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age scenarios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8초

VR기반 디지털 시각 문화 콘텐츠 구현 (Implementation of VR-based digital visual culture contents)

  • 신유철;배민경;박철우;이영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78-480
    • /
    • 2022
  • 본 콘텐츠는 코로나 펜데믹 상황이 계속해서 유지됨에 따라 언텍트 사회를 앞당기게 된 현실 상황에서 외부 활동이 통제된 요양원 노인들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요양원 내부에서도 시각적, 청각적 즐거움을 주기 위해서 제작되었다. 요양원 노인은 콘텐츠 이용 시나리오를 통하여 사회복지사의 도움을 받아. 디지털 시각 문화 콘텐츠를 이용 함으로써 계속해서 쌓이던 스트레스를 가상의 사람들과 함께 느끼면서 스트레스가 해소되며 동질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해당 콘텐츠를 통하여 요양원 노인들의 일생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Blockchain Data Management for Pharmaceuticals

  • Shih-Shuan Wang;Alexandru Dinu;Eugen-Silviu Vrajitoru;Aleksander Ryszard Izemski;Alin Mihai Meclea;Mircea Boscoianu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43-245
    • /
    • 2023
  • The care and quality provided to service users depend heavily on the documentation of medication administration. The results of medication management will be greatly impacted by the Medication Data Management (MDM) sheets, which will be examined during audits. Along with this impact, registered hospitals, care facilities, and residential homes will all be inspected by the healthcare industry. In order to deploy MDM sheets, it is proposed to create a blockchain prototype, or more specifically, to develop a blockchain-based Electronic Health Records (EHR) application. Confidentiality and confidence with the auditors are provided by the usage of permissioned blockchain technology (e.g., Care Quality Commission - CQC). Results from testing the prototype in two scenarios are positive.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use of EHR with permissioned blockchain can result in reminders being sent to medical practitioners as well as other effects.

Microservice Identification by Partitioning Monolithic Web Applications Based on Use-Cases

  • Si-Hyun Kim;Daeil Jung;Norhayati Mohd Ali;Abu Bakar Md Sultan;Jaewon Oh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21권4호
    • /
    • pp.268-280
    • /
    • 2023
  • Several companies have migrated their existing monolithic web applications to microservice architectures. Consequently, research on the identification of microservices from monolithic web applications has been conducted. Meanwhile, the use-case model plays a crucial role in outlining the system's functionalities at a high level of abstraction, and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identify microservices by utilizing this model. However, previous studies on microservice identification utilizing use-cases did not consider the components executed in the presentation layer. Unlike existing approaches, this paper proposes a technique that considers all three layers of web applications (presentation, business logic, and data access layers). Initially, the components used in the three layers of a web application are extracted by executing all the scenarios that constitute its use-cases. Thereafter, the usage rate of each component is determined for each use-case and the component is allocated to the use-case with the highest rate. Then, each use-case is realized as a microservice. To verify the proposed approach, microservice identification is performed using open-source web applications.

중금속으로 오염된 사력재의 댐축조 재료 활용 가능성 평가를 위한 수치 모델링 (Numerical Simulation for Evaluation the Feasibility of Using Sand and Gravel Contaminated by Heavy Metals for Dam Embankment Materials)

