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complex

검색결과 1,120건 처리시간 0.025초

도시형 자기부상열차 실용화사업의 상세설계검토(CDR) 수행 사례 (A study on the Critical Design Review in case of Urban MAGLEV Train)

  • 정경렬;박철호;송선호
    • 시스템엔지니어링학술지
    • /
    • 제4권1호
    • /
    • pp.45-51
    • /
    • 2008
  • This paper presents template for Critical Design Review(CDR) in case of Urban MAGLEV Program. CDR was executed to confirm for design result based on requirements at last design stage. The integrated template for effective CDR includes requirements, specification and verification items. CDR needs to confirm satisfaction of requirements for design result and define verification method for technical validity. This template will help a consistent and integrated design review. And it is specially useful in huge and complex project.

  • PDF

웹 기반의 도시철도 전문가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Web based Expert System for Urban Transit)

  • 이호용;박기준;안태기;이안호;하천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5년도 제36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B
    • /
    • pp.1640-1642
    • /
    • 2005
  • Urban transit is a complex system that is combined electrically and mechanically,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maintenance system for securing safety accompanying high-speed driving and maintaining promptly. Expert system is a computer program which uses numerical or non-numerical domain-specific knowledge to solve problems.

  • PDF

인터넷 통신을 이용한 환경소음 측정 분석 및 평가 관리 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Management System for Measurement and Characteristic analysis, Evaluation of Environmental Noise)

  • 유동준;이상권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60-165
    • /
    • 2004
  • In these days, the people living in the urban is suffer from the environmental noise because the number of car increase in the city, and a lot of new industrial complex is made in the urban every. But there is no suitable system for measurement and management of environmental noise. Therefore, in this research, a new system for the measurement, characteristic analysis and evaluation, management of environmental noise using Internet communication is developed. The system includes the environmental noise measurement equipment and the controller for the noise measurement, analysis and evaluation, management.

  • PDF

Impediments to Driving Smart Cities: a Case Study of South Korea

  • Kim, Yiinjung;Hwang, Ha;Choi, Hojin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10권2호
    • /
    • pp.159-176
    • /
    • 2021
  • Over the past two decades, smart cities have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a means of solving urban problems and as a model for securing urban sustainability.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various fields such as conceptual definitions, classification, new technologies, case analysis, and civic participation of smart cities. In particular, applicable technologies and their importance have been highlighted so far. However, since a city is a complex and meta-systematic space, it is the overly optimistic prospect that technology, one of the smart city components, will lead to successful smart cities. This study elucidates the impediments to driving smart cities as a case study of South Korea, a leading country in smart technology and digital transformation. We examined three comprehensive national plans for promoting smart cities and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experts in smart cities to analyze the obstacles to carrying smart cities. We classified the thirteen impediments into technological, industrial, governmental, and social factors as a result. Some of them are generic issues in policy establishment and enforcement, while others are specific to smart cities.

Conversion Vertical Platform: Changdong·Sanggye Start-Up and Culture Industry Complex

  • Do Yong Um
    • 국제초고층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263-272
    • /
    • 2023
  • Role of architecture should not be limited to function of providing an inhabitable space but also include urban and social role of its impact to the public and surrounding area. Role of landmark building should be further expanded beyond and landmark building speaks out its aesthetics with mass form and/or with its appearance of façade. With study of this project, idea of landmark building is shifted from vertical extrusion of the land to horizontal extrusion of large space from the face of building. It is a double extrusion creating large assembly space up in the air linking surrounding masses.

GIS 자료를 활용한 도시 재개발 주변 지역의 일조 환경 분석 (A Study on the Sunshine Environment Around Urban Redevelopment Area Using a GIS Data)

