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Planning Elements

검색결과 250건 처리시간 0.026초

녹색도시 물순환 계획요소 및 수문순환 모의 (The Urban Water Cycle Planning Elements and Hydrologic Cycle Simulation for Green City)

  • 이정민;김종림
    • 토지주택연구
    • /
    • 제3권3호
    • /
    • pp.271-278
    • /
    • 2012
  • 전 지구적인 기후변화와 지구 온난화에 따라 서구 선진 국가들을 중심으로 저탄소 녹색성장(green growth)이 이슈로 등장하고 있고 이 전략은 미래의 성장동력으로까지 발전되고 있다. 저탄소 사회를 달성하기 위하여 세계 각국은 교토의정서를 체결하고 온실가스배출량을 2008년부터 2012년까지 1990년도 수준의 5.2%까지 줄이도록 선언하였다. 한편 급속한 도시개발과 불투수면적의 증가는 도시의 물순환의 변화를 초래한다. 본 연구에서는 녹색도시 개념을 검토하고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도시 및 단지수준에 적합한 물순환 계획요소를 검토하였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SWMM5-LID 수문모형을 이용하여 시범유역에 물순환 효과를 분석하였다. 물순환 분석은 개발전, 개발후, 녹색도시계획요소적용후(LID시설 적용후)에 대한 시범유역의 도시유출연속모의를 통하여 수행되었다.

연안역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방재·도시계획 요소 도출 및 제도 강화의 필요성 제시 (Development of Disaster Prevention and Urban Planning Elements to Secure Coastal Area Safety and Suggesting the Need for Institutional Reinforcement)

  • 황선아;황병호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518-528
    • /
    • 2018
  • 현대 사회에서의 항만공간은 과거와는 달리 단순히 항구로써의 기능만을 위한 공간이 아닌 주거, 레저, 관광 등 다양한 기능이 복합화 되고 있다. 그에 따라 더욱 많은 사람들이 밀집하는 공간으로 변모해 가고 있다. 반면 항만 공간은 지형적, 환경적 특성 상 재해에 취약한 공간이기도 하다. 하지만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방재 도시계획이 명확히 자리 잡고 있는 실정이 아니다. 따라서 항만공간의 특성을 감안한 방재 도시계획을 강화하고, 이를 통해 안전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현황분석을 통한 도시 소하천의 생태하천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울산광역시 무거.여천천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lanning Elements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Urban Stream through Present Condition Analysis - focused on the Yeocheon and the Mugeo stream -)

  • 김성철;이철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3권9호
    • /
    • pp.747-757
    • /
    • 2004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physical, chemic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tream, especially Mugeo and Yeochon which are being changed to ecological stream by Ulsan city, and to acquire the considerations such as the planning element and plan criteria of the streams for making ecological stream system. Water quality, water quantity, vegetation, in stream structures and facilities, and land usage of the streams were investigated and the build up capabilities of ecological stream for the two streams were also analyzed. Planning elements for restoration to ecological stream included physical and biological purification methods in water quality, short term water acquire alternatives in water quantity, and vegetation recovery plan and improvement of habitation environment in ecological system, respectively. Planing elements in physical structures and facilities also included recovery of concrete levee and removal and recovery of covered channel.

마을만들기 관련 가상공간 게임의 특성에 관한 연구 - 도시디자인요소의 사례 분석 및 관련 법.제도 검토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Virtual Space Game for Community Making - Based on the Content Analysis of Case Study and Related Legal System for Urban Design -)

  • 허윤선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231-238
    • /
    • 2014
  • Recently, many people can experience the virtual space by smartphone, and they use many games. In particular, this change has great implications in the collaborative and communicative planning paradigm, which is residents' participation and agreement becoming important in community making and urban design. This study analyze the case of the five virtual space games about community making and urban design, and examine the related regal system. Game users can construct roads, house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virtual city. Then, they create profit, and promote the growth of virtual city. In these games, construction elements are classified residential, commercial, industrial, parks, green spaces, public building, and roads. But these elements does not identified clearly, and they mixed. By analyzing of related regal system, these games focus on the individual buildings, spaces, and facilities rather than considering the terms of urban planning. To complement the virtual space game with the aspects of urban planning, these games can encourage the participation capability and enhance the communication skills of citizens.

도시 복합상업시설의 범죄예방 환경계획을 위한 연구 - 이용자 의식조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Planning of Urban Mixed-use Commercial Facilities - Focused on the Users' Consciousness -)

  • 하미경;이효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3-14
    • /
    • 2015
  • The most important issue of modern cities is a crime.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planning is needed in the urban mixed-use commercial facilities which have an important role of modern urban life, and have a positive elements for local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direction of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planning for the urban mixed-use commercial facilitie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is performed on users of urban mixed-use commercial facilities to evaluate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1)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planning is needed in the public space which forms boundary between urban mixed-use commercial facilities and other urban facilities. 2) Safety support planning is necessary for women and children for crime prevention of urban mixed-use commercial facilities. 3) Crime prevention planning is needed in urban mixed-use commercial facilities of the various isolation space. 4)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planning is needed for facilities of after business hours. 5) Various security alarm system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is needed for crime prevention. 6) Community program is necessary in order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external public space. 7) A sign is necessary to prevent a criminal act in urban mixed-use commercial facilities. 8) The connection of commercial facilities and activity inducing factors is needed.

