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Urban Runoff

Search Result 581,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nalysis of Hydrologic Cycle and BOD Loads Using HSPF in the Anyancheon Watershed (HSPF 모형을 이용한 안양천 유역의 물순환 및 BOD 부하량 분석)

  • Lee, Kil-Seong;Chung, Eun-Sung;Lee, Joon-Seok;Hong, Won-Py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0 no.8
    • /
    • pp.585-600
    • /
    • 2007
  • The hydrologic cycle and BOD pollutant loads of all sub-watersheds were analyzed using HSPF (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Fortran). At first, sensitivity analyses to water quantity (peak discharge and total volume) and quality (BOD peak concentrations and total loads) were conducted and some critical Parameters were selected. For more precise simulation, the study watershed was divided into four parts according to the landuse characteristics and used climate data and so calibrated and verified respectively. It was found that as the urban area ratio increases in the downstream direction, baseflow decreases (11.1 % $\rightarrow$ 5.0%) and the ratio of direct runoff volume(42.5 % $\rightarrow$ 56.9 %), BOD concentration (3.3 mg/L $\rightarrow$ 15.0 mg/L) and unit loads (55.4 kg/ha/year $\rightarrow$ 354.5 kg/ha/year) increase.

Impacts Assessments of River Linked with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by CSOs in Urban Area (도시지역 월류수에 의한 비점오염원의 유출 특성과 연계한 하천 영향 평가)

  • Kim, You-Seong;Ko, Hyuk-Bae;Ahn, Sang-Dae;Kim, Won-Il;Ahn, Wo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92-96
    • /
    • 2008
  • 최근에 이상기후로 인한 집중호우는 단시간의 높은 강우 강도의 발생을 증가시켜 재해 유발의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유역 내 비점오염원이 합류식 관거의 월류수인 CSOs(Combined Sewer Overflows)의 형태로 강우와 함께 유입되어 수질 및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월류수의 유출특성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을 통하여 유량 및 수질 등의 오염부하량에 대한 적절한 저감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점오염원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도시유역에 강우로 인한 월류수의 유출 특성 변화를 분석함과 동시에 월류수가 하천에 방류되었을 때의 하천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통하여 하천의 효율적인 수질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경기도 구리시를 대상유역으로 선정하였으며, 도시 강우-유출 모델인 SWMM을 사용하여 유역의 유출량 및 월류수의 수질 모의를 수행하였으며, 유역의 최종 방류구에 비점오염 저감을 위해 설치된 저류지를 통해 하천으로 배출되는 유출수와의 연계는 미국 환경청에서 개발된 WASP 모델을 적용하여 왕숙천 본류에 대한 월류수 변화가 하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저류지 설치 전 후의 하천에 월류수가 미치는 영향을 BOD 농도를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저류지 설치 후 BOD 농도의 저감율은 설치 전 보다 최소 1.9%, 최대 81.2%의 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신뢰도 높은 수질모의를 위해서는 월류수 발생시 월류수와 하천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현장 여건을 반영할 수 있는 입력변수의 도출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Hydrological Assessment of Multifractal Space-Time Rainfall Downscaling Model: Focusing on Application to the Upstream Watershed of Chungju Dam (멀티프랙탈 시·공간 격자강우량 생산기법의 수문학적 적용성 평가 : 충주댐상류유역 중심으로)

  • Song, Ho Yong;Kim, Dong-Kyun;Kim, Byung-Sik;Hwang, Seok-Hwan;Kim, Tae-Wo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7 no.10
    • /
    • pp.959-972
    • /
    • 2014
  • In this study, a space-time rainfall grid field generation model based on multifractal theory was verified using nine flood events in the upstream watershed of Chungju dam in South Korea. For this purpose, KMA radar rainfall data sets were analyzed for the space-time multifractal characteristics. Simulated rainfall fields that represent the multifractal characteristics of observed rainfall field were reproduced using the space-time rainfall grid field generation model with log-Poisson distribution and three-dimension wavelet function. Simulated rainfall fields were applied to the S-RAT model as input data and compared with both observed rainfall fields and low-resolution rainfall field runoff. Error analyses using RMSE, RRMSE, MAE, SS, NPE and PTE indicated that the peak discharge increases about 20.03% and the time to peak decreases about 0.81%.

