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okinase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33초

A Successfully Treated Case of Recurrent 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 (FSGS) with Plasmapheresis and High dose Methylprednisolone Pulse Therapy

  • Her, Sun Mi;Lee, Keum Hwa;Shin, Jae Il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21권2호
    • /
    • pp.165-168
    • /
    • 2017
  • 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 (FSGS) in children, which is a kind of nephrotic syndrome showing steroid resistance, usually progresses to a substantial number of end stage renal disease (ESRD). Although the pathogenesis of primary FSGS is unclear, several recent studies have reported that FSGS is associated with circulating immune factors such as soluble urokinase-type plasminogen activator receptor (suPAR) or anti-CD40 autoantibody. We report a successfully treated case of a 19-year-old female patient who experienced a recurrence of primary FSGS. After the diagnosis of FSGS, the patient progressed to ESRD and received a kidney transplantation (KT). Three days later, recurrence was suspected through proteinuria and hypoalbuminemia. She has been performed plasmapheresis and high dose methylprednisolone pulse therapy and shown remission status without increasing proteinuria for four years after KT. In conclusion, strong immunosuppressive therapy may be helpful for a good prognosis of recurrent FSGS, suppressing several immunologic circulating factors related disease pathogenesis.

In vitro Angiogenic Activity of Aloe vera Gel on Calf Pulmonary Artery Endothelial (CPAE) Cells

  • Lee, Myoung-Jin;Lee, Ok-Hee;Yoon, Soo-Hong;Lee, Seung-Ki;Chung, Myung-Hee;Park, Young-In;Sung, Chung-Ki;Choi, Jae-Sue;Kim, Kyu-Wo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1권3호
    • /
    • pp.260-265
    • /
    • 1998
  • Angiogenic activity of Aloe vera gel was investigated by in vitro assay. We obtained the most active fraction from dichloromethane extract of Aloe vera gel by partitioning between hexane and 90% aqueous methanol. The most active fraction (F3) increased the proliferation of calf pulmonary artery endothelial (CPAE) cells. In addition, F3 fraction induced CPAE cells to invade type I collagen gel and form capillary-like tube through in vitro angiogenesis assay, and increased the invasion of CPAE cells into matrigel through in vitro invasion assay. Furthermore, the effect on the MRNA expression of proteolytic enzymes which are key participants in the regulation of extracellular matrix degradation was investigated by northern blot analysis. F3 fraction enhanced mRNA expression of urokinase-type plasminogen activator (u-PA), matrix metalloproteinase-2 (MMP-2), and membrane-type MMP (MT-MMP) in CPAE cells whereas the expression of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y (PAl-1) mRNA was not changed.

  • PDF

합병성 흉막 삼출에 대한 국소적 Urokinase 주입치료 효과에 관한 연구 (Effects of Intracavitary Urokinase Instillation in Complicated Pleural Effusion)

  • 손동현;윤수미;김정미;박익수;손장원;양석철;윤호주;신동호;박성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8권3호
    • /
    • pp.357-364
    • /
    • 2000
  • 목 적 : 삼출성 흉악염의 치료는 원인질환을 치료하고 동반된 흉막액을 배농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합병성 흉막 삼출에서는 단순히 흉관 삽입 만으로 치료한 경우 소방 또는 응괴 형성 등으로 배농에 제약이 따른다. 원활한 배농을 위하여 초음파 등을 이용하여 적절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흉관 시술을 시행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흉막강내 혈전용해제를 투여하여 합병된 흉막 삼출을 치료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X-선 투시(image-guide)하의 배농을 시행한 합병된 흉막 삼출 환자를 대상으로 urokinase(UK)를 흉막강내에 국소적으로 투여하여 소방이 형성된 흉막 삼출에서 이의 치료 효과 및 예후를 알아보기 위해 전향적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 등으로 소방 등이 존재를 확인한 20명의 흉막 삼출환자에서 X-선 투시하의 경피적 흉관 또는 pig-tail catheter를 이용하여 배농을 시행하고 25만 단위의 일정량의 UK를 흉막강내에 국소적으로 투여하여 이의 치료 성적, 합병증 유무 등을 관찰하였다. 결 과 : UK 투여는 본 연구 방법에서 정한 데로 하루에 25만 단위를 분할 투여하였고, 투여횟수는 $1.63{\pm}0.1$회 이었으며 투여 후에 흉막 삼출 배농은 향상된 양상을 보였다. UK 투여요법 시행 후 $212.9{\pm}194.5$일의 추적관찰을 시행한 바 20명의 환자 중 19명 (95.0%)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얻었고, 1명 (5%)에서만 재발을 확인하였다. UK 투여 요법에서 관찰된 합병증으로 흉통이 11명 (55.0%)에서, 경도의 발열이 2명 (10.0%)에서 관찰되었으나, 치료를 중단해야 할 특이한 이상 소견은 없었다. 결 론 : 결론적으로 흉강내 소방 형성 등으로 흉막액 배출이 용이하지 않은 합병성 흉막 삼출에서 경피적 도관을 통해 25만 단위/일의 흉막내 UK 투여는 불필요한 수술을 피할 수 있으며 심각한 합병증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치료라고 사료된다.

