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master plan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22초

ODA 사업으로서 도시 마스터플랜 수립 사업의운영방식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Management Plan of City Master Planning as ODA Project)

  • 김용진;김성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799-2806
    • /
    • 2015
  • 본 연구는 국제개발협력사업 중 도시의 마스터플랜 수립 사업에 대하여 경제적 효과를 제고하기 위한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KOICA의 최초 도시 마스터플랜 수립 사업인 베트남 하이퐁 신도시개발 프로젝트와 가장 최근 사업인 후에시 마스터플랜 개선사업이 활용되었다. 사례 연구 결과 두 프로젝트 모두 베트남 법정계획으로 반영되는 등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으나, 후에 프로젝트의 경우에만 후속 사업으로 연결되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 프로젝트 참여자들의 ODA 사업에 대한 이해 정도, 베트남 지역 및 중앙 정부와의 관계 개선 노력, 그리고 프로젝트의 주요 목적의 차이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ODA 사업의 경제적 효과 제고를 위한 전문가 심층 인터뷰 결과 크게 네 가지 중요 고려 사항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과업 초기부터 후속 사업에 대한 적극적인 발굴과 검토가 중요하며, 둘째, 연구책임자의 ODA 사업에 대한 경험 및 이해 정도가 중요하며, 셋째, 수원국과의 밀접한 관계 형성에 힘써야 하고, 마지막으로 KOICA의 적극적 자세와 지원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녹지축의 생태적 기능 강화를 위한 도시녹지 연결경로 도출 연구 - 수원시 대상 - (Research on the Urban Green Space Connection Paths forthe Enhancement of Ecological Function - Focused on Suwon -)

  • 최재연;김수련;박찬;송원경;정경민;김은영
    • 환경영향평가
    • /
    • 제31권4호
    • /
    • pp.201-213
    • /
    • 2022
  • 도시의 환경문제 해결과 관리방안으로 자연기반해법(Nature based Solution, NbS)이 대두되면서 도시지역의 녹지 확보 및 관리가 강조되고 있다. 개발 압력이 높은 도시지역은 녹지의 파편화 및 단절로 도시녹지의 연속성 확보를 위한 계획적 접근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행 제도에서 녹지축은 구체적인 녹지와 연결이 필요한 경로의 위치를 제공하지 못하고, 개별 녹지조성사업과 연계되지 못해 연속성 관점에서 일관된 녹지관리 체계로 활용성이 낮다. 따라서 본 연구는 NDMI (Normalized Difference Moisture Index), 불투수율, 녹지조성비용의 정보를 기반으로 연결경로를 도출할 수 있는 방안을 구상하고 수원시에 시범 적용하여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통해 기존의 녹지축보다 비용효율성이 높은 구체적인 연결경로의 도출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계획적 활용 방안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지방도시 도시재생 사례를 통해 본 경관계획 요소의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ying Landscape Planning Elements Through Urban Regeneration Cases in Local Cities)

  • 김성호;신병욱;이웅구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51-62
    • /
    • 2020
  • Article 6 of the Landscape Act stipulates that "the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establishes a basic landscape policy plan every five years in order to create a beautiful and pleasant landscape, discover and support excellent landscapes." This is a comprehensive plan for landscape policy, a national plan that presents basic directions and strategies for the formation and continuous management of excellent national landscape. The basic landscape policy plan is a plan established every five years. It is an action plan that establishes a medium-term strategy for landscape policy and proposes specific implementation plans. Landscape-related policies are established in various fields, such as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the private sector, and are based on mutual cooperation. Local cities voluntarily establish basic landscape plans, but in terms of integration, there are few cases in connection with urban regeneration. However, when the existing city establishes the basic landscape plan, the effect will be doubled if a new city is comprehensively constructed in relation to urban regeneration from the overall aspect of the ci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data so that a master landscape plan can be established by analyzing and synthesizing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city centering on Jeonju, a representative local city.