Analysis of Runoff Reduction Effect of Infiltration Facility Installation Position and Kinds of Infiltration in Urban Basin (도시유역의 침투시설 설치위치와 종류에 따른 유출저감효과 분석)

  • Lee, Jae-Joon;Kwak, Chang-Jae;Seol, Ji-Su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2a
    • /
    • pp.54.2-54.2
    • /
    • 2010
  • 본 연구는 침투시설의 설치위치와 종류에 따른 유출저감효과를 WinSLAMM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유역은 Driveway 38%, Residential Area 8%, Parking Storage 8%, Sidewalk 8%, Playground 8%, 투수유역(Landscaped Area) 30%와 같이 토지이용별로 구획된 총면적 $0.25km^2$의 전형적으로 도시화된 가상유역으로 설정하였다. 침투시설 설치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시설의 포화를 고려하기 위하여 10mm/hr~30mm/hr범위의 강우를 적용하였으며, 설치위치와 종류별 침투시설의 정량적인 유출저감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Residential Area, Parking Storage, Playground와 같은 유역내 불투수유역과 유출구에 해당하는 Outfall에 일정한 규모의 침투트렌치와 침투통을 설치하였다. 침투시설은 강우의 크기에 따라 시설의 포화가 진행되며 일정 규모 이상의 강우 발생시 침투기능을 상실하므로 강우의 크기에 맞는 포화시점을 찾아 적절한 규모로 설치해야하고, 경호우에서 유역내의 침투시설의 가용면적을 증가시키면 유출저감효과도 증가하였으나, 강우가 커질수록 상대적으로 가용면적이 큰 유출구와 차이가 없거나 오히려 더 낮은 유출저감효과가 나타나기도 하였다. 또한 설치위치에 침투시설을 비교한 결과, 경호우의 경우 동일한 유출저감효과가 나타났으나, 침투트렌치가 포화에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유출저감효과가 더 높았으며, 유출구에서는 침투트렌치가 침투통보다 더 높은 유출저감효과가 나타났다. 침투시설의 병행설치시 경호우에서는 병행설치의 효과가 없었으나 강우강도가 증가할수록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고, 유역내 침투시설의 병행설치시 가용면적을 증가시킬수록 유출저감효과도 증가하여 경호우 이상의 강우에서 병행설치를 고려되어야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Development of Grid-Based Distributed Runoff Model in Urban Area (격자기반 도시유역 분포형 유출모형의 개발)

  • Ryu, Hee-Sang;Kim, Mun-Mo;An, Wo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759-763
    • /
    • 2010
  • 본 연구는 격자기반의 지표면 유출 및 도시 유역 우수관거 유출해석모형으로서 유역을 관거 유입구를 기준으로 다수의 소유역들로 구분하고 각 소유역내 지표면 흐름을 비선형저류방정식으로 표현하여 유출량을 산정하는 방법 및 유역을 일정한 크기의 격자로 분할한 상태에서 각 격자의 유입 유출을 계산함으로써 주어진 시간 간격별로 유역 전체에 대한 물수지를 파악하는 격자 물수지식을 이용하는 방법을 결합하여 도시유역의 지표면 유출량을 산정하기 위한 격자기반의 분포형 지표면 유출해석 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출모형은 지표면 유출의 메카니즘을 비선형저류방정식으로 표현한다는 점에서 SWMM의 방법을, 격자기반으로 유출량을 계산 추적한다는 것이다. 또한 도시지역의 침수형태 및 원인을 파악함과 동시에 기존의 도시유출 해석모형을 일부 수정 및 보완하여 집중호우발생시의 지표이동류 흐름, 폐합형 우수관거, 하류부의 배수영향 등을 고려한 우수관거 유출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모형을 이용하여 가상 및 실제 유역에 대한 유출모의를 수행함으로써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격자기반 도시유출해석모형은 대상유역을 일정한 크기의 격자로 구성하고 개개의 격자마다 유출해석을 위한 지형정보와 수문정보를 입력하여 격자별 유출량을 계산 추적함으로써 유역의 임의의 위치에서의 유출량, 유출심의 시간적 변화와 공간적인 분포를 모의할 수 있다. 가상 및 실제 유역에 대한 유출해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형은 이동강우나 국지적인 집중호우 등 시공간적으로 변하는 수문 특성을 반영할 수 있고, 폐합형 우수관망 해석 및 하류부 배수효과를 검토하여 도시유역의 홍수방재관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ensitivity Analysis of the Runoff Model Parameter for the Optimal Design of Hydrologic Structures (수공구조물의 적정설계를 위한 유출모형 매개변수의 민감도 분석)