  • PDF

농흉환자에서의 늑막강내 유로키나제주입 전후의 섬유소 용해에 관한 연구 (Profiles of Local Fibrinolytic Activity before and after Urokinase Injection Into the Human Empyema Cavity)

  • 김용훈;김종봉;문종호;송동화;김현태;양동호;이상무;어수택;박춘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0권4호
    • /
    • pp.378-383
    • /
    • 1993
  • 연구배경 : 최근의 연구에서는 염증성늑막삼출의 경우, 늑막내의 응고작용은 증가되고 섬 유소용해능은 감소되어 흉수의 섬유소 제거가 감소됨이 보고되었다. 특히 농흉의 경우에 있 어서 섬유소침착이 진행되어 늑막강내에 격막이 형성되는 경우를 섬유소화농기로 분류하는 데 이때는 임상적으로 다수의 소방이 상호 분리된 격막으로 형성됨으로 늑막천자로서는 배 농이 불가능하며 단순폐쇄식 흉부삽관술을 이용한 치료로서도 완치가 어렵다. 따라서 최근 의 늑막강내로의 유로키나제(UK) 국소적 주입이 좋은 성적을 보임으로써 국소적 섬유소용 해치료가 농흉치료의 효과적인 한 방편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임상적 관찰에도 불구하고 UK주입후 과연 늑막강내의 섬유소용해능이 증가하는 지에 관한 직접적인 연구보 고는 없었다. 따라서 저자들은 늑막강내 UK의 주입이 국소적 섬유소용해능을 증가시켜 소 방의 용해를 촉진시킨다는 가설하에 농흉환자를 대상으로 유로키나제 주입전후의 흉수내 D-dimer(D-Di)와 plasminogen activator activity(PA-activity)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방법 : 다수의 소방이 형성된 14예의 농흉환자를 대상으로 UK주입전후의 흉수내 D-dimer를 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ELISA)로 측정하였고 PA-activity는 광발색법으로 측정 하였다. 일회 주입시 20만단위의 UK를 사용하였고 모든 환자에서 최소 2회 이상 투여하였으며 3회 주입후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 UK 주입전 PA-activity는 $10.5{\pm}7.0$ IU tPA/ml로서 UK 주입 1회 후, 2회 후, 3회 후 각각 $91.9{\pm}27.0$, $432.3{\pm}177.1$, $170.0{\pm}85.3$ IU tPA/ml로 유의하게 상승하였고(p<0.01) 2회 째 주입후 최고치에 도달하였다(p<0.01). D-Di 역시 주입전 $4.16{\pm}1.06{\times}10^5ng/ml$에서 주입 1회 후, 2회 후 및 3회 후 각각 $9.62{\pm}1.54{\times}10^5$, $12.31{\pm}1.89{\times}10^5$, $8.54{\pm}1.56{\times}10^5ng/ml$으로 유의하게 상승하였다(p<0.05). 결론 : 늑막강내 유로키나제의 국소적 주입은 늑막내 plasmic을 생성하여 섬유소용해를 촉진시킴으로서 소방을 제거하는 것으로 보인다.

  • PDF

소방이 형성된 결핵성 흉막염 환자에서 경피적 도관을 이용한 유로카나제 치료의 효과 ; 전향적 무작위연구 (The Effects of Urokinase Instillation Therapy via Percutaneous Transthoracic Catheter Drainage in Loculated Tuberculous Pleural Effusion: A Randomized Prospective Study)

