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Morphology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3초

건물효과를 고려한 연안도시지역 고해상도 기상모델링 (High-resolution Simulation of Meteorological Fields over the Coastal Area with Urban Buildings)

  • 황미경;김유근;오인보;강윤희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37-150
    • /
    • 2010
  • A meso-urban meteorological model (Urbanized MM5; uMM5) with urban canopy parameterization (UCP) was applied to the high-resolution simulation of meteorological fields in a complex coastal urban area and the assessment of urban impacts. Multi-scale simulations with the uMM5 in the innermost domain (1-km resolution) covering the Busan metropolitan region were performed during a typical sea breeze episode (4~8 August 2006) with detailed fine-resolution inputs (urban morphology, land-use/land-cover sub-grid distribution, and high-quality digital elevation model data sets). An additional simulation using the standard MM5 was also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urban surface properties under urban meteorological conditions. Results showed that the uMM5 reproduced well the urban thermal and dynamic environment and captured well the observed feature of sea breeze. When comparison with simulations of the standard MM5, it was found that the uMM5 better reproduced urban impacts on temperature (especially at nighttime) and urban wind flows: roughness-induced deceleration and UHI (Urban Heat Island)-induced convergence.

Simulation of Urban Expansion Causing Farmland Loss and Sprawl Phenomena with Cellular Automata Technology

  • Kim Dae Sik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6권7호
    • /
    • pp.23-32
    • /
    • 2004
  • A spatial simulation model for rural and urban sprawl phenomena was developed with GIS and cellular automata techniques. The model finds out built-up areas invading toward rural areas required for development of existing urban area. Probability of land use change for optimizing the development area was determined using a land suitability analysis method interfaced with GIS methods, based on several criteria in terms of geographic and accessibility factors such as slope of land and distance from city center. Weighting values of the criteria were quantified by an 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 For model applicability test, the parameters of criteria were calibrated based on the changes in time series land use data of the test city for 1986, 1996, and 2000, which were classified by remote sensing techniques. Simulated and observed areas in land use maps for city shape of 1996 showed good similarities with each other through a morphology verification method. The model enabled us to evaluate the spatial expansion phenomena of cities considering boundary conditions, and also to simulate land use planning for rural areas in urban fringe.

웨스트 첼시 개발과 하이라인의 역할에서 나타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성격 (Landscape Urbanism in Special West Chelsea District Rezoning and High Line Open Space Redevelopment Project)

  • 윤희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84-97
    • /
    • 2010
  •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은 90년대 대두된 조경계의 이론이며, 요점은 도시 설계의 과정에서 랜드스케이프 요소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오픈 스페이스 전략이 설계 과정을 이끄는 토대가 되어야 한다는 데에 있다. 그러나 이 이론이 도시 설계에 가져온 형태적인 영향과 해석이 없다는 점은 비판의 여지를 남겨 왔다. 이론의 제의자들이 많이 언급하고 예로써 사용했던 프로젝트는 규모가 큰 대형 공원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오픈 스페이스는 도시와의 관계를 밀접하게 제시해 주지 못한다는 한계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하이라인(High Line)이 대표하는 특수한 소형 공원이 지닌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적인 요소를 분석하여, 하이라인이 이 이론에 입각한 프로젝트라 간주될 수 있음을 보인 뒤, 이가 웨스트 첼시 재정비 과정에서 도시 설계에 작은 스케일의 변화를 주도했음을 결론 내렸다. 따라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이론은 현재 대형 공원에 국한되어 있던 연구 대상을 소형 공원으로도 넓혀야 하며, 작은 스케일에서 일어나는 상호 작용에서 그 형태적 영향력을 찾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하이라인과 같은 소형 공원이 주변 지역과 주고받는 영향에 대한 관찰과 정량적, 형태적 분석 과정이 뒤따라야 하며, 이로써 도출된 구체적인 전략이 있어야만 새로운 도시 설계 프로젝트에 적용할 수 있는 완전성을 지닌 이론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Capturing the Underlying Structure of a 'Segment-line' City: Its Configurational Evolution and Functional Implications

