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ers' perceptions

검색결과 290건 처리시간 0.027초

공공도서관의 소비자건강정보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인식 조사연구 (An Analysis of Users' Perception of Providing CHI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 노영희;오상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45-7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함으로써 이용자들의 일반적인 건강정보 획득경로, 공공도서관에서 CHI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 이용자들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국내 공공도서관 이용자들의 90% 정도가 CHI 정보원을 획득하는 경로로 공공도서관을 크게 고려하고 있지 않았다. 2) 공공도서관에서 CHI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대해 60%의 이용자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3) 공공도서관에서 CHI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의 필요성에 대해, 이용자들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건강에 대한 관심도, 하루 인터넷 사용 시간 등이었다. 4) 공공도서관이 CHI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대해 사서와 이용자 간에 인식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공공도서관에서 CHI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대한 유의한 인식차이가 없이 두 집단 모두 공공도서관에서 CHI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높게 느끼고 있었다.

Beyond Categories: A Structural Analysis of the Social Representations of Information Users' Collective Perceptions on 'Relevance'

  • Ju, Boryung;O'Connor, Daniel O.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1권2호
    • /
    • pp.16-35
    • /
    • 2013
  • Relevance has a long history of scholarly investigation and discussion in information science. One of its notable concepts is that of 'user-based' relev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users construct their perspective on the concept of relevance; to analyze what the constituent elements (facets) of relevance are, in terms of core-periphery status;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constructions of two groups of users (information users vs. information professionals) as applied with a social representations theory perspective. Data were collected from 244 information users and 123 information professionals through use of a free word association method. Three methods were employed to analyze data: (1) content analysis was used to elicit 26 categories (facets) of the concept of relevance; (2) structural analysis of social representations was used to determine the core-periphery status of those facets in terms of coreness, sum of similarity, and weighted frequency; and, (3) maximum tree analysis was used to present and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Elicited categories in this study overlap with the ones from previous relevance studies, while the findings of a core-periphery analysis show that Topicality, User-needs, Reliability/Credibility, and Importance are configured as core concepts for the information user group, while Topicality, User-needs, Reliability/Credibility, and Currency are core concepts for the information professional group. Differences between the social representations of relevance revealed that Topicality was similar to User-needs and to Importance. Author is closely related to Title while Reliability/Credibility is linked with Currency. Easiness/Clarity is similar to Accuracy. Overall, information users and professionals function with a similar social collective of shared meanings for the concept of relevance. The overall findings identify the core and periphery concepts of relevance and their relationships in terms of coreness, similarity, and weighted frequency.

TAM 이론에서 심리학적요인들의 역할 (The Role of Psychological Factors Towards the TAM Model)

  • 손달호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14
    • /
    • 2001
  • New information technologies have often been treated as innovations for target users. Although users in recent times have had significantly more opportunities to be socialized with information technologies, the rapid pace of technology development usually means that every new technology represents a fairly major change over the previous one. Although a fairly significant body of research that empirically tests these alternative models and theories is now in existence, some questions with regard to the role of perceptions in innovation adoption remain unanswered. This paper reports the results of a field study examining adoption of an information technology innovation represented by an internet application. Moreover, the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an important moderating influence-personal innovativeness-on this adoption process. Finally, the study seeks to shed further light on the determinants of perceptions by examining the relative efficacy of mass media and interpersonal channels in facilitating perception development.

  • PDF

사회복지시설의 유형에 따른 안전관리의 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Management Differences According to Social Welfare Facility Type)