  • 이용환;곽승민;권미영;배인영;박찬섭;문태훈;조재화;류정선;이홍렬;노형근;조철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5호
    • /
    • pp.601-608
    • /
    • 1999
  • 연구배경: 결핵성 흉막염은 항결핵요법만으로 치료가 잘되므로 일반적으로 진단적 흉수천자이외에 흉막염의 적극적 배액은 불필요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항결핵요법 후에도 흉막박피술등의 처치가 필요할 정도로 흉막비후가 오는 경우를 비교적 흔히 접하게 된다. 이에 저자들은 소방이 형성된 결핵성 흉막염 환자에게 경피적 도관을 이용한 유로키나제 치료로 적극적 배액을 시도한 경우와 진단적 흉수천자와 항결핵요법으로 치료한 경우 흉막비후의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비교연구를 함으로서, 소방이 형성된 결핵성 흉막염 환자에서 유로키나제에 의한 흉막비후에 대한 치료효과를 결정하고 자하였다. 방 법: 소방이 형성된 결핵성 흉막염으로 확진된 3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 무작위연구로 16명의 유로키나제군(경피적 도관을 삽입 후 유로키나제 투여+항결핵제 투여)과 21명의 비유로키나제군(항결핵제 투여)으로 나누어, 두군 환자들의 치료전 후의 흉부사진으로 흉막비후(RPT) 을 관찰하였으며, 또한 두 군의 진단당시 임상상 및 흉막액의 백혈구수, pH, 혈당, 단백질, LDH, ADA를 비교하였다. 결 과: 1) 유로키나제군과 비유로카나제군의 흉막비후는 각각 $5.08{\pm}6.77$ mm와 $20.32{\pm}26.37$ mm로, 유로키나제군에서 흉막비후가 유의하게 적었다(P<0.05). 2) 두 군의 흉막비후에(RPT$\geq$10 mm) 영향을 미치는 임상적 지표 중 흉통, 발열, 호흡곤란 등 치료 전 증상 발현기간이 흉막비후가(RPT$\geq$10 mm) 있는 경우(평균 $5.23{\pm}3.89$ 주)가 흉막비후가 없는 경우(평균 $2.63{\pm}1.99$ 주)보다 의의 있게 길었다(p<0.05). 3) 흉막비후(RPT는 10 mm)의 예측인자로 흉수액 천자검사에서 백혈구수, pH, 혈당, 단백질, LDH, ADA등은 차이가 없었다. 결 론: 소방이 형성된 결핵성 흉막염 환자에서 항결핵제 치료 와 함께 유로키나제를 이용한 흉막액의 적극적 배액시 흉막비후의 후유증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Fibrinolytic (Thrombolytic) Therapy for Post Intraventricular Hemorrhagic Hydrocephalus in Preterm Infants

  • Young Soo Park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6권3호
    • /
    • pp.263-273
    • /
    • 2023
  • While the survival rate of preterm infants has increased dramatically over the last few decades, intraventricular hemorrhage and subsequent hydrocephalus remain major unsolved problems in neonatal intensive care. Once intraventricular hemorrhage occurs, severe neurological sequelae are inevitable. Treatment of this complicated pathology and achievement of favorable neurofunctional outcomes in fragile infants are crucial challenges for pediatric neurosurgeons. Fibrinolytic therapy, which chemically dissolves hematoma, is a promising and useful treatment method. In this paper,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fibrinolytic therapy for post-intraventricular hemorrhagic hydrocephalus in preterm infants is reviewed and a recent method of fibrinolytic therapy using urokinase is introduced.

가와사끼병 환아에서 발생한 거대관상동맥류 내 혈전의 성공적 용해요법과 장기 치료 및 경과 1례 (Thrombolytic Therapy and Long Term Follow-up Study in a Child with Kawasaki Disease Complicated by Giant Coronary Aneurysm with Thrombosis)

  • 문수정;이수야;나경희;박선영;김은영;김경심;김용욱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3호
    • /
    • pp.302-307
    • /
    • 2003
  • 환아는 3개월된 영아로 발병 10일째에 본원에 내원하여 초기에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받지 못했으며 발병 2주에 시행한 심초음파상 거대 관상동맥류를 보였다. 이에 정맥용 면역글로불린 투여와 aspirin과 dipyridamole로 치료 중 발병 24일째 혈전증이 동반되어 urokinase와 heparin의 IV 투여를 통한 혈전용해 치료로 혈전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었다. 이후 5년간 aspirin, dipyridamole, coumadin을 투여하면서 심전도와 심초음파검사를 반복하며 외래 추적 관찰 중 점차 좌측관상동맥내 혈전이 증가하고 내경이 점차 좁아지는 소견과 함께 협착이 의심되었다. 발병 5년 후 시행한 관상동맥 혈관조영술상 관상동맥 좌측 전하지가 완전 폐색되고 우측관상동맥으로부터 발달한 측부순환에서 혈류를 공급받고 있었고, 핵의학 검사상 좌심실의 전벽과 중격, 일부 외벽에 완전 가역적 관류 결손을 보였던 가와사끼병 환아 1례를 경험하여 보고한다.