  • Ling, Michelle Xiaohong
    • 국제초고층학회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139-147
    • /
    • 2017
  • Analyzing morphological evolution over a long period of time is deemed an effective way to identify problems occurring in the process of urban development, in addition to achieving a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socio-cultural changes and growth rooted from the context. As far as the urban morphology is concerned, Hong Kong is characterized by its unique high-density and compact layout patterns, which have aroused the interest of a number of authors in the urban design domain. Whilst an increasing number of redevelopment projects in Hong Kong were criticized for ignoring and destroying the old urban fabric,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to investigate the origins and changes of various urban patterns and their implications for society. By employing the theories and techniques of space syntax, this paper accordingly provides a morphological analysis based on the Wanchai District - a 'Segment-line' city, which particularly epitomizes various urban grids of Hong Kong and may have different implications for functional aspects. By axial-mapping the urban layouts of five stages of growth since 1842 and subsequently investigating their spatial and functional transformation over the past 170 years, this paper identifies a series of spatial characteristics underlying different grid patterns, as well as achieves a precise understanding of their ever changing relationship. Based on these understandings, this paper intends to provide valuable reference and guidance for upcoming spatial development in Hong Kong and other regions.

신도시 개발에 따른 표면 열섬현상 변화분석 및 도시 형태와의 상관관계 (Analysis of the Surface Urban Heat Island Changes according to NewTowns Development and Correlation with Urban Morphology)

  • 이경일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5_3호
    • /
    • pp.921-932
    • /
    • 2023
  • 도시 인구집중 및 도시확장에 의한 토지피복 변화는 도시 내 열섬현상과 같은 다양한 환경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특히 계획적으로 구축되는 신도시의 경우 짧은 기간에 진행되는 급격한 도시화로 인한 도시 기후의 변화를 분석하기에 적절한 연구대상지로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Landsat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분당 및 판교 신도시를 대상으로 개발 전후 토지피복 변화와 이에 따른 표면 도시열섬(surface urban heat island, SUHI) 현상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SUHI 강도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도시구조적 특징들 간 상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신도시 개발이 진행됨에 따른 토지피복의 급격한 변화 및 이에 따른 SUHI 현상의 직접적인 심화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각기 다른 도시계획에 의한 SUHI 현상의 차이를 확인하고 열 환경 개선을 위한 입체적인 도시계획의 필요성이 제시될 수 있다.

Path Morphology 개념을 이용한 MIMO 채널 모델링 (MIMO Channel Modeling Using Concept of Path Morphology)

  • 정원정;유지호;김태홍;김명돈;정현규;배석희;백정기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179-187
    • /
    • 2010
  •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높은 주파수 대역, 광대역, 다중 안테나(MIMO antenna)의 사용이 예상된다. 또한 무선 통신의 급격한 수요와 이동 통신 서비스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해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최적화를 위한 검증 모델 개발 연구가 필요하다. 기존 MIMO 채널 모델의 경우 도심, 부도심, 시골, 개활지 등으로 포괄적으로 전파 환경을 분류하여 연구를 수행하였으나, 이러한 접근 방법은 예를 들어 도심 환경 내에서도 다양한 morphology가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모델링 정확도 측면에서 취약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path morphology 개념을 도입하여 전파 환경을 송 수신기 사이의 건물의 높이, 밀집도 등을 고려하여 세부적으로 분류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광선 추적(ray tracing) 기법을 이용하여 각 환경별 delay spread(DS), AoD와 AoA의 angular spread(AS)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환경에 적합한 MIMO 채널 모델을 제시하였다.

북촌 튼ㅁ자형한옥의 유형연구 (Typomorphological Study on Open-rectangular plan Hanok in the Traditional Urban Housing Neighborhood of Bukchon, Seoul)

  • 송인호
    • 건축역사연구
    • /
    • 제13권4호
    • /
    • pp.125-138
    • /
    • 2004
  • Open-rectangular plan Hanok is one of the major types that compose the urban tissues of Bukchon, a typical traditional residential area in Seoul.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cadastral map of 1912 and the aerial photograph of 1962, the paper has given the outline of the and the distribution of Open-rectangular plan Hanok at Bukchon. And the paper defines the characteristics of Open-rectangular plan Hanok at Bukchon as followings. First, Open-rectangular plan Hanok at Bukchon is the mutated type of Open-rectangular plan Hanok in Kyong-gi Province. Second,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Bakat-chae and outer-courtyard have been changed through the adaptation itself to the compact lots of urban neighborhood. Third,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An-chae has not been changed except the inner corner bay, that gives the lights and view to An-bang through the window. And the comparison and observation of four examples, the paper defines the identities of Open-rectangular plan Hanok at Bukchon. The partial transformation comes from the conflicts and adjustments with the structure of alley and the topographical condition of lots.