  • Lee, Jung-Hoon;Kim, Mun-Mo;Yeo, Woon-Kwang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a
    • /
    • pp.755-758
    • /
    • 2008
  • Currently, the increased run-off and the shortened arrival time are one of the causes of the city environmental disasters in urbaniz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perly design the hydrologic structures, but it is very difficult to forecast the values necessary to design from the planning stage. Moreover, as the parameter is changed due to the urban development, it is difficult not only to analyze the run-off influences but also to find the related studies and literat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tilize the results as the important basic data of the hydrologic structures, its proper design and run-off influences through the sensibility analysis of the model parameter variables. In this study, the absolute and relative sensibility analysis method were us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through the sensibility analysis of the topology and hydrology parameters. Especially, in this study, the changes in the run-off amount and volume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increase/decrease in CN, the coefficient of discharge, and the empirical formula is prepared and proposed through the regressive analysis among the parameters. In the meantime, the parameter sensibility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the simulation HEC-HMS that is used and available in Korea.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run-off amount is increased about by 10% when the CN value is increased by 5% before and after the development through the HEC-HMS simulation and data analysis. As long as there will be additional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result verification, and continuous further studies to find out the parameters proper to the domestic circumstances, it is expected to considerably contribute to the proper design of the hydrologic structures with respect to the ungauged basin.

  • PDF

Study on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Caused by Tree-Planting Conditions in a Natural Channel (하도내 식생상태가 수리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Lee, Jeung-Seok;Ahn, Seung-Seop;Choi, Yu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dustry Convergence
    • /
    • v.3 no.4
    • /
    • pp.319-327
    • /
    • 2000
  • In this study,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variation of flood level caused by tree-planting condition in channel section is evaluated through the examination and analysis of back water characteristics in a natural channel within urban area where the improvement is completed. The study channel is Sinchun runs through the center of Taegu metropolitan city. For the analysis, the comparative examination of runoff characteristics depend on tree- planting condition performed for the flood level of the most upstream point, and velocity of study channel when the project flood flows according to three cases that existing channel is improved to the pro-natural channel, the roughness condition of both riverside highlands is changed, and the composition rate of trees in the riverside highlands is changed. It is known that the variation ranges of the flood level increase remarkably in general, and of the velocity decrease from the result of the examination for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parameters at the most upstream point depend on the tree-planting condition of the channel section when the project flood flows. From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on the variation of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ree-planting condition in channel section, it is known that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when the project flood flows in channel have close relationship with the section properties and the slope of channel.

  • PDF

The Assesment of Heavy metal Pollution in Sewage Sludeges from Gully Pots Alongside Some Main Roads in Seoul, Korea (서울시 도로변의 빗물받이에서 체취한 하수슬러지의 중금속 오염 평가)

  • 이평구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32 no.6
    • /
    • pp.633-644
    • /
    • 1999
  • Gully pot is a part of urban darainage system to butter the runoff water fluxes from road to rivers and to minimize environmental pollution by prevending over the surrounding area. A series of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concerning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sewage sludge sediments sttling down in such a gully pot in order to over to evaluate the contamination for heavy metals such as pb, Zn, Cu and Cd. The roadside soil and sewage sludge samples from gully pots were characterized by XRD analyses and sequential extraction : Zn 2595.7$\mu$g/g; Cd9.8$\mu$/g; Cu602.5$\mu$g/g; Pb260.0$\mu$g/g),because of a long-term accumulation of vehicle- and industrial-related pollutants. Mean Zn concentration in Yeouido (3873$\mu$g/g) and Junggu(3262$\mu$g/g)areas are 4-5 times higher than those in Dobonggu area, suggesting that Zn may be derived from automobile traffic (including the rubber of automobile tires). The mean concentrations of Cu and Cr are very significantly high in Junggu and Gurogu areas, possibly due to the industrial activities in these areas. The low Pb levels throughtotut the whole study areas in Seoul can be accounted for the use of unleaded gasoline since 1987. Sequential extraction experiments illustrate that a major part of Zn is bound to FII and FIII, representing about 88% of the total Zn concentration. Fraction IV, related to orgnic matter, is mostly significant for Cu accounting for 60% of the total Cu, and FII is next in importance. The main carriers of Pb are the fractions III, II and FIV, and in that order. The behavior of Cd is quite different from other elements (Zn, Cu, Pb), and most of the Cd is associated with FV.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environments (such as acidification) may result in severe environmental pollution of surface water and rivers with respect to heavy metals (especially Zn and Cu).

