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stormwater capture curve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5초

3변수 혼합 지수 확률밀도함수를 이용한 도시 강우 유출수 포착곡선의 작성 (Urban Stormwater Capture Curve using 3-Parameter Mixed Exponential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 한수희;박무종;김상단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30-435
    • /
    • 2008
  • In order to design Non-point source management, the aspect of statistical features of the entire precipitation data should be focused since non-point source discharge is driven by continuous rainfall runoffs. 3-parameter mixed exponential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is used to establish urban stormwater capture curve instead of previous single-parameter exponential PDF. Then, recent 10-year data in Busan are applied to establish the curve. The result shows that 3-parameter mixed PDF gives better resolution.

지표면의 시공간적 변화를 고려한 비점오염원 저감 저류지 최적용량산정 (Optimal Volume Estimation for Non-point Source Control Retention Considering Spatio-Temporal Variation of Land Surface)

  • 최대규;김진관;이재관;김상단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9-18
    • /
    • 2011
  • In this study the optimal volume for non-point source control retention is estimated considering spatio-temporal variation of land surface. The 3-parameter mixed exponential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is used to represent the statistical properties of rainfall events, and NRCS-CN method is applied as rainfall-runoff transformation. The catchment drainage area is divided into individual $30m{\times}30m$ cells, and runoff curve number is estimated at each cell. Using the derived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theory, the stormwater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at each cell is derived from the rainfall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and NRCS-CN rainfall-runoff transformation. Considering the antecedent soil moisture condition at each cell and the spatial variation of CN value at the whole catchment drainage area, the ensemble stormwater capture curve is established to estimate the optimal volume for an non-point source control retention. The comparison between spatio-temporally varied land surface and constant land surface is presented as a case study for a urban drainage area.

위험도 기반 지역별 정규 CSOs 곡선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isk - based Local Normal CSOs Curve Designs)

  • 조덕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9권7호
    • /
    • pp.575-58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강우로 인한 유출 유량의 수질 조절 시스템의 경제적인 설계절차를 제시하였다. 유출수의 수질 조절 시스템 계획을 위해서는 전 기간치의 국지 연속강우기록에 대한 강우-유출 과정의 모의를 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 강우의 확률분포는 지수감소함수를 따른다고 가정하여 적용함으로서 비 초과확률 분포를 설명할 수 있는 정규곡선을 유도하였다. 또한 유출수의 수질 조절시스템의 저류용량 및 유량 결정을 위하여 월류 위험도를 기반으로 최적곡선을 유도하였다. 최적 저류용량 및 유량의 적용성을 강우 유출 모형인 ILLUDAS에 의한 분석결과와 비교하였으며 본 연구에서와 같이 최적 CSOs(Combined Sewer Overflows)을 지역별로 유도하게 되면 강우로 인한 유출 유량의 수질 조절시스템을 적은 노력과 시간으로 위험도를 기반으로 계획에 이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