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e of Facility

검색결과 1,743건 처리시간 0.023초

부산지역(釜山地域) 수출기업(輸出企業)의 전자상거래(電子商去來) 활용실태(活用實態)에 관한 고찰(考察) (A Study of the Conditions on applying Electronic Commerce to the Process of Export by the Firms in Pusan)

  • 오현순;윤광운
    • 통상정보연구
    • /
    • 제1권1호
    • /
    • pp.67-86
    • /
    • 1999
  • As we increase installing computers, traditional commerce by paper document is replaced by Electronic Commerce, paperless document commerce. Electronic Commerce proves to be an intermediary for increasing efficiency on work, which makes us use it more.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streamline local export by analyzing trade firms and manufacturers' using status of Electronic Commerce on work in Pusan. I sent questionnaires to 202 firms working on trade in Pusan to do survey. The sample of this study consists of 96 of them. I analyze using status of Electronic Commerce on work based on those data. The result shows that the more the firms install facility to be able for Electronic Commerce and the better they understand Electronic Commerce related laws, the more they select that on work. Generally The firms in Pusan rarely select Electronic Commerce on work and even acknowledges how much that is needed on work. Considering all of them, this study shows the method of streamlining local export by Electronic Commerce as follows; First, all kinds of Electronic Commerce such as trade related site in Internet should be systemized. Second, the laws on Electronic Commerce should be established in details. Third, workers on firms should be educated on Electronic Commerce. Forth, the firms should install the facility for Electronic Commerce, assist financially and make marketing strategy for selecting Electronic Commerce on each step in work. In conclusion, export in Pusan would be streamlined when the use of Electronic Commerce, effective intermediary, is motivated and we take that method to use on work properly.

  • PDF

노인여가복지시설 주변 다중이용시설에서의 감염병 확산 취약성 분석 모델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Model Study on the Vulnerability in the Infectious Disease Spread of Public-use Facilities neighboring Senior Leisure Welfare Facilities)

  • 김미정;권지훈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8권4호
    • /
    • pp.41-50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s to suggest an analysis model fi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uilding scale characteristics of Public-use facilities and infectious disease outbreaks around senior leisure welfare facilities and the features and their scopes where quarantine resources are to be concentrated. Methods: Reviewing previous studies found the user characteristics of senior leisure welfare facilities and scale characteristics of urban architectures. The data preprocessing was performed after collecting building data and infectious disease outbreak data in the analysis area. This study derived data for attributes of building size and frequency of infectious disease outbreaks in Public-use facilities around senior leisure welfare facilities. A computing algorithm was implement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building size characteristics and the infectious disease outbreak frequency as per the change of the spatial scop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uggested model wa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fection frequency and the number of senior leisure welfare facilities, the number of Public-use facilities, building area, total floor area, site area, height, building-to-land ratio, and floor area ratio varied as per the change of spatial scope. Second, correlation results varied between the infection frequency and the number of senior leisure welfare facilities, the number of Public-use facilities, building area, total floor area, site area, height, building-to-land ratio, and floor area ratio. Third, a negative correlation appeared in the analysis between the number of senior leisure welfare facilities and infection frequency. And positive correlations appeared noticeably in the study between the number of Public-use facilities, building area, total floor area, height, building-to-land ratio, and floor area ratio. Implications: This study can be used as primary data on the utilization of limited quarantine resources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blic-use facilities around the senior leisure welfare facilities and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measures are necessary considering the spatial scope of the analysis area and the size of buildings.

