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heat island intensity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9초

춘천지역 도시열섬의 특성과 대기질에 미치는 영향 (Aspects of Urban Heat Island and Its's Effect on Air Pollution Concentration in Chunchon Area)

  • 이종범;김용국;김태우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03-309
    • /
    • 1993
  • An observational study of urban heat island was carried out using field data obatined during 6 days in May and August 1992 in Chunchon(population size 180.000). Air temperature was measured at 64 points along two sampling ruoutes by themisters attached to cars. Both routes cover urban and rural area and across the cneter of urban area. Continuous observation of air sonde was perfomed to clarify heights of nocturnal boundary layer(NBL) at the center of urban area. Surface meteorological observations were performed at both urban and rural sites. This study showed that heat island phenomena was obviously observed at the urbanized area during the night time with low wind speed. The average NBL heights exteded to about 10 meters, but varied with meteorological conditions. After sunset, the air temperature decreased with time at both sites and cooling rate at the urban site was greater than the rural site. The maximum heat island intensity was 7.5$^{\circ}$C at 21 LST, May 4. Usingthe two meteorological data sets obtained from urban and rural sites, the air pollutant concentration was calculated by Gaussian plume model which can obtain not only horizontal distribution of concentration but also vertical distribution.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concentration resulted from urban meteorological data set was lower than that from rural meteorological data set. It was also calculated that the air pollutant extended to higher level in urban meteorological data set than that in rural meteorological data set.

  • PDF

Landsat영상을 이용한 토지피복 변화에 따른 행정중심복합도시의 표면 열섬현상 변화분석 (Analysis of the Surface Urban Heat Island Changes according to Urbanization in Sejong City Using Landsat Imagery)

  • 이경일;임철희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25-236
    • /
    • 2022
  • 도시의 인구 증가와 이에 따른 개발로 인한 도시화는 도시 내 열섬현상과 같은 다양한 환경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특히 계획적으로 구축되는 신도시의 경우 짧은 기간에 진행되는 급격한 도시화로 인한 도시 기후의 변화를 분석하기에 적절한 연구대상지로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Landsat-8 Operational Land Imager/Thermal Infrared Sensor (OLI/TIRS)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세종특별자치시 내 행정중심복합도시의 2013년부터 2020년 개발계획에 의한 토지피복 변화와 이에 따른 표면 열섬현상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위성영상에서 제공하는 열적외선 밴드값과 방사율을 고려하여 지표면온도를 산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표면 열섬현상 강도와 Urban Thermal Field Variance Index (UTFVI)의 변화분석을 수행하였다. 개발이 진행됨에 따른 토지피복 변화 및 피복별 열섬현상 강도의 차이 확인을 위해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중분류 토지피복지도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지역의 시가화 면적은 15% 증가하였고 자연식생은 28% 이상 줄어든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에 따른 열섬현상의 확장 및 강도 증가가 관측되었고, 열섬현상이 발생된 지역의 생태적 수준은 매우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급격한 도시화에 따른 열 환경의 정량적 변화 및 생태적 수준을 확인하고, 주거환경의 열 환경 개선을 위한 추가적인 정책의 필요성이 제시될 수 있다.

관측과 기상모델을 이용한 춘천지역의 도시열섬현상 연구 (A Study of Urban Heat Island in Chuncheon Using WRF Model and Field Measurements)

  • 이종범;김재철;장윤정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9-130
    • /
    • 2012
  • Heat island phenomena in Chuncheon (Korea) were investigated using air temperature measured by automatic weather stations and temperature dataloggers located at rural and urban sites. Numerical simulation of the phenomena was performed using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Urban Canopy Model (WRF-UCM) and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observation. The model was initialized with NCEP/FNL data. The horizontal resolution of the fine domain is 0.33 km. The results of observational analyses show that the intensity of heat island was significantly higher during the nighttime than during the daytime. The highest measured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rural and urban site is $3.49^{\circ}C$ and average temperature difference varies between 1.4 and $1.9^{\circ}C$. Good agreement was found between the simulated and observed temperatures. However, significantly overestimated wind speed was found at the urban sites. The linear regression analysis between observed and simulated temperature shows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0.96 for urban and 0.94 for rural sites while for wind speed, a very low correlation coefficient was found, 0.30 and 0.55 respectively.

