cm가 각각 3명(15%)이었으며 13 cm는 1명(5%)이었다. 2. 측방 조사야의 중심 이동은 자궁의 크기나 골반의 횡경과는 무관하였다. 3. 자기공명 영상을 이용한 방사선치료계획을 한 결과 전통적인 방법으로 결정된 전골반 측방 조사야의 변경이 20명 중 5명(25%)에서 있었으므로 향후 자궁 경부암이나 자궁 체부암의 정확한 치료를 위해서는 자기공명 영상이 매우 중요함을 시사하였으며 향후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자기공명 영상을 이용한 방사선치료 성적을 전통적인 방법에 의한 성적과 비교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 PDF

통증치료실 환자의 임상통계적 고찰 (A Clinical Survey of Patients of Pain Clinic)

  • 장영호;이정구;전재규;정정길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8권1호
    • /
    • pp.103-109
    • /
    • 1995
  • The pain clinic in our institution opened on of June, 1984. since then until December 1994, we have had 1,741 patients who had been treated on an out-patient basis. The patients were analysed retrospectively according to their sex, age, and retrospective disease. There were 969 male(55.7%) and 772 female patients(44.3%) In the age distribution of the patients, the highest incidence was in the forties with 463 patients(26.6%). The second highest age incidence was in the thirties with 357 patients(20.5%), and the third highest age incidence was in the sixties with 341 patients(19.6%). In this figure, there were 203(26.6%) stomach cancer patients, 135(17.7%) cervix and uterine cencer patients, 81(10.6%) colorectal cancer patients, 74(9.7%) hepatoma patients, and 68 (8.9%) pancreatic cancer patients. The patients with non malignant chronic pain numbered 977(56.1%). In this figure, there were low back pain of 188(19.2%), sudden deafness of 17.5%, Buerger's disease of 63(6.5%) and postherpetic neuralgia of 56(5.7%).

  • PDF

Application of Modified Mupit for the Recurrent Vulva Cancer in Brachytherapy

  • 김종식;정천영;오동균;송기원;박영환
    • 대한방사선치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23-26
    • /
    • 2005
  • 재발한 vulva tumor의 근접 치료에 있어서 정상조직의 장애와 tumor volume내의 dose uniformity는 치료성적에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modified MUPIT applicator를 제작하여 modified MUPIT applicator의 적용에 대한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modified MUPIT applicator는 template, cylinder, interstitial needle로 구성되었으며, tumor volume을 정하기 위하여 CT를 시행하였다. CT image를 이용하여 interstitial needle의 삽입 위치를 확인하고 수술실에서 template 를 치료 부위에 고정을 시키고 cylinder를 vaginal cavity에 삽입한 후 interstitial needle을 tumor volume 내에 삽입 하였다. tumor volume내에서 interstitial needle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CT를 시행하였으며 orthogonal film을 이용하여 computer planning을 실시하였다. daily tumor dose는 600 cGy, BID로 3000 cGy를 조사하였으며 치료 시 rectal dose를 평가하기 위하여 TLD를 이용하여 anal verge를 기준으로 5개 지점에서 rectal dose를 측정하였다. rectal dose는 34.1 cGy, 57.1 cGy, 103.8 cGy, 162.7 cGy, 165.7 cGy로 측정되었으며 EBRT(whole pelvis RT), ICR과 overlap되는 지점은 34.1 cGy, 57.1 cGy로 매우 우수하게 평가되었다. 결론적으로 자체 제작한 modified MUPIT applicator 사용하여 interstitial brachytherapy를 시행함으로써 EBRT로 cover하기 어려운 환자의 tumor volume내에서 irregularity를 효율적으로 극복할 수 있었고 우수한 rectal dose 분포를 통하여 rectal complication의 발생 확률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