공원녹지기본계획의 운영체계 및 계획내용에 관한 연구 - 런던, 뉴욕, 베를린, 시드니, 서울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Operational Systems & Planning Contents of Parks & Green Space Plan - Focused on London, New York, Berlin, Sydney, Seoul -)

  • 채진해;조경진;김승주;허윤경;황주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91-102
    • /
    • 2014
  • 최근 도시정책에서 도시공원이 차지하는 비중은 확대되고 있다. 좋은 도시공원체계 확보를 위해서 공원정책 및 계획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세계 주요도시의 공원녹지 관련 계획의 운영체계와 계획내용을 비교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도시적 차원에서의 공원녹지기본계획의 운영체계 및 계획내용에 관한 비교연구이다. 연구대상지로는 영국 런던, 미국 뉴욕, 독일 베를린, 호주 시드니, 국내 서울을 선정하였고, 분석자료는 각 도시별 공원녹지 관련 기본계획 및 전략보고서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의 틀은 운영체계와 계획내용으로 구분하여 설정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원녹지계획을 관련자원과 연계된 오픈 스페이스 계획으로 수립함으로써 자원의 통합적 관리 및 형평성에 대한 실천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둘째, 공원녹지계획이 초기의 양적 공급에서 질적가치의 향상으로 더 나아가 재활성화 및 재생에 이바지하는 방향으로 전환하고 있다. 셋째, '공급중심의 계획'에서 '수요에 기반한 평가' 모델로 전환함으로써 인구학적 변화, 트렌드 변화, 선호도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계획 모델로 수립되고 있다. 넷째, 계획의 주체, 수립단계별 참여 기회 확대, 참여구성원의 다양화를 통해 수동적 참여에서 적극적 참여계획으로 전환되고 있다. 공원녹지기본계획의 실천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공원녹지에 관한 새로운 인식변화를 적극 수용하고, 공원 거버넌스를 수용을 도입하며 상황에 기민하게 대응하는 유연한 계획접근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중소도시의 녹지보전과 녹화추진 방안 - "지방의제 21' 실천을 중심으로 - (Devices for Greening and Conservation of Small City in Korea - Focused on Implementation of 'Local Agenda 21'-)

  • 박미호;이명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3-38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directions for urban greening and nature conservation in small-to-medium-sized cities in Korea for implementation of the Local Agenda 21 (LA 21 hereafter). In this paper, the status of implementation of the LA 21 in both Korea and Japan have been examined. In addition, the green-related plans of both countries have been compared. The cities of Jeonju and Sagamihara were chosen as examples to compare.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1)With regard to the responsible bodies, in Korea, the implementing plans were initiated by the environment-related authorities of local governments while, in Japan, the plans of action were initiated through consultative committees reflecting opinions from citizens and business entities. 2)Concerning the status of implementation of LA 21, the city of Jeonju has adopted a plan of action and then implemented the plan through a consultative body without adequate legal ground. On the other hand, the city of Sagamihara has enacted a local ordinance to implement the LA 21 It was learned that the newly enacted ordinance has positively been interrelated to existing environmental plans. 3)Regarding urban greening and nature conservation plans, the city of Jeonju has focused on comprehensive measures to preserve and restore ecology while the city of Sagamihara has clearly suggested educational purposes in its plans in addition to preserving and restoring ecology. 4)In terms of support by law or legal system concerned, it has been teamed that, compared with Japan, Korean plans have not been properly supported by law or the legal system to urban greening and nature conservation plans. The same was shown in the city of Jeonju as compared with the city of Sagamihara. As for future directions, the follow are proposed: 1) establishment of a local Committee on Sustainable Development, 2) enactment of relevant and regulations such as the Master Plan of Parks and Green Open paces, 3) establishment of ecological greening plans.