  • 강정은;박수진;김재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749-76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고층 건물 신축에 의한 주변 지역의 일조 환경 변화를 계절별로 분석하였다.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자료를 이용하여 부산광역시 부경대학교 일대를 중심으로 지형과 건물을 구축하고, 고층 건물 건설 전과 후에 대해 계절별로 일조 모델을 수행하였다. 고층 건물 단지 건설 전에도 대상 지역의 남동쪽에 위치한 아파트 단지와 남쪽에 위치한 봉오리산의 영향을 받아 일조 차단 영역이 넓게 나타났다. 고층 건물 단지 건설에 의해 주변 지역의 일조 시간이 감소하였고, 일출과 일몰 시간대에는 일조 차단 면적이 증가하였다. 일출 1시간 후의 경우에는 춘분(1.60%), 추분(1.58%), 하지(1.50%), 동지(1.36%) 순으로 일조 차단 면적이 증가하였다. 부경대학교 동쪽(남쪽)에 건설된 고층 건물 단지는 일출(일몰)시 서쪽(동쪽)으로 1,000 m(750 m) 이상의 지점까지 일조가 차단되었다. 특히, 부경대학교 내부에서는 춘분, 하지, 추분, 동지에 각각 46.61%, 22.75%, 58.56%, 11.31%의 일조 시간이 감소하였다. 부경대학교 기숙사 건물에 대해 겨울철 1주일 동안 일조 시간을 조사한 결과, 남쪽 고층 건물 단지 건설은 기숙사 건물 서쪽(남쪽) 벽면의 일조 면적을 30.91%(49.45%) 정도 감소시켰다.

저층·고층 아파트가 혼합배치된 단지에서 공기단축이 건설사업비에 미치는 영향 분석 (Effects of Time Shortening on Project Cost in Housing Complex with Different Number of Layers)

  • 방종대;천영수;전명훈;김사랑;이도헌
    • 토지주택연구
    • /
    • 제3권4호
    • /
    • pp.415-421
    • /
    • 2012
  • 최근 도시 미관이 중요시 되면서 동일 아파트 건설단지 내에서 저층과 고층 아파트가 혼합배치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A공사에서 발주한 아파트 사업지구 중 고층 동들과 저층 동들 간의 층수 차가 4층 이상인 지구가 약 33%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공사의 공기는 단지 내최고층 동을 기준으로 산정한다. 이로 인해 전체 사업지구의 공사기간이 길어지고, 길어진 공기는 해당사업의 사업성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동일 단지 내 저층 고층 아파트 동들이 혼합 배치된 사업지구(이하 "혼합사업지구"라 한다)의 사업성 제고를 위해 일부 고층동 아파트의 골조공기를 단축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혼합사업지구의 다양한 유형으로 인해 어떤 경우에는 공기단축이 사업성을 더 나쁘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유형을 갖고 있는 혼합사업지구의 골조공기 단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자료제공을 위해 혼합사업지구의 일부 고층동에 대한 골조공기 단축이 건설사업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네트워크형 터널의 풍량 및 농도해석 프로그램 개발연구 (Development of a program to predict the airflow rate and pollutant concentration in complex network-type tunnels)

  • 김효규;최판규;류지오;이창우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213-229
    • /
    • 2017
  • 최근 도심지 터널은 진출입 Ramp를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네트워크형 터널이 건설되고 있다. 더불어 터널환기 해석을 위한 다양한 네트워크 이론 기반의 1D 프로그램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 hardy-cross 법에 기초한 네트워크형 터널에 대한 풍량 및 농도해석이 가능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터널 구간내 풍량해석은 Gradient 법에 기초하고 있으며, 농도해석을 위하여 복잡한 네트워크 구조에서 유입과 유출농도를 자동계산 할 수 있는 로직을 개발하였고, 저속풍량구간에서는 수치해석적 오차를 축소시키기 위한 적정 그리드 간격을 제시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의 적정성을 검증하기 위해, 일자형 터널을 대상으로 고전적인 Sokic의 풍속 선도법 및 TVSDM 프로그램과의 풍속비교검증을 수행하였으며 오차율은 1% 이하였다. 또한 최근 건설되는 도심지 터널에 적용중인 최신 환기방식에 대한 네트워크 환기해석을 수행하였다.