  • 신효진;공하성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5호
    • /
    • pp.89-97
    • /
    • 2014
  • 이 연구는 사회복지시설의 증가로 인하여 사회복지시설의 안전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사회복지시설의 안전관리인식, 안전관리실태, 시설구조 및 설비인식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총 12개 사회복지시설에 소속된 204명의 시설이용자와 시설관리운영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사회복지시설의 유형에 따른 의미 있는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평균차이검증(t-test)과 일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안전관리인식, 안전관리실태, 그리고 시설구조 및 설비인식에 있어서 시설관리운영직원의 인식수준이 시설이용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설유형에 따른 안전관리분석 결과는 건강가정지원센터 관리자 및 사용자의 안전 인식수준이 안전관리인식, 안전관리실태, 시설구조 및 설비인식의 모든 분야에 있어서 다른 사회복지시설의 응답자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셋째, 6~10년 미만 시설의 응답자 보다 10년 이상 된 시설 응답자의 안전관리인식과 시설구조 및 설비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건물높이에 따른 안전인식에 있어서는 3층과 4층이 1층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바닥면적과 안전인식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400m^2$ 미만 또는 $600m^2$ 이상의 바닥면적을 가진 응답자들의 안전인식이 400 이상${\sim}600m^2$ 미만 응답자들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배터리 표시의 모양 및 시간 비율이 사용자 체감시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ime ratios and shapes in battery indicator of mobile devices on users time perceptions)

  • 김헌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27-33
    • /
    • 2011
  • 배터리 수명은 휴대폰, MP3 플레이어, PMP와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품질에 있어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남은 배터리의 양은 셋 혹은 넷으로 균등하게 분할된 블록을 가진 '배터리 바' 아이콘에 의해 표시된다. 그러나 몇몇 휴대폰 제조사들은 균등분할 표시된 각 배터리 블록에 불균등하게 시간을 할당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제보다 배터리를 더 오래간다고 느끼도록 할 수 있다고 믿고 있다. 본 연구는 그러한 믿음에 대한 검증을 목적으로 두 번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첫 번째 실험은 배터리 바 블록마다의 불균등한 시간 비율이 배터리 수명에 대한 사용자들의 인지적 체감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었다. 두 번째 실험은 배터리 바 표시와 실제 시간 비율 사이의 디스플레이 양립성이 사용자의 시간 인지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실험 결과, 배터리가 얼마 남지 않음을 표시하는 (예. 배터리 바 한칸) 시간비율이 커지면 사용자는 배터리 수명이 더 짧다고 느끼는 경향이 있음을 보였다. 하지만 배터리가 가득 찬 경우를 표시하는 (예. 배터리 바가 모두 채워진 상태) 시간비율을 오래 유지하는 것은 사용자의 시간 인지에 어떤 영향도 주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배터리 바 표시설계에 대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 PDF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인식도 및 소비양식의 분석 (Analysis of Perceptions and Behaviors Associated with Health Functional Food Use: a cross-sectional survey)

  • 천부순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3-61
    • /
    • 2014
  • Background: The use of health functional food (HFF) is increasing and will continue to rise worldwide. Concerns about HFF-drug interactions are increasing as HFF are becoming more widely used. Therefore, awareness of consumers' perceptions and behaviors associated with HFF use may help health care providers improve their communications with patients.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haracteristics, perceptions, and behaviors associated with HFF use in South Korea. Method: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1th to October 7th, 2013. With the aid of Social Network Service (SNS) and google, the questionnaire was posted online on internet website targeting people aged 15 years or older so that self-reported data covering 4 domains were collected from 257 Koreans. Results: A total of 257 people responded the questionnaire. Among them, 81.3% reported experiences of HFF use. Female were more likely than male to use HFF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etween HFF users and non-users in relation to age, education, and household income. Higher level of education was associated with high-level perception of HFF function (OR 3.9, 95% CI 1.48, 10.1) and a positive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the maximum number of HFFs used concurrently and age of the respondents. Among the HFF users, 42.6% reported concurrent HFF-medication use. However 73.3% of them did not disclose their use to physician or pharmacist and only 30.2% were informed about potential drug-HFF interactions. Pharmacy was most commonly reported as the source from which the respondents were informed about potential interactions. Conclusion: Many people had used HFF and medications concurrently while not being informed about potential HFF-drug interactions. Pharmacists and physicians should be vigilant for risk of the interactions and actively determine whether the patient is using an HFF before prescribing and administrating medications.

