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Riverfront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7초

도시 수변공간의 활용 실태와 입지적 특성을 반영한 친환경적 수변 도시개발 방안 (Current Status and Environment-Friendly Development Policy of Urban Riverfront in Korea on the Basis of It's Locatioanal Property)

  • 김항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449-460
    • /
    • 2012
  • 1960년대 이후, 우리나라의 산업화가 급격하게 진행되고 도시가 기능적으로 개발되면서, 도시내부의 강을 중심으로 하는 수변공간은 도로건설과 비선호성시설의 집적으로 도시민의 삶의 공간에서 소외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산업화시대인 1970~80년대에 폐수와 쓰레기로 오염된 강은 생태 친수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상실하고 하수구의 기능으로 전락하였다. 그러나 21세기에 들어서서 지속가능한 도시에 대한 요구와 도시의 쾌적성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도시민은 도시 내에서 맑은 물과 쾌적한 수변공간을 갈구하게 되었고, 최근에는 도시재생의 중심적인 공간으로 수변공간이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수변공간에 대한 이용현황과 계획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도시 수변공간이 갖는 입지적 특성을 바탕으로 한 수변공간 활용방안을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도시적 여건에 부합되는 친환경적이며 도시재생에 기여하는 지속가능한 수변공간의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생태적(生態的) 측면(側面)을 고찰(考察)한 하천(河川) 수변공간(水邊空間)의 활성화(活性化) 방안(方案) 연구(硏究) (A study on revitalization of riverfront space in terms of ecological aspect)

  • 한주형;오덕성
    • KIEAE Journal
    • /
    • 제2권1호
    • /
    • pp.21-32
    • /
    • 2002
  •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way of revitalizing of natural riverfront space in terms of ecological aspect. At the first part, theoretical made in terms of concept, planning aspects and techniques which were main bases for the study. It begins by explaining the concept of ecological riverfront space, the main aspect and techniques of its planning. After this, it analysis eight cases(four cases in Korea, Swiss, Germany, America and Japan) in terms of the objects, planning techniques and the results of development. It continues by making detailed analysis according to four objectives like 'protection from flood', 'quality of the river', 'ecological preservation' and 'active usage of riverfront space'. It ends by evalu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ives and the planning which will be adapted to the future development of riverfront space with ecological aspect. In conclusion, hereafter will propose desirable design-direction for revitalization about riverfront space about ecological aspect design in urban.

Analysis of the Visual Quality of Riverfront Skyline Through the Feature of Height and Spatial Arrangement of Tall Building

  • Puspitasari, Ayu Wandira;Kwon, Jongwook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21권4호
    • /
    • pp.91-98
    • /
    • 2019
  • In modern times, numerous cities are competing to create the unique skyline adjacent to the water. Tall buildings located across the river hav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skyline of a riverfront city and can be a precious asset for the city. Moreover, in several cities, tall buildings and their impact on the urban skyline are a matter that should be considered and regulated in urban design. Therefore, as a prominent element in a larger visual setting of the city, tall buildings should improve the visual quality of the skyline rather than diminish that quality. This research attempts to provide an objective method to analyze the visual quality of the skyline made by a group of tall buildings through their feature of heights and spatial arrangement from riverfront views. The analysis is determined by the design variables of building heights variation, heights transition, density, and spacing of a group of tall buildings. A comparative case study of tall buildings in Yeouido and Lujiazui was conducted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analysis. The proposed method can be used in a simple way in the quantitative approach to quantify the visual quality of the skyline. In conclusion, Yeuido's skyline is not quite interesting from the riverfront view in terms of height variation and continuity of the skyline view because they are dispersed. Conversely, Lujiazui's skyline from the riverfront vantage points has a good quality in all aspects of the feature of height and spatial arrangements of tall buildings cluster. These factors can be used for the urban designer on how proposed tall buildings within the cluster should appropriately respond to adding image on the skyline.

울산시 태화강 수변 경관 변천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hanges in Riverfront Landscape of Taehwa River, Ulsan City)