  • 석희준;서민우;김형수;이정민
    • 자원환경지질
    • /
    • 제40권2호
    • /
    • pp.209-221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이나 자갈을 댐 축조 재료로 사용할 경우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댐 침투수와 오염물 거동에 대한 수치 모의를 실시하였다 두 가지 상용 프로그램(SEEP2D 와 FEMWATER)을 이용하여 침투수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결과를 상호 비교 분석함으로써 수치 모의의 신뢰성을 획득하였다. 특히 오염된 댐 축조재료로 인한 환경적 안정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세 가지 시나리오, 즉 댐체에 균열이 없는 경우(시나리오 1), 댐의 차수벽 역할을 하는 표면 콘크리트 슬래브 상부에 균열이 발생하는 경우(시나리오 2), 댐체 하부 즉 프린스와 콘크리트 슬래브와 접촉부에 균열이 발생하는 경우(시나리오 3)에 대하여 각각 수치 모의를 실시하였다. 침투수 해석 결과, 슬래브 상부에 균열이 있는 경우, 즉 시나리오 2에서 계산된 단위폭당 침투수량은 $14.311\sim14.924m^3/day$으로 다른 경우에 비해 약 1,000배 큰 값을 보였다. 또한 FEMWATER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오염물 거동을 수치모의하였다. 오염물질이 지속적으로 침출되어 나오는 상황을 고려하여 주축조구역은 농도 13ppb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초기조건을 설정하였다. 오염물 거동분석 결과 시나리오 1에서 2ppb 정도의 오염물이 댐체 하류 부분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최소 55,000년이었으며, 시나리오 2의 경우 약 50년 정도, 마지막으로 시나리오 3의 경우 27,000년이였다. 댐체 상부에 균열이 발생한 경우는 댐에 균열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보다 약 500배 이상 빠른 유속이 나타나기 때문에 오염물도 균열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상당히 빠르게 퍼져나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슬래브 상부에 균열이 발생한 경우 100년 이내에 댐체 하부천 2ppb 이상의 오염물이 전달될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지만, 균열이 없거나 슬래브 하부에 균열이 발생한 경우에는 오염물이 외부로 이동될 가능성이 거의 없었다. 따라서 콘크리트 슬래브에 대한 지속적인 유지 관리로 균열 발생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면, 본 연구에서 제안한 오염된 사력재의 CFRD 내부 축조재료로의 활용은 고려 가능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배드민턴 동호회의 스포츠 상해 예방을 지원하는 스마트의류 디자인 제안 (Designing Smart Sportswear to Support the Prevention of Sports Injuries in Badminton Club Activities)

  • 김신혜;이주현
    • 감성과학
    • /
    • 제23권3호
    • /
    • pp.37-4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배드민턴 동호회 활동을 조사하고 배드민턴 활동에서 발생하는 스포츠 상해를 예방하는 스마트 의류를 디자인 개발하는 것이다. 고령화 사회에서, 스포츠는 생활체육으로 친숙하게 접하고 있으며, 점차 동호회 형식으로 발달되고 있다. 배드민턴 동호회 활동은 많은 스포츠 상해가 있으며, 특히 높은 발생률을 보이는 발목 부상은 스포츠 참여를 방해하는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발목 부상을 포함한 스포츠 상해를 예방하는 스마트의류의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첫째, 배드민턴 동호인들의 특성 및 고려사항, 그리고 스포츠 부상을 예방하기 위한 스마트 의류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둘째, 배드민턴 동호인들과 엘리트 배드민턴 선수, 전문가의 대상으로 스마트의류 사용에 따른 문제 및 사용자 평가들을 고찰하였다. 셋째, 선행연구와 사용자 평가 항목들을 통하여 스마트의류의 사용 시나리오를 도출하였다. 넷째, 발목 상해를 포함한 스포츠 상해를 방지하는 스마트의류 프로토타입을 사용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스마트의류를 통하여, 스포츠 상해 예방에 도움이 필요한 배드민턴 동호인들은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서 그들의 상해와 건강 상태를 가상 게임의 아바타로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이러한 가상 게임 시스템은 스포츠의 상해 및 건강에 관련한 정보에 접근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스포츠용 스마트의류는 배드민턴 동호인들의 부상을 예방하고 스스로 재검토를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는 스포츠 상해를 예방하거나 스포츠 활동 또는 생체 신호 모니터링 하는 스마트의류 디자인 시에도 활용될 수 있다.

모바일 인터랙션을 위한 새로운 접근 -휴대폰 버튼의 최적화 배치 방법을 중심으로 - (A New Approach to Mobile Interaction - focused on optimized button layout for mobile phone -)

  • 변재형;문준기;양승호;김명석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165-172
    • /
    • 2005
  • 휴대폰의 버튼 배치는 제조회사에 따라 독특한 레이아웃으로 표준화를 이루어 가고 있으나, 각 제조사마다 서로 상이한 배치를 보이고 있으며, 심지어는 한 제조사에 있어서도 모델별로 일관성이 결여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는 휴대폰 제조사의 제품 인터페이스 표준화가 미흡함에 기인하는 것으로서, 아직까지는 제품의 물리적 인터페이스 개발을 위한 방법론적 접근이 활발히 진행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휴대폰의 제품 인터페이스 요소 중 출발점은 버튼의 레이아웃을 결정하는 것이며, 본 연구에서는 이의 최적화에 대한 연구를 통해 휴대폰 버튼 레이아웃의 표준안 개발을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휴대폰 사용 상황과 기능에 의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각 버튼들의 군집도를 측정하고 조작 시퀀스(sequence) 평가를 통해 최적화를 위한 방향을 설정한 후, 새로운 제시안의 평가를 통해 최적화된 표준만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국내 시판 중인 모델 중 평가제품을 선별하고 전체 버튼의 그루핑과 인접도, 조작경로에 대한 평가를 실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인터페이스 평가 방법들이 GUI 위주로 이루어진 데 반해 제품의 물리적 인터페이스 개선을 위한 방법론적 접근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휴대폰의 제품디자인을 위한 가이드라인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 PDF