환승역세권 평가를 통한 TOD 계획 요소의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TOD Planning Elements of Major Urban Railway Station Areas in Seoul)

  • 이준범;진원영;서은영;원제무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201-209
    • /
    • 2014
  • 세계도시의 철도역들은 새로운 역사개발 및 기존역사 재생에 있어서 대중교통지향형개발(TOD) 패러다임에 의한 개발을 실시해 오고 있다. TOD는 대중교통결절점을 중심으로 고밀화, 복합적 토지이용, 보행친화적 환경조성, 다양한 대중교통수단 연계 등을 융합한 도시개발이라 할 수 있다. 국내의 연구에서는 TOD 개발에 있어 정책적, 방향성 제시를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방법론적으로는 TOD 계획요소에 대한 대중교통이용률, 토지이용의 효율화, 지하철이용자수요와의 실증분석 등의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TOD의 주요 계획요소에 대한 미약한 현황분석은 TOD의 실질적인 정책적, 제도적 지원을 창출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지 못하는 실정이며, 역세권의 문제점을 파악하는데 다양한 관점에서 고려되지 못하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FGI를 통해 TOD 계획요소를 도출하며, 역세권 반경 500m를 기준으로 분석한 자료의 표준화(Re-Score)값과 AHP 분석을 통해 산출된 계획요소에 대한 중요도를 곱하여 평가점수를 도출한다. 분석결과 TOD 계획요소의 중요도는 접근특성, 대중교통특성, 토지이용특성, 인구특성 순으로 나타났고, 서울시 32개 주요 환승역세권은 잠실역, 사당역, 교대역 등이 TOD 평가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주택단지의 유형별 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lanning within Each Type of Multi-Family Housing)

  • 최무현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83-91
    • /
    • 2006
  • Although the large supply of multi-family housings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in forming the urban structure and allocation of functions, and also enhanced the whole level of housing environment, it caused several problems relating to physical form such as isolation of housing estate, inhumanity of the exterior space, and mismatch with the urban structure. To handle these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design elements which have a direct impact on physical forms, thereby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planning. Therefore design elements are reformed into respective analyzing indices. This study analyzes design elements based on analysing indices. Thus, several important results were found from the Factor Analysis and after classifying housing estates into several types, the study found the characteristics of planning within each type of housing estates.

장기 미집행 도시공원 해소를 위한 정책구성요인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policy elements for a solution of long-term unexecuted urban parks)

  • 홍지욱;심재헌;이성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907-3915
    • /
    • 2014
  • 본 연구는 장기 미집행 도시공원 해소를 위한 정책구성요인을 평가함으로써 향후 정책수행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정책요인 평가는 장기 미집행 도시 군계획시설 혹은 도시공원과 관련된 업무를 담당하는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시행되었으며, 그 절차는 정책요인의 선정, 정책요인 간 가중치 산정, 평가결과의 해석이라는 세단계로 구성되었다. 평가의 결과, 전문가들은 정책요인 중 국고보조금 확보(0.183), 지방재정계획과 단계별 집행계획의 연계(0.165), 장기 미집행 도시공원의 선별적 존치(0.154), 국유지 무상 양여 및 장기 임대(0.110)와 같은 요인을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평가하였다. 향후 도시공원 일몰제의 시행에 앞서 장기 미집행 도시공원 해소를 위한 폭넓고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질 필요성이 제기된다.

도시공원 벤치색상의 시각적 선호 결정 모형 (A Model to Determine the Visual Preference for the Color of Benches Located in Urban Parks)

  • 유상완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2호
    • /
    • pp.137-146
    • /
    • 2001
  • In this paper it is investigated that the visual elements of preference which influence the visual preference for bench. "What color of bench is preferred when the location is the same\ulcorner" Started from those questions, the elements of preference which influence the visual preference for bench is investigated. In this research, a equal standard mark system is applied for the evaluation of visual elements of preference and 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sual preference and the elements of preference are examined by the method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primary factor analysis from the visual evaluation in this paper will affect visual preference of the bench in urban park. Thus,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urban parks for the maximum satisfaction of park visitors supplying necessary information for a resting place planning and design. It will provide a useful management guide of urban park facilities to prepare a strategic management plan of the benches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Especially, to know the correct preference of people, which will be provided by the evaluation of visual preference to bench will be the key to rest place planning.

  • PDF

도시 기록화 구성요소 도출을 위한 실험적 연구 (A Pilot Study on the Elements of Urban Documentation)

  • 여진원;장우권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575-598
    • /
    • 2015
  • 이 연구는 변화하는 도시패러다임에 대응하고, 도시발전을 위한 도시 기록화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도출하기 위한 실험적인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도시아카이브에 관련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2차에 걸쳐 델파이(Delphi) 조사기법을 적용하여 도시 기록화의 기록분야와 구성요소들을 도출하였고, 각 분야와 요소들을 유형화, 계층화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1차 델파이조사 결과 6개 분야(자연환경, 인문환경, 역사와 문화, 사회와 교육, 산업과 경제, 교통과 통신)에서 62개의 구성요소를 도출, 2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6개 분야에서 32개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