Emerging Issues of Urban Management and Planning for Seoul

  • Kwon, Won-Yong
    • 지역연구
    • /
    • 제12권2호
    • /
    • pp.69-78
    • /
    • 1996
  • This paper intends to raise some of urban policy issues of managing and planning Seoul for the twenty first century. As one of the world's most dynamic megacities, Seoul is faced with at least two trends: one is globalization of the economy, and the other is humanization of urban development in relation to people's quality of life. Given this context, there are emerging issues in a time of transition as the following; pedestrianization, decline of city master plan, micro land use control, citizen involvement, metro-wide management, infrastructure provisions and maintenance, sustainable development, urban information sustaniable development, urban information system, and public-private partnership.

  • PDF

도시하천(都市河川)을 이용(利用)한 도시림간(都市林間) 생태통로(生態通路) 조성(造成) 기본계획(基本計劃) (Eco-corridor Master Plan Connecting Urban Forests via the Urban Stream)

  • 강병선;이규석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36-45
    • /
    • 2001
  • Natural disturbances and human development can cause habitat fragmentation. Plant and wildlife can become isolated, and habitat fragmentation and shrinkage have been recognized as a key issue facing the conservation of biological diversity. However, eco-corridors can alleviate the problem by providing linkages between isolated patch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lan the eco-corridor for connecting urban forest via the urban stream with low cost and to restore the ecosyst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Falco subbuteo, and Dryocopus martius inhabit in the study site. They are protected species designated by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Thus the study site should be preserved as urban wildlife habitat species biodiversity (2) If the biodiversity of the study site is maintained properly, the eco-corridor can be constructed with low cost.

  • PDF

개발계획 환경평가 단계에서의 소음지도 활용방안 (Utilization of Noise Map in the Stage of Environmental Assessment on Development Project)

  • 선효성
    • 환경정책연구
    • /
    • 제9권3호
    • /
    • pp.29-46
    • /
    • 2010
  • 소음지도를 활용하여 개발계획의 수립단계에서 환경소음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도시기본계획의 전략환경평가와 도시개발사업의 환경영향평가를 대상으로 하였다. 도시기본계획의 전략환경평가에서는 도시지역의 개발계획내용과 소음지도 제작결과를 상호 비교 검토하여 환경소음의 영향을 고려한 계획의 타당성과 입지의 적정성을 검토하고 도시지역의 소음현황과 개발계획의 시행으로 인한 소음영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그에 따른 장기적인 저감대책을 수립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시개발사업의 환경영향평가에서는 소음지도를 통한 개발지역 주변의 소음현황 파악, 환경소음의 현황과 개발사업으로 인한 소음영향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 다양한 소음저감방안 적용에 따른 소음지도 제작결과의 비교 검토를 통한 최적의 대책 마련 등을 포함한 소음지도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농촌지역 활성화를 위한 도시공원의 활용 - 구례군 백련제 주변 관광자원화사업을 사례로 - (The Utilization of Urban Park for the Activation of Rural Area - Focus on the Baelyeonje Nearby Tourism Resources Development, Gulye-gun-)

  • 박지환;오창송
    • 농촌계획
    • /
    • 제24권3호
    • /
    • pp.105-115
    • /
    • 2018
  • This study is conducted to propose urban park utilization and master plan in rural areas. Urban parks designed for the rural areas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a themed type for rural tourism, a community type for hub regenerations and a waterfront type for using agricultural reservoirs. To use the themes and characteristics of ruralness, these types are required a multi-layered spatial structure. And ecological, cultural and economic networks of local tourism resources have to be integrated by utilizing agricultural reservoirs. Therefore, urban parks in rural areas can be defined as a part of the public benefit project aiming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Also, urban parks are necessary to use attractions and amenities in rural areas.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s, this study proposed two sustainable master plans as the tourism resource development project for Baelyeonje, Gulye-gun. For ecological and cultural sustainability, this study proposed the environment restoration plan which reinforces the scenic resource of Nogodan in Mt. Jiri by developing the underdevelopment plan with consideration of the local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resources. For economic sustainability, building the Mt. Jiri tourism complex and economic communities are needed to promote investments for securing mutual economic benefits. To achieve the sustainability, further studies related to the social equity and investment of private capital in rural areas ar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