모바일 전자 ID 지갑에 적합한 신뢰 관리 및 개인 정보보호 방안 (Trust Management and Privacy Protection for Mobile Digital ill Wallets)

  • 장공수;윤주승;이항석;정한울;박용수;최대선;진승헌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6권4호
    • /
    • pp.297-308
    • /
    • 2009
  • 각종 전자인증 및 개인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저장 이용 가능한 모바일 전자 ID지갑이 2008년 ETRI에서 개발되었다. 전자 ID지갑을 사용함에 있어 효과적인 사용자 개인정보 프라이버시 제어 방법과 인증정보, 개인정보, 크레벤셜 관리는 개인 정보보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며, 전자 ID지갑을 사용하기 위한 환경에서 사람과의 온/오프라인에서의 신뢰, 웹사이트의 피싱확인 및 회원가입, 무인 단말기와의 신뢰를 통한 개인정보의 제공 등 다양한 환경에서의 적용 가능한 신뢰관리 및 개인정보를 보호해줄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전자 ID지갑에 적합한 신뢰 관리 및 개인 정보보호를 위한 삼중 신뢰 평가 방법을 제안한다. 다양하고 복잡한 모바일 ID지갑 사용환경에서 단순히 PKI 인증서 또는, 명성(Reputation) 만으로는 개인정보의 관리 및 보호를 할 수 없다. 이러한 복합적인 상황에서 개인정보의 관리 및 보호를 위해서 PKI와 Reputation(명성) 그리고 정보 제공을 위한 상태(조건, Conditon)를 모두 고려해야 하며, 이 3가지(PKI, Reputation, Condition)를 판단하여 모바일 ID지갑환경에서 개인의 정보를 관리하고 보호할 수 있는 Triangular Trust Rating(삼중 신뢰 평가) 방법을 고안하였다. 우리는 프로토타입을 구현하고 모바일 전자 ID지갑에 적용되는 다양한 시나리오에서 삼중 신뢰 평가 방법을 적용시켜 보았다. 그 결과, 제안 방법이 다양한 환경, 다양한 시나리오에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저탄소 그린캠퍼스 조성을 위한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감축잠재량 분석 - 대구대학교를 중심으로 (Estima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GHG) Inventory and Reduction Plans for Low Carbon Green Campus in Daegu University)

  • 정영진;이개초;김태오;황인조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7호
    • /
    • pp.506-513
    • /
    • 2014
  • 본 연구는 대구대학교를 대상으로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구축하고, 감축잠재량을 분석할 것이다. 대구대학교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연평균 19,413 ton $CO_2$ eq로 조사되었다. Scope 2의 구입전력부문이 온실가스 총 배출량의 55.4%를 차지하여 가장 많이 기여하는 것으로 계산되었다. 연구기간동안의 온실가스 총배출량에서 Scope 2가 60.4%, Scope 1이 22.6%, Scope 3이 17.0%를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대학교의 온실가스 감축잠재량을 파악하기 위하여 재실센서, LED 조명, 태양열 시설 등과 같은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LEAP 모델을 이용하였다. LED 조명 교체 시 2020년에 BAU 대비 1,656 ton $CO_2$ eq가 감축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재실센서 설치, 태양열 시설 도입은 각각 1,041 ton $CO_2$ eq, 737 ton $CO_2$ eq가 감축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감축시나리오를 모두 적용한 결과 2020년 BAU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을 약 15% 감축할 수 있을 것으로 계산되었다.