기상청 국지기상예측시스템을 이용한 서울의 도시열섬강도 예측 평가 (Evaluation of the Urban Heat Island Intensity in Seoul Predicted from KMA Local Analysis and Prediction System)

  • 변재영;홍선옥;박영산;김연희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35-148
    • /
    • 2021
  • 본 연구는 기상청 현업모델(LDAPS)로부터 예측된 서울의 도시열섬 강도와 지상 기온을 AWS 관측과 비교 평가하였다. 관측된 서울의 열섬 강도는 봄과 겨울동안 증가하며 여름동안 감소한다. 열섬 강도의 시간적 변동 경향은 새벽 시간 최대, 오후에 최소를 보인다. 기상청 국지기상예측시스템(LDAPS)으로부터 예측된 열섬 강도는 여름철 과대모의, 겨울철 과소모의 특징을 보인다. 특히 여름철은 주간에 과대 모의 경향이 증가하며, 겨울은 새벽 시간 과소 모의 오차가 크게 나타난다. LDAPS에서 예측된 지면 기온의 오차는 여름철 감소하며 겨울철 증가한다. 겨울철 열섬 강도의 과소 모의는 도시 기온의 과소 모의와 관련되었으며, 여름철 열섬 강도의 과대 모의는 교외 지역 기온의 과소 모의로부터 기인하는것으로 판단된다. 도시 열섬강도 예측성 개선을 위하여 도시효과를 고려하는 도시캐노피모델을 LDAPS와 결합하여 2017년 여름 기간동안 모의하였다. 도시캐노피모델 적용 후 도시의 지면 기온의 오차는 개선되었다. 특히 오전시간 과소모의되는 기온의 오차 개선 효과가 뚜렷하였다. 도시캐노피모델은 여름동안 과대 모의하는 도시열섬강도를 약화시키는 개선 효과를 보였다.

수원시 녹지 조성 및 주변 환경에 따른 녹지 냉각 효과의 변화 (Variation of Green Space Cooling Effect Influenced by Its Composition and Surroundings in Suwon City)

  • 이승연;전성우
    • 환경영향평가
    • /
    • 제32권3호
    • /
    • pp.176-186
    • /
    • 2023
  • 도시열섬(Urban Heat Island; UHI)은 도시가 인근 지역에 비해 뜨거운 현상을 의미하며 도시 내부의 건물의 구성, 토지피복의 종류 등이 변화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도시열섬을 완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녹지공간의 조성인데, 녹지가 제공하는 냉각효과의 경우 녹지의 내부 구성 요소 및 녹지의 크기에 따라 변화한다. 본 연구는 다양한 토지피복으로 구성된 수원시를 대상으로 녹지의 크기와 녹지를 구성하는 요소들에 따른 냉각효과의 차이를 확인하고, 녹지의 인근 토지피복에 따라 녹지로부터 제공되는 냉각효과의 차이를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녹지의 초기 온도는 산림의 비율이 높을수록, 그리고 호수가 존재할수록 낮아졌다. 냉각효과 중 하나인 냉각강도는 숲의 비율이 높을수록 강해졌지만, 초기 온도가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다만 냉각 거리는 녹지의 크기나 구성에 따라 달라지지 않음을 확인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시의 계획 시 열섬을 완화하기 위한 녹지 설계 방안을 제시한 다는 점에 의의를 가진다.

신도시 개발에 따른 표면 열섬현상 변화분석 및 도시 형태와의 상관관계 (Analysis of the Surface Urban Heat Island Changes according to NewTowns Development and Correlation with Urban Morphology)

  • 이경일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5_3호
    • /
    • pp.921-932
    • /
    • 2023
  • 도시 인구집중 및 도시확장에 의한 토지피복 변화는 도시 내 열섬현상과 같은 다양한 환경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특히 계획적으로 구축되는 신도시의 경우 짧은 기간에 진행되는 급격한 도시화로 인한 도시 기후의 변화를 분석하기에 적절한 연구대상지로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Landsat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분당 및 판교 신도시를 대상으로 개발 전후 토지피복 변화와 이에 따른 표면 도시열섬(surface urban heat island, SUHI) 현상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SUHI 강도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도시구조적 특징들 간 상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신도시 개발이 진행됨에 따른 토지피복의 급격한 변화 및 이에 따른 SUHI 현상의 직접적인 심화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각기 다른 도시계획에 의한 SUHI 현상의 차이를 확인하고 열 환경 개선을 위한 입체적인 도시계획의 필요성이 제시될 수 있다.