Quantification of the CO2 Footprint in Residential Construction

  • Don Mah;Juan D. Manrique;Haitao Yu;Mohamed Al-Hussein;Reza Nasseri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525-536
    • /
    • 2009
  • The current residential process adheres to a traditional method of construction involving wood framing on-site on poured concrete foundations which has been widely applied in North America. A conventional residential construction process can include seventeen distinct stages ranging from stake-out to pre-occupancy inspection. The current practice possesses short comings including high construction material wastes, long scheduling timelines, adverse weather conditions, poor quality, low efficiencies and negative environmental impacts from transportation and equipment use. Over CAN $5 billion dollars was spent in the construction sector during 2007 in Canada. Previous findings in CO2 emissions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of a conventional dwelling emphasize more than 45 tonnes of CO2 emissions. Hence, in Alberta alone during 2007, almost 50,000 residential units would release more than two million tonnes of CO2. These numbers demonstrate the economical and environmental impact in building construction and its relationship with CO2 emission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quantify the CO2 emissions from the current residential construction process in order to establish the baseline for CO2 emission reduction opportunities. The quantification collection methodology will be approached by identifying the seventeen various stages of construction and quantifying the contributions of CO2 from specific activities and their impacts of work for each stage. The approach of separating these into separate stages for collection will allow for independent opportunities for analysis from various independent contractors from the entire scope of work. The use of BIM will be implemented to efficiently quantify CO2 emissions. Based on the CO2 quantification baseline, emission reduction opportunities such as an industrialized construction process will be introduced that allows homebuilders to reduce the environmental and economical impact of home construction while enabling them to produce higher quality, more energy efficient homes in a safer and shorter period of time.

  • PDF

병원급식에 일반위생관리기준과 HACCP 제도 적용을 위한 시설ㆍ설비 위생관리 점검도구 개발 (Development of the Hospital Foodservice Facility Evaluation tools based on the General HACCP-based Sanitation Standards and Guidelines)

  • 이정숙;곽동경;강영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39-353
    • /
    • 2003
  • The rapid increase in food borne illness outbreaks in Korea has been one of the major threats to the Nation's Health. Foodservice establishments have been identified as the major place for these outbreaks, mainly due to the lack of sanitary management and sanitary facility management practices.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develop hospital foodservice facility evaluation tools, based on the general HACCP-based standards and guidelines, for hospital food service establishments, to ensure the safety of these foodservices and to reduce the risk of food home illness. The scope of this study included: 1) an assessment of the current foodservice sanitation practices and managements for 6 general hospitals, with more than 400 beds, and 3 general hospitals, with less than 400 beds; 2) the development of foodservice establishments sanitation evaluation tools and sanitation standards, based on the HACCP system. The survey data showed varied results between the hospitals surveyed. Most of the hospital foodservice operations had many problems with ventilation and the plumbing. The total dimensional mean scores for the hospitals with more than 400 beds and less than 400 beds were 31.5 and 27.0, respectively. The highest dimension scores were for the water supply facility and lighting, with the lowest for insect and rodent control and toxic materials management. The levels of the mean scores were very low, especially for the general hospitals with less than 400 beds. These low mean scores may have arisen from critical problems within the hospital foodservice operations. The most needed facility management items for improvement were: storage shelf should be spaced 6 inches from the floor and walls, the use of three compartment sinks, utility sinks and cleaning facilities, with a floor drain for cleaning mops or liquid wastes, a ventilation hood designed to prevent dripping onto food, cooking facilities should be disassembled for washing and sanitizing, a separated hand washing sink and a sanitized food board for each area should be provided, all toxic material must have warning labels attached, and be stored in an area away from food preparation under padlock. The evaluation tool consisted of 14 dimensions, with 65 check-off it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facilities' guidelines to regulators, or foodservice industry personnel, wishing to build, or expend, and establish an efficient flow of food. As a result, food borne illnesses will be effectively prevented, and the Nation's health will be promoted for the development of their own sanitation standards, with a checklist for the safe production of foods.

지하공간통합지도 활용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현장 적용 (Program Development and Field Application for the use of the Integration Map of Underground Spatial Information)