도시유출모형과 홍수범람모형을 연계한 내수침수 적용성 평가 (A Study on Urban Inundation Prediction Using Urban Runoff Model and Flood Inundation Model)

  • 탁용훈;김재동;김영도;강부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6권3호
    • /
    • pp.395-406
    • /
    • 2016
  • 도시화로 인한 인구집중 및 개발 집중현상으로 하천변 저지대 및 지하공간 사용이 증가하였고, 불투수층이 증가하여 도시유역의 배수체계는 우수관거에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한 우수관거의 저류용량 부족 및 외수위의 영향으로 인한 도심지 역류 현상으로 인한 침수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홍수범람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외수범람과 내수침수를 유기적으로 연결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습침수가 발생하는 도시유역에 대하여 도시유역 유출특성을 고려한 홍수의 정확한 예측을 위해 강우분석 및 외수위를 고려하고, 도시유출모형인 SWMM 모형을 이용하여 하수관거의 월류를 분석하였고, 이 결과를 홍수범람해석 모형과 연계하여 도시유역에서의 집중호우 발생시 침수해석을 실시하여 수방시설물의 홍수배제 효율을 분석하였다. SWMM 모형의 적용결과 외수위영향에 따른 원활한 내수배제가 불가능 한 것으로 나타났고, 관거 월류량이 많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월류된 우수가 지면을 따라 흐를 경우 저지대의 침수가 예상되고, 월류량이 많은 맨홀을 주요맨홀로 선정하였고, 월류수 저감을 위한 방안으로 주요 맨홀의 인근 지역에 저류지를 설치하는 방안과 각 맨홀들을 연결하는 관거를 확대하는 방안을 설정하였다. 월류 저감 시나리오 적용 결과 저류지 설치시 월류량의 45%, 관거 확대시 33~64%의 저감효과를 보였다. SWMM 모형의 결과를 이용하여 홍수범람해석 모형을 모의한 결과 지표경사와 도로를 따라 맨홀 월류수가 모여 침수현상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거 확대 적용시 침수면적이 19.6%, 60.5%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Assessing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Water Resources: Waimea Plains, New Zealand Case Example

  • Zemansky, Gil;Hong, Yoon-Seeok Timothy;Rose, Jennifer;Song, Sung-Ho;Thomas, Joseph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1년도 학술발표회
    • /
    • pp.18-18
    • /
    • 2011
  • Climate change is impacting and will increasingly impact both the quantity and quality of the world's water resources in a variety of ways. In some areas warming climate results in increased rainfall, surface runoff, and groundwater recharge while in others there may be declines in all of these. Water quality is described by a number of variables. Some are directly impacted by climate change. Temperature is an obvious example. Notably, increased atmospheric concentrations of $CO_2$ triggering climate change increase the $CO_2$ dissolving into water. This has manifold consequences including decreased pH and increased alkalinity, with resultant increases in dissolved concentrations of the minerals in geologic materials contacted by such water. Climate change is also expected to increase the number and intensity of extreme climate events, with related hydrologic changes. A simple framework has been developed in New Zealand for assessing and predicting climate change impacts on water resources. Assessment is largely based on trend analysis of historic data using the non-parametric Mann-Kendall method. Trend analysis requires long-term, regular monitoring data for both climate and hydrologic variables. Data quality is of primary importance and data gaps must be avoided. Quantitative prediction of climate change impacts on the quantity of water resources can be accomplished by computer modelling. This requires the serial coupling of various models. For example, regional downscaling of results from a world-wide general circulation model (GCM) can be used to forecast temperatures and precipitation for various emissions scenarios in specific catchments. Mechanistic or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ling can then be used with these inputs to simulate climate change impacts over time, such as changes in streamflow, groundwater-surface water interactions, and changes in groundwater levels. The Waimea Plains catchment in New Zealand was selected for a test application of these assessment and prediction methods. This catchment is predicted to undergo relatively minor impacts due to climate change. All available climate and hydrologic databases were obtained and analyzed. These included climate (temperature, precipitation, solar radiation and sunshine hours, evapotranspiration, humidity, and cloud cover) and hydrologic (streamflow and quality and groundwater levels and quality) records. Results varied but there were indications of atmospheric temperature increasing, rainfall decreasing, streamflow decreasing, and groundwater level decreasing trends.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ling was applied to predict water usage, rainfall recharge of groundwater, and upstream flow for two regionally downscaled climate change scenarios (A1B and A2). The AI methods used were multi-layer perceptron (MLP) with extended Kalman filtering (EKF), genetic programming (GP), and a dynamic neuro-fuzzy local modelling system (DNFLMS), respectively. These were then used as inputs to a mechanistic groundwater flow-surface water interaction model (MODFLOW). A DNFLMS was also used to simulate downstream flow and groundwater levels for comparison with MODFLOW outputs. MODFLOW and DNFLMS outputs were consistent. They indicated declines in streamflow on the order of 21 to 23% for MODFLOW and DNFLMS (A1B scenario), respectively, and 27% in both cases for the A2 scenario under severe drought conditions by 2058-2059, with little if any change in groundwater leve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