비둘기 깃털을 이용한 납 오염 모니터링 (The Use of feral Pigeon's (Columba livia) Feathers as a Monitor for Lead Pollution in Korea)

  • 남동하;이두표;구태회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33-238
    • /
    • 2002
  • 비둘기 깃털을 이용하여 섬지역(경기도 덕적도), 도심지역(서울), 공단지역(여천, 안산, 울산, 부산)의 납 오염 수준을 모니터링 해본 결과, 깃털의 평균 납 농도는 섬지역이 2.55 $\mu\textrm{g}$/wet g, 도심 지역이 4.99 $\mu\textrm{g}$/wet g, 공단지역이 3.08~9.01 $\mu\textrm{g}$/wet g, 으로 각 지역간에 유의한 농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다만, 여천 공단의 경우 다른 공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섬지역과 비슷한 수준의 납이 검출되었다. 이러한 각 지역간 깃털의 납 농도는 대기오염 농도와도 비슷한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납 농도가 비교적 낮은 덕적도와 여천 공단의 경우 간과 깃털 조직간에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지만(p<0.05) 그외의 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간 농도에 비해 깃털의 농도가 높았으며, 두 조직간에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이와 같은 결과는 덕적도와 여천 공단지역의 깃털 중 납의 대부분은 체내 조직으로부터 깃털로 이행되어진 것으로 판단되지만, 그 외 지역에서는 체내 조직에서 깃털로 이행된 양보다는 외부로부터 깃털에 부착된 양이 더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

노후 근린생활권 정원 활동이 지역 주민의 삶의 만족과 커뮤니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경기도 안산시 고잔1동 연립주택단지를 대상으로 - (A Study on How Urban Gardening Affect Citizens' Quality of Life and Social Capital in Deteriorated Neighborhood - Focus on the Residential Complex in Gojan 1-Dong, An San City -)

  • 박지은;성종상;손용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56-71
    • /
    • 2023
  • 삶의 질 향상과 환경에 관한 관심 고조로 도시 녹지 공간에 대한 시민들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작은 규모로 토지 소유 논란이 적으면서 조성이 수월하고, 주거지에 인접하여 주민 일상 속 환경개선의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정원에 주목할 만하다. 더욱이 최근 국가 정책사업인 도시재생사업의 일환으로 마을 정원을 낙후 주거 지역에 조성하는 사례가 증가하는 등 도심 정원의 의미와 역할이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정원이 지역사회에 가져오는 긍정적 효과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그러나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공원이나 숲과 같이 일정 규모 이상의 녹지에 한정하여 그 효과를 살피고 있고, 정원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연구는 미진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정원과 정원 활동이 지역사회에 가져오는 긍정적 효과를 정량적으로 살피고자 한다. 특히 지역 주민들의 삶의 만족과 주민 간 교류 등 사회적 측면에 주목하여 도심 속 정원의 의의를 살폈다. 연구 대상지는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1동의 노후 저층 연립주택단지 밀집 지역이다. 이곳은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근린생활권 내 자투리 공간을 활용하여 정원을 가꿔온 지역이다. 또한 2017년 경기 정원박람회 때 단지 내·외부 공간에 정원이 조성되고 현재까지 존치된 지역이다. 따라서 다양한 유형의 정원이 자리하고 있어 주민들의 정원 활동 및 그 효과를 연구하기에 적합한 사례 지역이었다. 연구 과정은 현장답사를 통해 해당 지역의 정원 및 정원 활동 현황을 살폈고, 이후 정원 활동 여부와 양상이 주민들의 행복감 및 사회자본에 영향을 미치는지 설문하였다. 설문 내용은 t-test 및 ANOVA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원 활동하는 주민이 정원 활동을 하지 않는 주민보다 '이웃 교류' 및 '주민참여'가 더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주민이 직접 만든 정원에서 정원 활동을 하는 경우가 정부 사업으로 조성된 정원에서 정원 활동을 하는 경우보다 '삶의 만족도'가 더 높았다. 더불어 단지 내에서 정원 활동하는 경우가 단지 외부 정원을 이용하는 것보다 '삶의 만족' 지수가 높게 '부정적 감정'은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정원이 노후 주거지역의 주민 간 교류 및 커뮤니티 참여를 촉진하고, 삶의 만족도를 높여주는 등 긍정적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향후 지역재생 및 공간복지 차원으로 노후 주거지역에 정원을 조성할 때 주민이 정원 조성 및 운영 과정에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정원의 위치 선정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