  • 김성길;송석진;조해용;허현민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483-490
    • /
    • 2021
  • 최근 도시화된 지역의 지하개발로 인한 각종 문제가 증가함에 따라 정확한 지하시설물 정보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지하공간통합지도를 활용하기 위해 현장 취득 GPR (Ground Penetration Radar) 탐사 데이터와 지하공간통합지도의 상호 위치를 비교하는 기능, 지하시설물 분석 기능, GPR 탐사 단면을 지하공간통합지도 상에 중첩하여 가시화 하는 기능, 측량 데이터를 3차원 공간상에 정위치 및 속성 편집을 통해 셰이프 파일로 변환하는 기능, 셰이프파일을 지하공간통합지도 모바일 센터에 제출하는 기능을 정의하여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 테스트를 위해 상수관로 매설 공사 현장에서 지하시설물 실시간 측량 현장에서 활용하는 시나리오와 GPR 탐사 현장에서 활용하는 시나리오를 도출하였으며, 서울시 관내 4개소에서 현장 실증을 수행하여 활용 시나리오의 현장 적용 문제점 및 기능의 오류 없이 정상적으로 작동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의 현장 활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현장에서 측량 성과의 품질 확인 및 지하공간통합지도의 갱신 자동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국토교통부에서 추진하는 지하시설물도 정확도 향상 확산사업에 시범 적용하여 개발 프로그램의 활용성을 더욱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시설물 모니터링을 위한 기준영상 기반 스마트폰 영상의 기하보정 (Rectification of Smartphone Image Based on Reference Images for Facility Monitoring)

  • 김휘영;최경아;이임평;윤혁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31-242
    • /
    • 2017
  • 시설물의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사용을 위해서 모니터링은 중요하다. 특히, 도로, 댐, 교량 등의 시설물은 안전과 비용의 문제로 자주 점검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대안으로 스마트폰 기반 모니터링을 고려할 수 있다. 시설물 모니터링을 위해 스마트폰 영상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먼저 절대좌표계를 기준으로 보정해야 한다. 본 연구는 임의의 위치에서 취득된 스마트폰 영상을 기준영상을 기반으로 보정하여 시설물 모니터링에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기준영상을 활용하여 지오레퍼런싱을 수행하여 스마트폰의 외부표정요소를 결정한다. 이를 이용하여 스마트폰 영상을 시설물의 대상 객체면에 투영하여 보정한다. 제안된 방법은 보에서 취득한 시험데이터에 적용하였다. 스마트폰의 외부표정요소는 위치 5 cm, 자세 $0.28^{\circ}$ 정확도로 결정되었다. 보정된 스마트폰 영상에서 측정한 길이는 10 cm의 오차를 보였다. 제안된 방법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영상을 시설물 모니터링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중력식 항만시설 수정프로젝트 레벨의 상태변화 특성 분석 (A Study on Condition Analysis of Revised Project Level of Gravity Port facility using Big Data)

  • 나용현;박미연;장신우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254-265
    • /
    • 2021
  • 연구목적: 국내 항만시설의 진단을 통한 성능 및 안전에 대한 점검과 진단을 20년 넘게 진행되었지만 그 진단 이력과 결과를 활용한 중장기적인 시설개선과 성능개선을 위한 발전전략이나 방향이 현실적으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 특히, 사용년수가 오래된 항만구조물의 경우, 선박의 대형화와 사용빈도 증가,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의 영향 등으로 안전성능과 기능적 면에서 상당히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중력식 안벽에 대한 부재수준의 유지관리 이력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를 빅데이터로써 정의하고 해당 데이터를 바탕으로 프로젝트 수준의 시설물의 노후화 패턴 및 열화를 추정하기 위한 예측근사모델을 도출하였다. 특히 GP 및 SGP 기법의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통하여 생성된 상태기반 노후도 패턴 및 열화 근사모델에 대한 유효성 검토를 통해 빅데이터 활용에 적합한 모델을 상호비교하고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제안된 기법의 적합성을 검토한 결과 GP기법은 RMSE 및 R2는 0.9854와 0.0721, SGP기법은 0.7246과 0.2518로 GP기법을 적용한 예측모델이 적합한 것으로 검토 되었다. 결론: 머신러닝 기법을 통해 이러한 연구는 향후 항만시설 데이터취합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향후 항만시설 투자의사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한국의 교도소도서관 현황분석과 개선방안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Improvement Method of Correctional Facility Libraries in Korea)