  • 정민기;한삼건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8호
    • /
    • pp.117-128
    • /
    • 2018
  • The central of Ulsan was formed and has been developed in alluvial plains the Riverfront of Taehwa River and Dongcheon River Fortresses including Gyebyeonseong of the late Silla, Chisoseong of the Goryeo, Ulsan Gyeonsangjwabyeongyeongseong, Ulsaneupseong, Ulsanwaeseong and Yeompoyeongseong as well as Gugangseowon and Old Ulsanhyanggyo and other facilities well display such fact. In the southern areas of Taehwa River, Byeokpajeong of Samsan, Buddhist temples and pavilion architectures used to be located. In its upstream areas, Eonyangeupseong, Eonyanghyanggo, Banguseowon and Daegokcheon Petroglyph exist as well. As such, the Riverfront of Taehwa River are a central space where the civilization of Ulsan has grown and developed, and are regarded as a core scenic asset of Ulsan. However, the look and nature of Taehwa River changed significantly due to Ulsan irrigation project and the construction of modern bridges such as Ulsangyo and Ulsan railway bridge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The old look of the area started to be ruined by water contaminations and developments of waterfront lands that resulted from the development of Ulsan Industrial Center in 1962. The water quality of Taehwa River has been improved as a result of allotting a huge budget and administrative powers before and after 1997, the year when Ulsan was elevated to a metropolitan city. However, the surrounding views around Taehwa River changed greatly due to various urban development projects including apartment complex constructions. This is because the development of the Riverfront started from a land utilization project, in which the construction of apartment complexes was included in the initial phase; as a result, the areas were changed to be private scenic assets for those apartments. Aware of such issu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major scenic elements that were present in the period before such developments in the river's surrounding areas from literature and geography materials; and to reveal how various urban development projects that have been performed from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have changed the scenic elements of Riverfront of Taehwa Riv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hanges in scenic elements of the Riverfront of Taehwa River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ulting changes in the surrounding scenery.

한강 연안 경관 녹화 계획

  • 권오준
    • 한국기술사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사회 1995년도 제25회 한일기술사 합동 심포지엄 한국편 자료(2차)
    • /
    • pp.23-29
    • /
    • 1995
  • Green landscape plan to the riverfront area of the Han River The Han River, one of the symbolic elements in metropolitan Seoul, structures an axis of waterscape as the openspace crossing east to west of the city of Seoul. As riverside urban motorway(88 Olympic motorway) and riverside public park were constructed by the Han River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 in 1986, the necessity of general plan for the in-stallation of envirommental facility belt to conserve living enviroument is being required with relation to, dense residential areas closed to the river Therefore, the goal of the study is to provide better riverview and to increase environmental purifi-cation ability as a large scale waterscape axis by the preparation of landscape plan to the riverfront area of Han River,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the study deals with sectional speciality, the introduction of landscape assessment techniques and ecological approach to given environment. As unity is kept through whole waterfront area, the area is divided into 9 zoning sections to study development methods for each section, and themes for speciality are given to each section, and the. sort of plants which can be symboliged to the area is selected. Also, the planting methods for harmony with the type of road structure and riverscape is offered. Though the study may give significane to the image and the function of riverside road, in con-clusion, the characteristic ecological approach to the river is so limited that has not been reflected enough on the plan.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should be continued, and long-term riverfront openspace plan, environmentally sustainable, should be arepared.

  • PDF

하천 친수환경 평가체계 구축 및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Water-friendly Environment Assessment System)

  • 이형숙
    • 농촌계획
    • /
    • 제24권4호
    • /
    • pp.81-88
    • /
    • 2018
  • With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riverfront development projects an objective and systematized survey and assessment tool is required to understand and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potentials of river environment for human u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ssessment system for the investigation and evaluation of the water-friendly environment and to examine its effectiveness by applying the system to the selected study sites. Literature reviews, expert consultation, and preliminary survey were conducted to select highly relevant indexes to evaluate water-friendliness in rivers and, as a result, an assessment system of ten items in four areas was established. The assessment system were applied to 139 reaches of six rivers including Bykgye Cheon, Seom River, Gap Cheon, Yudeng Cheon, Naesung Cheon, and Kumho River. The scores and grade of water-friendliness were calculated per rivers and reaches, and their differences were prominent according to urban river, rural river, mountainous area and city area. Bykgye Cheon and Naesung Cheon got high scores in visual quality and Kumho River and Gap Cheon in community needs and potential uses. The scores of each section in the same river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sites for the development of hydrophilic space.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iver help establish an appropriate management plan for the river.

대구광역시 신천의 친수공간 평가 연구 -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을 중심으로 - (An Assessment on the Urban Riverfront in Shincheon, Daegu - Focused on a Universal Design Concept -)