Rhus verniciflua Stokes extract suppresses migration and invasion in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AGS cells

  • Lee, Hyun Sook;Jung, Jae In;Kim, Kyeong-Hee;Park, Sang Jae;Kim, Eun Ji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4권5호
    • /
    • pp.463-477
    • /
    • 2020
  • BACKGROUND/OBJECTIVES: Many studies have suggested that Rhus verniciflua Stokes (RVS) and its extract are anticancer agents. However, RVS had limited use because it contains urushiol, an allergenic toxin. By improving an existing allergen-removal extraction method, we developed a new allergen-free Rhus verniciflua Stokes extract (RVSE) with higher flavonoid content. In this study, we examined whether RVSE inhibits the ability of AGS gastric cancer cells to migrate and invade. MATERIALS/METHODS: The flavonoids content of RVSE was analyzed by HPLC. The effects of RVSE on migration and invasion in AGS cells were analyzed by each assay kit. Matrix metalloproteinase (MMP)-9,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PAI-1) and urokinase-type plasminogen activator (uPA) protein expression was analyzed by protein antibody array. The Phosphorylation of 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STAT) 3 were assayed by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RVSE treatment with 0-100 ㎍/mL dose-dependently reduced the ability of AGS cells to migrate and invade. Notably, treatment with RVSE strongly inhibited the expression of MMP-9 and uPA and the phosphorylation of STAT3. In contrast, RVSE treatment dramatically increased the expression of PAI-1.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hibition of MMP-9 and uPA expression and STAT3 phosphorylation and the stimulation of PAI-1 expression contributed to the decreased migration and invasion of AGS cells treated with RVSE.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RVSE may be used as a natural herbal agent to reduce gastric cancer metastasis.

돼지의 배란 전 자궁내막 상피세포 내 Plasminogen Activators의 발현 (Expression of Plasminogen Activators in Uterine Epithelial Cells of Pre-ovulatory Phase in Pigs)

  • 황보용;이상희;차혜진;송은지;이승태;이은송;정희태;양부근;박춘근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57-263
    • /
    • 2013
  • The endometrium undergoes a cyclic growth and tissue remodeling as changes of epithelial cells, and plasminogen activators (PAs) are related to endometrium tissue remodeling. This study was to evulate expression of urokinase-type plasminogen activator (uPA) and tissue-type plasminogen activator (tPA) in porcine uterine epithelial cells. In results, the uPA and tPA were expressed in uterine tissue, epithelium and secretory glands in porcine endometrial cell. In addition, the uPA and tPA were expressed in cultured epithelial cells, and it were mainly expressed in cytoplasm. In porcine uterine tissue and epithelial cells, uPA activity was higher than activity in tPA. In PAs mRNA expression levels, uPA mRNA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PA mRNA level (P<0.05). The fluorescence intensity of uPA protein was also higher than fluorescence intensity of tPA protein, and uPA protein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PA protein expression (P<0.05). Therefore, we suggest that a physiological function in porcine uterine epithelial cells should be more influenced by uPA than in tPA during pre-ovulatory phase.

인체 갑상세포의 대사조절에 의한 프로 유로카이나제의 생산 (Metabolic Control of Maintenance for the Production of pro-Urokinase from Human Thyroid cells)

  • 강재구;최석규;이현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01-405
    • /
    • 1990
  • 5 혈청을 포함한 DMEM 배지에 갑상세포주 579를 연속배양하여 약 $5.7 \times 10^{-8}$g/h /cell에 해당하는 pro-UK의 비생산속도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배지의 이동속도가 증가할 수록 glutamine의 소비속도가 증가하는 반면 ammonia 생산속도는 일정하게 유지되는, glutamine의 완전동화에의한 물질생산증가 현상을 나타냈다. 5mM의 glucose와 2mM의 glutamine, 포화용존 공기의 10에 해당하는 용존산소 및 pH 6.2의 maintenance 생육 조건하에서 약 15일간 유지시켜, $12\times 10^{-8}$g of pro-UK/h/cell의 최대 비생산속도와 0.226mg/g of glucose의 생산수율을 얻었으며, 이는 10ml/min의 배지 이동속도를 유지하는 연속배양 조건에서 매일 0.223mg의 pro-KU를 생산할 수 있을을 의미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