  • PDF

Modern Housing Complexes in South Korea. An Educational Analysis to Evaluate the Typological Evolution and Urban Adaptations

  • Pedrabissi, Dario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85-90
    • /
    • 2017
  • The contemporary South Korean landscape is characterised by a massive display of modern apartment buildings. They are omnipresent in their monotonous manifestation and represent the dream of the Korean population. Serial mass housing is a typology that has had a great diffusion all over the world, but how has modern housing developed in South Korea? To this end, what are the resulting local adaptations?. This paper retraces these key evolutional aspects. Methodologically, it draws on a scholarly literature review as well as on-site photographic surveys, developed in connection with an educational program at the Korea Tech University. The result is the analysis of both the urban and architectural transformation from the early modernisation period to the present condition of contemporary housing. A historical background introduces Korean traditional urban houses, to be used as a context to describe the contemporary modern city that has developed since the 1960s. The main emphasis is then placed on the urbanisation process that fully matured during the 1980s together with a focus on the mass housing typology as the main pivot in the urban transformation. Finally, the paper will draw a parallel between modern Western theories and Korean applications.

대중교통중심형 도시로의 개편을 위한 역세권 도시공간구조 분석 (A Spatial Analysis of Transit Centers in Seoul Metropolitan Region for Developing Transit Oriented Urban Environments)

  • 박세훈;손동욱;이진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1D호
    • /
    • pp.111-120
    • /
    • 2009
  •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도시공간구조를 자동차 중심형 에너지 다소비형에서 대중교통과 보행을 우선하는 형태로 재편하여 대중교통이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동시에 에너지소비를 줄이려는 노력이 확대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도시는 미국과 유럽의 도시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밀로 개발되어 있고 대중교통서비스도 상대적으로 양호하여 대중교통중심형 도시구조로의 발전 잠재력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도시들은 선진국의 주요도시들에 비해 대중교통수송분담률이 낮고 도시환경의 질도 상대적으로 낮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도시들이 대중교통중심형 도시로 탈바꿈하기 위하여 풀어 나가야 할 도시구조상의 문제가 무엇인지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내에 위치한 대중교통결절점을 중심으로 실태를 조사하여 토지이용밀도, 토지이용복합성, 보행편의성, 대중교통연계 측면에서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도시들이 대중교통중심형 도시공간구조로 전환되기 위한 도시계획 측면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건물분포를 고려한 도시형태의 프랙털(Fractal) 해석 (Fractal Analysis of Urban Morphology Considering Distributed Situation of Buildings)

  • 문태헌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10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프랙털(fractal)이론을 이용하여 도시공간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특성을 반영하면서 도시형태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도시공간구조적 측면에서 그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프랙털이론은 단순히 사물이 공간상에서 차지하는 비율만을 대상으로 하는 밀도와 달리, 도시공간내부에 존재하는 사물들 간의 자기유사성(self-similarity )과 복잡함(complexity )을 양적으로 표현이 가능한 이론이다. 본 연구에서 도시의 형태는 프랙털차원(fractal dimension)으로 계산하여, 이론 적용의 타당성과 실제 도시형태를 비교분석해 보기 위해 도시화가 거의 완성된 북구주시(北九州市)와 지역 대부분이 농지로 구성되어 있는 신궁정(神宮町) 지역을 사례지역으로 하였다. 먼저 GIS 벡터데이터를 레스터데이터로 변환한 다음, 두 사례 지역의 프랙털차원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북구주지역은 분석면적에 따라 프랙털차원 값에서 차이가 발생하지만, 시전체가 프랙털형상이라고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신궁정 지역은 프랙털차원의 값이 작아 도시형상이 프랙털이라고 하기 어려운 결과가 도출되었다. 사례연구를 통해 프랙털이론이 도시형태를 정량적으로 측정 가능한 수단임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구성요소간의 유사성을 반영할 수 있으므로 유사한 도시개발패턴이 이루어지는 경계(예를 들면 도시와 농촌의 경계)를 찾는 데에도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