Study on the Urban Heat Island(UHI) using Remote Sensing data

  • Kyung, H.M.;Kim, Y.S.;Park, K.W.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846-848
    • /
    • 2003
  • Analysis of UHI in Busan region using Landsat TM data. Between 1987 and 1997 surface temperature increased clearly. Land usage of Busan is construed that instigate UHI changing into industry and commerce area. Also, intensity of UHI in surface temperature appeared strongly in industrial area and business area. On the contrary, residential area, mountain area, suburb area did not appear strongly.

  • PDF

WRF-UCM (Urban Canopy Model)을 이용한 서울 지역의 도시기상 예보 평가 (Evaluation of Urban Weather Forecast Using WRF-UCM (Urban Canopy Model) Over Seoul)

  • 변재영;최영진;서범근
    • 대기
    • /
    • 제20권1호
    • /
    • pp.13-26
    • /
    • 2010
  • The Urban Canopy Model (UCM) implemented in WRF model is applied to improve urban meteorological forecast for fine-scale (about 1-km horizontal grid spacing) simulations over the city of Seoul. The results of the surface air temperature and wind speed predicted by WRF-UCM model is compared with those of the standard WRF model. The 2-m air temperature and wind speed of the standard WRF are found to be lower than observation, while the nocturnal urban canopy temperature from the WRF-UCM is superior to the surface air temperature from the standard WRF. Although urban canopy temperature (TC) is found to be lower at industrial sites, TC in high-intensity residential areas compares better with surface observation than 2-m temperature. 10-m wind speed is overestimated in urban area, while urban canopy wind (UC) is weaker than observation by the drag effect of the building. The coupled WRF-UCM represents the increase of urban heat from urban effects such as anthropogenic heat and buildings, etc. The study indicates that the WRF-UCM contributes for the improvement of urban weather forecast such nocturnal heat island, especially when an accurate urban information dataset is provided.

지역규모 분석 모델을 이용한 서울 도시열섬 특성 연구 (A Study of the Urban Heat Island in Seoul using Local Analysis System)

  • 천지민;이선용;김규랑;최영진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19-127
    • /
    • 2014
  • A very high resolution weather analysis system (VHRAS) of 50 m horizontal resolution is established based on LAPS. VHRAS utilizes the 3 hourly forecast data of the Unified Model (UM)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with the horizontal resolution of 12 km as initial guess fields. The analysis system ingests the automatic weather station (AWS) data as input observations. The analysis system operates every hour for Seoul, Korea region in real time basis. It takes less than 10 minutes for one analysis cycle. The size of grid of the analysis domain is $800{\times}660$, respectively. The analysis results from December 2010 to February 2011 showed that the mean biases of temperature,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 were -0.07, 1.6, $0.2^{\circ}C$, respectively. The temperature in the central part of the city revealed relatively higher value than that of the surrounding mountainous areas, which showed a heat island feature. The heat island appears in zonal direction since the central city region is developed along a large river. Along the heat island, the eastern region was warmer than the western region. The warmer temperature in the western part of the heat island was caused by anthropogenic heat change in conjunction with the change of land use. This system will provide more reliable weather data and information in Seoul.

토지이용 유형별 도시열섬강도 분석 (Urban Heat Island Intensity Analysis by Landuse Types)

  • 제민희;정승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1-12
    • /
    • 2018
  • 하절기 폭염은 도시환경의 질적 저하, 온열질환자 증가 등의 원인으로 도시열섬현상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 상황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폭염이 심각하게 발생한 시기의 기상측정정보를 수집하여 토지이용 유형별로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에 이용한 기상측정정보는 통신망으로 연결된 소형 자동기상 측정장비(AWS)로 소형화를 통해 기존의 일반적인 측정장비보다 측정지점의 간격이 현격히 줄어든 장점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토지이용 유형별 기온변화의 차이를 분석할 수 있었고, 시간대별 토지이용별 열섬강도 비교를 통해 열대야 현상 발생 패턴, 녹지의 온도저감 효과 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기상정보 측정과 지도화, 시간대별 토지이용별 비교분석 방법론과 분석 결과는 향후 열섬 저감을 위한 도시계획수립 시 참고할 수 있는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