  • 권세희;윤혜영
    • 정보관리연구
    • /
    • 제40권3호
    • /
    • pp.125-150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인권의 사각지대에 있는 교정시설 내에 구금된 수용자들을 대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교도소도서관의 현황을 분석하여 그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교도소도서관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설 및 설비와 인적 자원, 보유도서현황과 대출현황 그리고 예산현황 등에 이르기까지 종합적으로 통계자료를 토대로 정리 분석하였다. 문화체육관광부의 국가도서관 통계시스템사이트(2008년 기준: 2007년 $1{\sim}12$월 조사)와 2008년 발간한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09-2013)', 교도소에 정보공개청구를 통하여 얻은 '관용도서 비치 및 활용현황' 문서 34건을 이용하여 교도소도서관의 시설, 인적 자원, 장서, 서비스, 예산 등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이러한 현황 조사내용을 토대로 하여 한국교도소도서관의 문제점을 추출해 보고 이에 대한 발전방향을 모색하였다.

보조지표를 활용한 중·저준위 처분시설 성능평가: 방사성 핵종 플럭스 사례연구 (Performance Assessment of Low- and Intermediate-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 Facility in Korea by Using Complementary Indicator: Case Study with Radionuclide Flux)

  • 정강일;정미선;박진백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73-86
    • /
    • 2015
  •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을 보유하고 있는 국가들은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시스템의 이해도 제고 및 신뢰성 증진을 위해서는 다양한 보조지표를 선정하여 평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처분시설에 적용되는 국외 처분시설의 보조지표들을 조사하고, 우리나라 월성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에서 근계지역의 공학적 방벽과 원계지역의 자연방벽 성능평가를 위해 연속적인 방벽에서의 방사성 핵종 이동을 보여줄 수 있는 방벽 간의 방사성 핵종 플럭스를 보조안전지표로 선정하여 적용하였다. 처분시설의 정상시나리오를 콘크리트 사일로의 건전조건과 열화조건으로 나누어 방벽별 성능평가를 수행하였으며, 방사성 핵종에서 방벽별 지연성능 기여도를 확인하였다. 콘크리트가 건전한 경우에서 공학적 방벽의 방벽별 상세성능을 파악하였으며, 열화콘크리트의 경우, 공학적 방벽의 성능저하도 및 자연암반과의 상대적 중요도를 정량적으로 확인하였다. 향후본 연구 결과는 2단계 표층처분시설 설계 최적화 및 방벽성능의 검증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아울러, 향후에는 처분시설의 Safety Case 구축과 안전성의 이해 제고 및 신뢰성 증진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보조지표를 추가 선정하여 평가하고자 한다.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의 처분농도제한치 설정에 대한 고찰 II: 최적화 방법론 개발 및 적용 (Determination of Radionuclide Concentration Limit for Low and Intermediate-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 Facility II: Application of Optimization Methodology for Underground Silo Type Disposal Facility)

  • 홍성욱;김민성;정강일;박진백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65-279
    • /
    • 2017
  • 2014년 12월 사용 승인된 경주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동굴처분시설은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의 처분을 위해 운영중이나 중준위 방사성폐기물을 처분할 수 없다. 왜나하면 기존 중준위 방사성폐기물이 원자력안전위원회 고시 2014-003호에 따라 방사성폐기물 준위가 세분화되었으며, 기존의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핵종별 처분농도제한치 값이 변경되었으나 이를 고려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중준위 방사성폐기물의 안전한 처분을 위해 IAEA에서 제시한 방법론과는 달리 방사능량 산출 시 적용된 가용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존의 설정된 극저준위 및 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의 처분농도제한치를 고려하여 1단계 동굴처분시설의 중준위 방사성폐기물에 대한 처분농도제한치를 설정하였다. 단, $^{14}C$의 경우 처분농도제한치 외에 추가적인 방사능량 제한이 필요함을 확인하고 우물이용시나리오를 통해 1단계 동굴처분시설의 총방사능량을 제한하였다. 설정된 중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농도제한치와 $^{14}C$의 총방사능량이 적용된 방사능량에 대해 운영 중 및 폐쇄 후 시나리오의 평가결과가 모두 성능목표치를 만족함을 확인하여, 도출된 중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농도제한치가 1단계 동굴처분시설의 중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농도제한치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처분 안전성 증진을 위해 방사성폐기물 발생기관의 데이터를 추가 확보하며, $^{14}C$의 누적방사능량을 관리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