  • PDF

A Study on Prediction Method of Inundation Area by Using the result of 1D Runoff Model and Urban hydrology model (1차원 강우-유출모형과 도시유출모형의 모의결과를 이용한 침수면적 예측방법에 관한 연구)

  • Hwang, Sung Hwan;Lee, Jung Hwan;Kang, Ho Yeong;Moon, Yo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8-38
    • /
    • 2017
  • 본 연구는 내수침수에 의한 침수면적 예측을 위한 강우특성과 1차원 유출모형의 유출특성 및 월류특성 자료를 이용한 침수면적의 정확도를 다양한 호우사상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국내에서 침수 취약지역 예측을 위해서 강우-유출모형의 유출량 예측 즉 홍수추적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 모형이 홍수추적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것은 대유역의 경우에 XP-SWMM 모형과 같은 정밀모형을 이용할 경우 긴 모의시간으로 인하여 예경보 발령을 위한 골든타임 확보가 어려우며, 홍수량 예측을 통하여 예측된 침수피해에 대한 정밀도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실제 상황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컴퓨터 하드웨어의 발전에 따른 연산속도의 증가와 빅데이터 처리기술을 발전에 따라서 10년 전과 비교하여 2차원 침수면적 예측시간이 단축되기는 하였지만, 실제 침수면적 예측에 적용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모의시간이 짧은 1차원 강우-유출모형, 1차원 도시유출모형을 이용한 침수면적 예측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홍수피해 예측을 위하여 다양한 수문학적 인자의 영향 분석을 위해서 XP-SWMM 모형의 다양한 형태의 강우입력자료에 따른 1차원 유출 모의결과와 2차원 지표류 모의결과를 이용하여, 2차원 침수면적 예측결과를 추정하기 위한 수문학적 인자의 적용방법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모의시간이 짧은 강우-유출모형과 1차원 도시유출모형을 이용하여 도출한 수문학적 인자를 이용한 침수면적의 추정방법을 분석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침수면적 예측 시스템 구축방안에 대하여 구체적인 수문학적 인자들 생성을 위한 단계적 모형 적용방안 수립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Flood Runoff Analysis of Urban Stream Using Distributed Model (분포형 모형을 활용한 도심하천의 홍수유출해석)

  • Kang, Bo-Seong;Yang, Sung-Kee;Park, Jae-Ho;Woo, Ji-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22-223
    • /
    • 2017
  • 기후변화로 인한 태풍 및 집중호우의 발생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매년 많은 홍수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제주도는 지리적 특성상 태풍의 길목에 위치하고 있어 집중호우, 돌발홍수 등과 같은 자연재해에 연중 노출되어 있으며, 이상기후로 인한 일강우량의 경신이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홍수피해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 홍수피해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정확한 홍수량 산정을 통한 하천기본계획 및 치수계획 수립이 매우 중요하다. 실무에서는 홍수량 산정 시 대부분 HEC-HMS 모형을 활용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기존 방법이 아닌 분포형 모형인 Vflo를 활용하여 제주도심하천의 홍수유출을 해석하였다. 도심하천인 외도천을 연구대상유역으로 선정하였으며 Arc-GIS를 이용하여 DEM, 토지피복도, 토양도 등 지형인자들을 $30m{\times}30m$ 격자크기로 나누어 매개변수로 구축하였다. 제주도는 강우관측소가 조밀하고 고르게 분포되어 있어 강우자료의 경우는 레이더영상 자료로부터 추출하여 G/R 기법을 적용하여 보정하였다. 2012년 7월 태풍 카눈은 RMSE 2.6954와 0.9115, 8월 집중호우는 RMSE 2.5703, $R^2$ 0.9202, 9월 태풍 산바는 RMSE 2.1569, $R^2$ 0.9842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의 홍수량 산정 방법 정확도 비교를 위해 현장관측자료(FSIV)를 분석한 유출량과 비교 분석하였다. Vflo를 활용한 홍수량 산정 방법은 미계측 유역이 많은 제주도에서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다양한 홍수량 산정 방법을 통하여 하천기본계획 및 유역종합치수계획 등 치수계획 수립 시 많은 활용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