학술정보포털에 대한 이용자만족 관련 인식에 관한 연구 - NAVER 전문정보의 학술자료 검색 기능을 중심으로 - (User Satisfaction related Perception of the Web Portal for Scholarly Information: Focused on the Academic Version of NAVER Search Engine)

  • 김양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255-279
    • /
    • 2017
  • 본 연구는 NAVER 전문정보의 학술자료 검색 기능에 대한 이용자 만족과 관련된 인식을 조사한 질적 연구이다. 다양한 전공영역의 학부 학생들이 자신의 전공영역과 관련된 학술목적의 정보요구를 기반으로 스스로 선정한 탐색주제를 가지고 검색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학술정보 전문포털에 대한 만족이나 불만족 등의 인식과 그 이유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졌다.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연구결과는 인터페이스, 검색메커니즘 및 검색결과 등 세 가지 범주에 속하는 다양한 평가 항목 별로 제시되었다. 본 연구의 제언점은 1) 이용자들의 기본적인 관련 용어에 대한 제한한 지식 등을 토대로 한 시스템 인터페이스 개선 및 도움말 기능의 확대, 2) 상이한 맥락에서 사용된 검색어를 토대로 한 검색결과가 이용자 불만족으로 연결됨에 따른 검색 메커니즘의 개선 필요성, 그리고 3) 이용자들의 기본 용어 이해 부족과 더불어 검색 메커니즘 및 탐색기능에 대한 미흡한 식견을 기반으로 한 이용자교육의 제공 필요성으로 요약된다.

Marketer-Generated Content Sharing Among Social Broadcasting Users: Effects of Intrinsic Motivations, Social Capital and the Moderating Role of Prevention Focus

  • Li, Yuhao;Wang, Kanliang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25권4호
    • /
    • pp.719-745
    • /
    • 2015
  • Social networking services provide individuals with an easy approach for exchanging messages with others based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owever, why individuals spread marketer-generated content (MGC) in their online social circles remains unclear. Therefore, we develop a theoretical model to examine how social capital, intrinsic motivations, personal perceptions, past behavior, and personal traits influence MGC sharing behavior of social media users in micro-blogging context. Data collected from 319 social networking users support the proposed model. The results from partial least squares analyses show that enjoyment, perceived control, and outcome expectations are significant indicators of individual's MGC sharing intention in the social broadcasting environment. Results also suggest that social capital, users' intention, and past behavior positively influence the MGC sharing behavior of users. Moreover, individual prevention pride exhibit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users' MGC sharing and its antecedents.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are discussed.

청소년의 도서관 인식 및 정보원 이용에 관한 조사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Adolescents' Perceptions of Library and their Information Use)

  • 이정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351-370
    • /
    • 2015
  • 본 연구는 청소년 이용자들의 도서관에 대한 인식과 정보이용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검색엔진 정보원과 비교한 도서관 정보원 인식, 정보원에 대한 평가 및 각 요소들의 연관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데이터는 설문조사로 수집,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청소년 집단은 검색엔진 정보원을 가장 선호하는 탐색도구로 사용하며 도서관은 책과 같은 인쇄자료의 접근을 주로 하며 도서관을 자주 이용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원 선택은 사용이 쉽거나 빨리 얻을 수 있는 정보원을 사용하고자 하였고 정보원 비교 등 각 요소들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상당히 많은 요소들 사이의 상호연관성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도서관의 OPAC 2.0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인식 조사 (A Survey of User Perceptions of OPAC 2.0 Service in Academic Library)

  • 이혜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79-201
    • /
    • 2012
  • 현재 대부분의 대학도서관에서는 Web 2.0을 기반으로 한 인터넷 검색엔진의 기능을 온라인목록에 적용시킨 OPAC 2.0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새로운 서비스 제공은 이용자들의 편의를 위해 필요한 것이며 그렇기 때문에 중요한 것은 각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들의 의견을 고려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 OPAC 2.0 이용자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OPAC 2.0 서비스(주요 기능)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이와 관련된 도서검색시 이용하게 되는 이용원 및 그 이유에 대하여 조사 및 분석하였다. 조사 및 분석결과 OPAC 2.0 서비스에 대하여 이용자들은 '정확하고 만족스러운 검색결과'를 원하고 있었으며 단순히 '화면이 익숙하고 열람 및 대출이 편리하다.'는 이유로 '소속 대학도서관 온라인목록'을 도서검색 정보원으로 이용하고 있었다. 이용자들의 의견이 고려된 OPAC 2.0 서비스의 개선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