  • 최동식;문지원;김상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14
    • /
    • 2012
  • 본 연구는 도시하천 친수공간에 대해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의 평가 및 분석을 실시하여 모든 도시민의 이용과 활동을 배려한 보다 바람직한 친수공간 조성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을 접목한 평가틀을 도출하였으며, 연구 대상지로 선정한 대구광역시 신천에 대해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의 문제점 도출 및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평성' 측면에서는 안내판의 통합기능 설치 및 그림 기호 외국어 병용 표기, 화장실 출입구 옆 남녀 구분 안내 표시 등의 항목이 전 구간에 걸쳐 '모두 부적합' 판정을 받았으므로, 이에 대해 모든 사람들이 공평하게 이용 가능하도록 보완할 필요가 있다. (2) '기능성(이용성)' 측면에서는 접근로 자전거 도로 설치, 안내판 통합기능 및 야간 조명 설치 등의 항목이 모든 구간에 '모두 부적합' 하였으므로 이에 대해 시설물 각각이 제 기능을 다할 수 있도록 보완할 필요가 있다. (3) '편리성' 측면에서는 자전거 주차구역 설치, 휴식시설 연속 설치, 휴식시설에 등받이와 팔걸이 설치 등의 항목이 많은 구간에서 '모두 부적합' 판정을 받았으므로 이에 대해 시설물 이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보완할 필요가 있다. (4) '정보성(식별성)' 측면에서는 접근로에 보행 유도존 설치, 안내판에 시설 종합 표기 및 그림 기호 외국어 병용 표기, 그리고 야간 조명 설치, 화장실 위치 안내 및 유도 표시 설치, 화장실 출입구 옆 남녀 구분 안내 표시 등의 항목이 전 구간에 걸쳐 '모두 부적합' 판정을 받았으므로 이에 대해 누구나 알기 쉽고 알아차리기 쉽도록 보완할 필요가 있다. (5) '안전성' 측면에서는 접근로 미끄럼 방지 및 충격 흡수 가능 재료 사용, 주차구역에 안전보행통로 설치, 화장실 바닥 미끄럼 방지 및 충격흡수 재료 사용, 자전거와 분리된 내부 보행로 연속 설치 등의 항목이 모든 구간에 '모두 부적합' 판정을 받았으므로 이에 대해 안전사고 예방 차원에서의 보완이 필요하다. (6) '쾌적성' 측면에서는 접근로, 주차구역, 위생시설, 휴식시설, 편의시설, 수변시설 등이 많은 구간들에서 '모두 부적합'하다고 판단되었으므로, 이에 대해 보다 집중적인 청결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7) '접근성(이동성)'측면에서는 접근로와 차도 접점부분의 보도 높이 유지, 접근로에 보행 유도존 설치, 주차구역에 안전보행통로 설치, 수변시설 수평 접근 가능, 자전거와 분리된 내부 보행로 연속 설치 등의 항목이 모든 구간에 '모두 부적합' 판정을 받았으므로, 이에 대해 사람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향으로 보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8) '내구성' 측면에서는 접근로, 주차구역, 휴식시설, 편의시설, 운동시설, 수변시설 등이 많은 구간들에서 '모두 부적합' 하다고 판단되었으므로 각 구간별 시설물 점검을 통해 침하, 파손된 곳의 보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서울시 주요 지류하천 수변 특성 분석 (Analysis of urban riverfront characteristics of major tributary rivers in Seoul City)

  • 김성은;남현정;강원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448-448
    • /
    • 2023
  • 도심 속 하천과 그 주변 지역(이하 수변)은 물과 자연환경이 주는 정서적 안정감과 쾌적함, 그리고 건강성을 대표하는 공간으로 도심 속 쉼터이자 힐링의 장소이다. 최근 수변이 도시경관의 질향상, 휴식 및 여가 공간 제공의 기능뿐만 아니라 열섬효과 완화 등 기후변화 대응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도 재조명되면서, 수변이 도시의 발전과 활성화를 이끌어낼 새로운 동력이자 대안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의 4대 권역하천인 중랑천, 탄천, 안양천, 홍제천을 대상으로 하천과 하천 주변 500m 이내 구역을 하천공간과 수변공간으로 구분하고, 그 현황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하천(제방)으로부터 50m 이내 수변공간에 위치한 도로면적의 비율은 탄천이 40%로 가장 높았으며, 그 외에도 중랑천은 31%, 홍제천과 안양천은 28%로 하천변 도로면적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중랑천은 하천공간 내 도로면적이 하천변 50m 이내에 위치한 도로의 면적과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안양천, 중랑천, 탄천 대부분의 구간에서는 친수활동을 하기엔 다소 수심이 낮고(0.3m 이하) 유속이 느린 것(0.3m/s 이하)으로 분석되었고, 수질은 대부분의 구간에서 대장균 군수가 기준치를 수십에서 수백 배 초과하고 있어, 최상류 일부 구간을 제외한 전 구간에서 수영·물놀이 등 수상활동이 부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서울시민들은 주로 금요일과 토요일, 오후 12시에서 18시 사이에 하천을 가장 많이 방문하며 평균 2시간 정도를 머물렀으며, 대부분 걷기와 산책 활동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도보, 대중교통 등 교통수단에 따른 하천진출입로 인근평균인구 대비 접근 가능 인구비율을 산출하여 접근성을 분석한 결과, 중랑천과 홍제천에서는 수변지역 내 평균인구의 20~30%가 도보 및 대중교통으로 20~30분 이내에 도달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어 접근성이 가장 우수하였고, 안양천은 수변지역 내 평균인구의 15~20%가 30분 이내 도달가능하였으며, 탄천은 수변지역 내 평균인구의 10%미만이 30분 내에 도달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어 탄천의 접근성이 가장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